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릉

덤프버전 :

1.1. 고려 천추태후가 안장된 유릉(幽陵)
1.2. 고려 16대 왕 예종이 안장된 유릉(裕陵)
2.1. 조선 27대 왕 순종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가 안장된 유릉(裕陵)
3. 중국 황릉
3.1. 서하 추존 황제 이계천이 안장된 유릉(裕陵)
3.2. 명나라의 6대 황제 영종 정통제가 안장된 유릉(裕陵)
3.3. 청나라의 6대 황제 고종 건륭제가 안장된 유릉(裕陵)


1. 고려왕릉[편집]



1.1. 고려 천추태후가 안장된 유릉(幽陵)[편집]


고려 5대 왕 경종의 3비 헌애왕후 황보씨의 능이다.

고려사에 따르면, "현종 20년(1029년) 정월 숭덕궁(崇德宮)에서 훙서하니 나이는 66세였고, 유릉(幽陵)에 장사지냈다."라는 기록이 있다.고려사 기록

참고로, 유릉에서 유(幽)라는 시호는 상당히 좋지 않은 단어로서, 천추태후에 대한 후손들의 평가가 얼마나 좋지 않은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유(幽)라는 시호의 뜻은 動察難常(동찰난상), 나라가 크게 어지럽다라는 뜻이다.


1.2. 고려 16대 왕 예종이 안장된 유릉(裕陵)[편집]


북한행정구역개성시에 있는 고려 제16대 예종이 안장된 왕릉.


2. 대한제국 황릉[편집]


[ 펼치기 · 접기 ]

목조효공왕후익조정숙왕후
덕릉德陵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
도조경순왕후환조의혜왕후
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
태조신의왕후신덕왕후정종, 정안왕후
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
태종, 원경왕후세종, 소헌왕후문종, 현덕왕후단종
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
정순왕후세조, 정희왕후덕종, 소혜왕후예종, 안순왕후
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
장순왕후성종, 정현왕후공혜왕후제헌왕후
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회릉懷陵
연산군, 거창군부인중종단경왕후장경왕후
연산군묘燕山君墓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
문정왕후인종, 인성왕후명종, 인순왕후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태릉泰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
공성왕후광해군, 문성군부인원종, 인헌왕후인조, 인열왕후
성릉成陵광해군묘光海君墓장릉章陵장릉長陵
{{{-2 경기 [[남양주시|{{{#bf1400
남양주}}}]]}}}
효종, 인선왕후현종, 명성왕후장렬왕후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영릉寧陵숭릉崇陵휘릉徽陵명릉明陵
인경왕후옥산부대빈경종, 선의왕후단의왕후
익릉翼陵대빈묘大嬪墓의릉懿陵혜릉惠陵
영조, 정순왕후정성왕후진종, 효순왕후장조, 헌경왕후
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융릉隆陵
정조, 효의왕후순조, 순원왕후문조, 신정왕후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
철종, 철인왕후고종, 명성황후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예릉睿陵홍릉洪陵유릉裕陵
폐지된 능호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성릉成陵 | 숙릉肅陵 | 문릉文陵





2.1. 조선 27대 왕 순종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가 안장된 유릉(裕陵)[편집]


홍유릉 문서 참조.


3. 중국 황릉[편집]



3.1. 서하 추존 황제 이계천이 안장된 유릉(裕陵)[편집]




3.2. 명나라의 6대 황제 영종 정통제가 안장된 유릉(裕陵)[편집]




3.3. 청나라의 6대 황제 고종 건륭제가 안장된 유릉(裕陵)[편집]


제6대 황제 고종 건륭제의 능으로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 청동릉에 위치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21:15:02에 나무위키 유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