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랑(인물)

덤프버전 :

파일:KMAlogoblack1.jpg
올해의 음반
정밀아
<청파소나타>
(2021년)
이랑
<늑대가 나타났다>
(2022년)
250
<>
(2023년)




이랑
Lang Lee
파일:랑리2.jpg
이름이랑[1]
출생1986년 1월 5일 (38세)
서울특별시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학력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 예술사)
소속사Your summer
링크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페이스북

1. 개요
2. 필모그래피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3.1.1. 1집 욘욘슨
3.1.2. 2집 신의 놀이
3.1.3. 3집 늑대가 나타났다
3.2. 비정규 및 참여앨범
3.2.1. 이랑밴드 [EP] 잘 알지도 못하면서
3.2.2. 스타워즈 프로젝트 컴필레이션
3.2.3. 신곡의 방
4. 논란
5. 출판
5.1. 이랑 네컷 만화
5.2. 모쪼록 잘 부탁드립니다
6. 수상
6.1. 한대음 시상식 트로피 판매 퍼포먼스
6.2. 2022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 검열 피해 논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독립 영화 감독싱어송라이터, 작가.


2. 필모그래피[편집]


년도분류제목비고
2011영화변해야한다각본, 음악, 미술도 담당
2012영화유도리각본, 편집도 담당
2013웹드라마출출한 여자윤성호 감독 공동연출
2014웹드라마주 예수와 함께
2016웹드라마게임회사 여직원들윤성호 감독, 박동호 감독 공동연출
2017웹드라마오! 반지하 여신들이여김기윤 감독 공동연출
2023영화잘 봤다는 말 대신각본도 담당
단편영화


3. 디스코그래피[편집]




3.1. 정규 앨범[편집]




3.1.1. 1집 욘욘슨[편집]


파일:external/www.weiv.co.kr/LangLee_YonYonson_Cover_RGB-333-300x300.jpg

2012년 발매. 시간이 남아 돌던 시절, 만들던 노래를 녹음해 두었다 지인들에게 소개도하고 미니홈피에도 올려두었었는데, 공연 기획을 하던 지인[2]이 우연히 듣고는 소모임 음반을 소개해줘 미팅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레이블 미팅하고 앨범이 나오기까지 1년 8개월 정도 걸렸는데, 이랑 본인은 음원 다 줬으니까 한 달 정도면 될 줄 알았는데 엄청 할 게 많은데다, 사장님이 일을 꼼꼼하게 하는 스타일이라 준비가 길어지자 앨범에 대한 감이 없어져 자포자기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그래서 노래들의 작업년도들이 발매년도보다 2~3년 심하면 4년 오래 되었다.

번호곡명
1잘 알지도 못하면서
2너의 리듬
3하하하
4오리발나무
5이상한 일
6럭키아파트
7삐이삐이
8욘욘슨
9먹고 싶다
10졸업영화제
11일기
12프로펠러
13로쿠차 구다사이
  • 잘 알지도 못하면서 : 2010년 4월에 만든 곡으로, 다자이 오사무의 <만년>이 발단이 되었다고 한다. 공연 연습중 멍때리다가 책상 위의 올려둔 <만년>을 보고 내용이 떠올랐고 거기에 자신과 주변 얘기를 적절히 섞어 만들었다고 한다.[3]
  • 너의 리듬 : 2010년 8월에 만든 곡으로, 원래 제목은 나의 리듬이였다고 한다. 기분이 우울해져 기분 나쁜 것에 대해 노래를 부르다[4] 발상이 친구 얘기로 넘어가 친구에 대해 생각하다 자신이 싫어하던 것들과 섞여 노래의 가사가 나왔다고 한다. 고음부와 저음부의 절묘한 화음, 명랑한 멜로디가 잘 어우러지는 곡이다.
  • 하하하 : 2010년 9월에 작업한 노래로, 노래 가사는 커트 보네거트의 <고양이 요람>에서 발췌 했다고 한다. <꼬마자동차 붕붕> 멜로디를 되는 대로 부르다 다른 노래로 바꿔 부르던 중 <고양이 요람>에 나오는 노래 가사를 붙여 불러 보다, 이 노래가 무슨 노래인지 너무 궁금해 직접 상상해보며 만든 노래.[5]
  • 오리발나무 : 2010년 9월에 만든 노래로, 이전 작업실에 있던 오리발처럼 생긴 커다란 잎을 가진 나무[6]에 대한 곡이라고 한다. 나무에 대한 애착이 있어 만든 것이 아니라, 나무가 미워 만든 노래인데,[7] 이 노래는 이랑 본인도 '어디서 들어 본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표절? 한번 버렸다가, 후에 들어보니 괜찮은 것 같아 다시 살렸다고 한다.
  • 이상한 일 : 2010년 10월 작업한 곡으로, 연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랑 본인은 죽음과 연애를 제일 많이 생각하는데, 가장 이해가 안가는 일이라서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노래 제목이 이상한 일.
  • 럭키아파트 : 2008년 6월에 작업한 노래로 대학 동창이자 동갑 친구인 윤상정[8]이 작사를 하였다. 이랑과 목소리가 잘 맞아 [9][10] 주중에 글을 쓴 것을 가져오면 주말에 집에서 같이 만들었는데 문제는 윤상정씨가 음치여서 녹음 할때 한음 한음을 맞췄는데도 다 맞은 적이 없어 힘들었다고 한다. 특히 이 당시에는 그냥 녹음기를 틀고 기타를 막 쳐본 뒤, 그 위에 노래를 부르는 식으로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 삐이삐이[11] : 2010년 2월에 작업한 노래로, 두 달 간의 영화 편집[12] 중 영화 <The Cove>를 보고 자기 직전 떠오른 노래로, 떠오르자마자 일어나 가사를 쓰고 다음날 편집실에서 바로 녹음을 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죽음에 관한 내용도 담고 있다고 한다.
  • 욘욘슨 : 2010년 10월에 만든 곡으로, 커트 보네커트의 소설에 있어 커트 보네커트가 지은 줄 알고 있다 후에 서야 원래 있던 구전 민요인것을 알았다고 한다.[13] 이 노래가 타이틀인 이유는 검색이 잘 되라는 의미에다가 이랑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노래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노래 만큼은 여러 실험을 많이 했고, 가사를 쓸때도 시간과 공을 많이 들였다고 한다.
  • 먹고 싶다 : 2010년 10월에 만든 곡으로, 작은 냉장고 하나가 전부인 학교에 살면서 밤에 먹고 싶은걸 떠올리다 '먹고 싶다'란 말이 있는 피노키오 노래가 떠올라 만들었다고 한다.[14]
  • 졸업영화제 : 2010년 10월에 만든 곡으로, 졸업영화제 축가를 불러 달라고 부탁 받아 하루만에 만든 곡이라고 한다. 다케시가 두번 등장하는데 이랑 본인이 좋아하고[15] 넣을 사람이 생각 안나서라고 한다.
  • 일기 : 2010년 8월에 만들어진 노래로, 평소 일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쓰는데다 노래로도 부른다고 한다. 이 노래도 그 중 하나
  • 프로펠러 : 2008년 8월에 만든 노래로, 럭키아파트와 작사가가 동일하다. 이 노래는 뮤직 비디오도 있다.MV 링크
  • 로쿠차 구다사이 : 2008년 2월에 만든 노래로 아나킨 프로젝트에서 <스타워즈 프로젝트 컴필레이션> 참여 권유를 받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그것이 싸이월드 배경음악으로 퍼지게 되었고, 어느 순간 우쿨렐레 커버곡으로 알려졌다고 한다.[16]


3.1.2. 2집 신의 놀이[편집]


파일:external/f203f965cea37330f130f9228ad6d6c1edd111b8274b95fc64b8195e6c5d3aa9.jpg
2016년 7월 13일 발매했다. 마지막으로 낼 앨범이라고 하며, 음반이 아닌 책으로 발매한다고 한다. 책 안에 적혀있는 음원 다운로드를 통해서 음원을 받을 수 있지만, 굳이 음원만 사고싶으면 밴드캠프를 통해 살 수 있다. 이후 어느샌가 음원 사이트에도 풀렸다.
번호곡명
1신의 놀이
2가족을 찾아서
3이야기속으로
4슬프게 화가 난다
5웃어, 유머에
6도쿄의 친구
7평범한 사람[17]
8세상 모든 사람들이 나를 미워하기 시작했다
9나는 왜 알아요
9좋은 소식, 나쁜 소식
후에 인터뷰에서 '여기서 음악은 끝. 이제 다른걸 해야지'라고 생각한 것이 아닌, 음악을 할지 안할지 모르겠다고 얘기하는 바람에 그렇게 된 것이라고 마지막 앨범이라는 사실을 정정했다.관련 인터뷰


3.1.3. 3집 늑대가 나타났다[편집]




파일:음악웹진 온음 로고.png
온음 연말결산
2021년 총결산
[ 펼치기 · 접기 ]

온음이 2022년 발표한 "2021년 총결산"의 선정 결과이다. 전체 후보 목록은 이곳에서 열람 가능하다.
올해의 앨범올해의 트랙올해의 아티스트올해의 신인
파일:4059420.jpg
파일:랑리2.jpg
파일:온음정재일.jpg
파일:Next Level Album Art.png
환상의 나라늑대가 나타났다정재일aespa
잔나비이랑
올해의 록 앨범올해의 록 트랙올해의 랩/힙합 앨범올해의 랩/힙합 트랙올해의 알앤비/소울 앨범
파일:4059420.jpg
파일:Pause_TRPP.jpg
파일:Cliché.jpg
파일:하트코어 EP 앨범커버.jpg
파일:youra_gaussian.jpg
환상의 나라PauseCliché60 BPMGAUSSIAN
잔나비TRPPKid Milli, dressHEARTCORE유라
올해의 알앤비/소울 트랙올해의 일렉트로닉 앨범올해의 일렉트로닉 트랙올해의 포크 앨범올해의 포크 트랙
파일:원슈적외선카메라.jpg
파일:SCA1(SIDE A).jpg
파일:소무-독경.jpg
파일:페트리코-장필순.jpg
파일:랑리2.jpg
적외선 카메라SCA1 (Side A)소무-독경페트리코-장필순늑대가 나타났다
원슈타인SoundSupply Service해파리장필순이랑
올해의 팝 앨범올해의 팝 트랙올해의 케이팝 앨범올해의 케이팝 트랙
파일:LILAC.jpg
파일:일시정지앨범.jpg
파일:TXT_FREEZE_앨범.jpg
파일:savagecover.jpg
LILAC마음혼돈의 장: FREEZESavage
아이유오헬렌&최솔투모로우바이투게더aespa



번호곡명
1늑대가 나타났다
2대화
3잘 듣고 있어요
4환란의 세대
5빵을 먹었어
6의식적으로 잠을 자야겠다
7그 아무런 길
8박강아름
9어떤 이름을 가졌던 사람의 하루를 상상해본다
10환란의 세대 (Choir Ver.) [18]

3집 늑대가 나타났다를 통해 2022 제31회 서울가요대상에서 올해의 발견상을 수상했다.


3.2. 비정규 및 참여앨범[편집]




3.2.1. 이랑밴드 [EP] 잘 알지도 못하면서[편집]


번호곡명
1잘 알지도 못하면서
2너의 리듬


3.2.2. 스타워즈 프로젝트 컴필레이션[편집]


2008년 3월 1일 발매했다. 스타워즈 시리즈의 비공식 이미지 팬 사운드트랙.

CD 1
번호참여 작가곡명
1타바코 쥬스요다의 하루
2타바코 쥬스I am Your Father
3E9Starship 4 Naboo
4김영진舞姬
5딸콩이와 황야의 마부R2D2가
6아오키 요다Star☆wars
7방구펑크끝없는 어두움
8박병주Human
9박병주Serial No.3
10Bloom日の出
11장경필그대 없이는
121KASoapermarket
131KABlack Angel
141KAKrasch Dance
CD 2
번호참여 작가곡명
1이랑 & 진주조개잡이와 사람낚는어부로쿠차 구다사이
2이랑 & 진주조개잡이와 사람낚는어부Love is Harrison Ford
3아나킨 프로젝트귀찮아도
4아나킨 프로젝트Skywalker
5The Hi-Lites어젯밤에 해왕성
6The Hi-Lites뭉클한 순간으로의 여행
7이한주Space
8푼돈들이번 총선에선 드로이드에게 한표를
9푼돈들내 이름은 안하의 총잡이 츄바카
10Sato YokieSolo Improvisation For Starwars


3.2.3. 신곡의 방[편집]


곡이라는 것은 대체 어떻게 만들어지는것일까요?

하늘에서 떨어지는걸까요, 땅에서 솟아나는걸까요?

새로운 곡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음악가 이랑이

다양한 게스트와 함께 즉석에서 보여드립니다.

작업은 책방 유어마인드와 재미공작소에서 격월로 진행됩니다.

과연, 어떤 곡이 탄생하게 될지 기대해주세요 !

번호발표일이라고 쓰고 작곡일이라고 쓴다참여 작가곡명
12014년 11월 19일김목인지독한 사람
22014년 12월 7일김일두문래동 일곱시
32015년 1월 21일요한 일렉트릭 바흐YOUR MIND = BLOWN
42015년 3월 7일야마가타 트윅스터너 왜 내 짤랐냐
52015년 4월 3일쿠로오카 마사히로망가진 쯔토고로
62015년 5월 17일홍샤인UK 작명사무소
72015년 6월 19일김오키곰돌이 살려야 한다
82015년 7월 17일회기동 단편선삼치
92015년 8월 21일김원준[19]Something Like, You Know...
102015년 9월 25일키라라There’s Not Many Words In My Dictionary
112015년 10월 22일김사월피칠갑
122015년 11월 2일이랑iPhone 음성메모환란의 세대


4. 논란[편집]


파일:external/image.fmkorea.com/92bb486eeddfffb89648f9c26250c508.png
남성혐오 발언을 한 적이 있다.
@1 @2 @리트윗
그런데 트로피 판매 논란에서 더 나아가 이러한 트로피 경매에 비난하는("돈 안되는 음악하며 불평하지 말고 돈 되는 일 해라") 사람들에게 반박하며 트위터에 자기 생각엔 돈 되는 일 = 한남으로 태어나기 라기라는 발언과 '혐한남꼴, 자들자들' 등의 표현을 트위터에 사용 및 과거의 남혐 트윗들이 발굴되어 논란을 자아내고 있다. 기사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5270454491.png
트윗들을 보면 아마도 나무위키를 보고 있는 것 같다. 나무위키의 본 문서 당시 리비전을 캡쳐해서 트위터에 올렸었다.
파일:external/s23.postimg.org/sdfsdfsdf.jpg
인용된 웹사이트는 여성생활 미디어 핀치. 인용글은 핀치가 개인정보 무단열람 논란으로 망했긴 했지만 아카이브 차원에서 남겨둬 소실을 피할 수 있었다.


5. 출판[편집]




5.1. 이랑 네컷 만화[편집]


파일:external/www.mintpaper.com/2lang_comic.jpg

일상툰 형식의 만화책이다. 후반부로 갈수록 인생에 대한 고민을 주제로 한 비현실적인 표현방법이 늘어난다고 한다. 네이버 웹툰 우바우의 1인칭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5.2. 모쪼록 잘 부탁드립니다[편집]


보노보노의 작가 이가라시 미키오와의 콜라보 에세이.


6. 수상[편집]


  • 2017년 제14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포크 노래 - '신의 놀이'
  • 2022년 제31회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발견상 - <늑대가 나타났다>
  • 2022년 제19회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 최우수 포크 음반 - <늑대가 나타났다>





6.1. 한대음 시상식 트로피 판매 퍼포먼스[편집]


2017년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최우수 포크 노래 부문 수상을 했는데, 무대 위에서 즉석으로 상패를 경매로 팔았다. 집 월세인 50만원부터 경매를 시작 했는데, 한명이 참여하여 시작가인 50만원에 낙찰되었다. (실제 한대음 수상 소감)

트로피를 즉석으로 팔아버린 것을 음악을 팔아버렸다며 발언한 페북 발 글로 인해 트위터에서 맨스플레인 논란이 일었었다. #

그러나 허핑턴포스트코리아의 기사에 따르면 "일단 시상식에서 수상 여부는 알려주지 않고 참석하라는 메일이 왔을 때, 혹시 받게 되면 경매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라는 인터뷰를 한 것으로 보아 미리 준비해둔 퍼포먼스였던 것 같다. #

이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달랑 한명 응찰한 사람이 그 자리에서 바로 '현찰'(...)을 주고 받아갔다는 것이다.. 요즘 세상에 누가 현찰을 주머니에 50만원씩 가지고 다니냐는 것 부터 미리 계획한 퍼포먼스라는 게 티가 났다.

또한 "경매 말고도 몇 가지 퍼포먼스를 생각했지만, 아침에 통장 잔액을 확인하고 나 자신도 놀라서 정확한 숫자를 알려줘야겠다는 생각에 경매로 결정했다"며 자신의 생활고를 공개하였다.

경매 시작가가 50만원이었는데 그대로 낙찰됐다며 '판을 잘못 짰다'라며 자조하기도 했다.

경향신문장도리만평에서도 예술가들의 생활고에 대한 현실로 언급되었다. #


6.2. 2022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 검열 피해 논란[편집]


2022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본인의 3집 타이틀곡인 늑대가 나타났다를 부를 예정이었던 이랑의 기념식 출연이 갑자기 취소되면서, 행정안전부가 국가적 행사를 빌미로 문화·예술계를 재차 검열하려는 것이 아닌지 논란이 벌어졌다.#

이랑은 2021년 8월 늑대가 나타났다를 발표했고, 이 노래로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한국대중음악상을 받기도 했다. 당시 부마항쟁기념재단은 올해(2022년) 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꼭 불러 달라고 약속했다. 그런데 2022년 기념식 공연을 3주 앞둔 9월 말에, 행정안전부가 기념재단 측에 "해당 노래(늑대가 나타났다)"를 빼 달라고 요청한 정황이 발각된 것이다.

보도는 강상우 감독이 들은 "이거(늑대가 나타났다)를 빼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왔다. 그 지시를 수행하지 않으면 재단의 존립이 위험하다."라는 행정안전부 관계자의 전언과, "행안부가 무색무취한 기념식을 원한다"는 말을 들었다는 부마항쟁기념재단의 주장을 실었다.

그러면서 행정안전부는 이랑에게는 상록수를 불러 주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감독과 이랑이 이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자, 행정안전부는 다른 가수와 감독을 뽑아 행사를 진행했다. 이랑은 보도에서 이 사건을 두고 "나는 그런 가수가 아니다. 같이 활동하는 밴드들한테도 무례하고, 이 얘기는 아예 전달하고 싶지 않았다."라는 소회를 남겼다.

행정안전부는 일련의 일에 대해, "미래 지향적인 밝은 느낌의 기념식이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을 뿐, 검열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랑은 본인을 둘러싼 검열 논란을 다룬 JTBC의 보도#가 공개되자마자, 본인의 트위터 계정에 인용 트윗으로 이 보도를 소개한 뒤, "늑대가 안 나타났다"라는 짧은 메시지를 덧붙였다.

JTBC의 검열 논란 보도를 두고 검열 논란이 확산되자, 행정안전부는 공식 트위터 계정에 반박 입장을 게시했다.# 입장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행안부는 기념식 행사에서 특정 곡을 검열한 사실이 없으며, 총감독과 가수 교체를 요청한 사실이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올해 제43주년 기념식이 미래세대와 부마항쟁의 성과를 공유한다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밝고 희망찬 분위기의 선곡을 검토해 달라는 의견을 재단에 전달한 바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 중도 사퇴한 공연 관계자와의 정산 방식에서는 기념식 행사 용역 대행업체와 재단에서 현재 논의 중임을 알려 드립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9:51:07에 나무위키 이랑(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명. 심지어 가족 형제 모두 외자를 쓰고 있다고 한다.[2] 뮤지션이자 공연기획자인 박다함이라고 한다 인터뷰 링크[3] 다른 노래들보다 다른 느낌이 드는 이유는 춤추면서 만들었기 때문이라고..인터뷰 링크[4] 평소에도 우울하고 슬프고 잠 안올때 밤에 기타를 치면서 일기를 말하는 듯 노래를 만든다고 한다[5] 그래서 이 노래의 첫 멜로디가 <꼬마 자동차 붕붕>이라고 한다[6] 나무의 진짜 이름은 본인도 모른다고 한다[7] 가을에는 낙엽이 다 들어오고, 여름엔 햇빛을 가리는 데다가 꽃가루 까지 들어와 엄청 싫어했다고 한다[8] 독립 영화 사류射流(2015)의 감독[9] 원래는 그 당시 사귀던 남자친구와 노래를 같이 부르고 싶었는데, 남친과는 목소리가 안맞았다고 한다.[10] 윤상정씨는 이랑, 이랑의 남친과 서로 엄청 친한 친구였다고 한다.[11] 돌고래의 울음소리의 의성어[12] 3학년 때 찍은 영화를 편집중이였다고 한다[13] 다만 멜로디는 구전 민요와는 완전 다르다 영상 링크[14] 노래의 발단은 학교에 살기 직전에 간 프랑스 여행 중, 돈이 없어 친구와 함께 스타벅스 아이스 라떼를 하나 시켜놓고 먹는데, 옆에 아이들이 커다란 초코칩 프라푸치노 같은걸 시켜놓고 먹는걸 보고는 거기에 노래를 지어 부른게 발단이 되었다고 한다[15] 심지어 게닌 시절 다케시마저도 좋아한다고 한다[16] 실제로 같이 공연하는 팀 중 우쿨렐레 팀이 있으면, 사람들이 깜짝 놀라면서 '이 노래 우리가 부르려고 했는데, 이거 이랑씨 노래냐'고 묻는적이 있었다고 한다[17] 2020년에 개봉한 영화 여름날의 엔딩 크레딧에 해당 곡이 삽입되었다. [18] 2020 6월 20일 선공개[19] 밴드 코가손의 보컬 겸 기타를 맡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