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의회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2018.7.1. ~ 2022.6.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7석, 시장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5석
재적
22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의회
蔚山廣域市議會 | Ulsan Metroplitan Council
파일:울산광역시의회 본회의장.jpg

소재지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신정동)
구성단원제, 다당제
개회1997년 7월 15일[1]
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기환(중구 제2선거구)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룡(중구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길(동구 제3선거구)
사무처장이선봉
시의원파일: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의석수(231204).svg
정원 22석 중 재적 22인 (제8대 의회)

시장 소속 정당: 국민의힘(20석)
그외 원내정당: 더불어민주당(2석)

(2024년 6월 9일 기준)
최근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차기 선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6년)
홈페이지울산광역시의회 홈페이지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의회 구성
2.1. 의석 현황
2.2. 의회 분포 및 현황
2.3. 의회 기구
4. 의장
5. 부의장
6. 역사
6.1. 제7대 의회
7. 역대 울산광역시의회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울산광역시의회.jpg
울산광역시지방의회.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에 위치해 있다.

1962년 울산시로 승격되며 1991년 4월 15일에 울산시의회가 개원하였고, 이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되며 1997년 7월 15일에 울산광역시의회가 개원하였다.

민주노동당이 존속하던 시대에는 진보계 지지율이 높았던 만큼 민주당계 정당 대신 민주노동당이 원내 2당을 차지했었다. 그러다가 2012년 통합진보당 사태이후로 진보계 지지성향이 줄어들었고 2014년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민주당계 정당이 타 지역과 큰 차이는 없어진편이다.

2. 의회 구성[편집]



2.1. 의석 현황[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석2석
울산광역시의회에는 지역구 19석, 비례대표 3석이 할당되어 있으며 현재 제1당은 지역구 18석, 비례대표 2석으로 시정여당인 국민의힘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으로 제2당이다.

2.2. 의회 분포 및 현황[편집]


  • 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공석([[--선거구)
    • 환경복지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영해(남구 제6선거구)
    • 행정자치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종섭(중구 제4선거구)
    • 산업건설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문석주(북구 제2선거구)
    • 교육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홍성우(울주군 제2선거구)
  • 특별위원회

2.3. 의회 기구[편집]


  • 시의회 의장
    • 시의회 부의장(2인)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환경복지위원회
      • 산업건설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에너지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 의회사무처
    • 의정담당관
      • 총무담당
      • 공보담당
      • 의사담당
      • 의장비서관
    • 입법정책담당관
      • 입법정책1담당
      • 입법정책2담당
    • 운영전문위원실
      • 행정자치전문위원실
      • 환경복지전문위원실
      • 산업건설전문위원실
      • 교육전문위원실

3. 선거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울산광역시의회/선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의장[편집]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의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제2대 의회
제2대 의회
제3대 의회
전,후
오해김무열김철욱
제4대 의회
제4대 의회
제5대 의회
제5대 의회
김철욱윤명희박순환서동욱
제6대 의회
제6대 의회
제7대 의회
제7대 의회
박영철윤시철황세영박병석
제8대 의회
김기환



의회대수이름임기선출 당시 정당
1오해용1997년 7월 15일[2] ~ 1998년 6월 30일
ta-hash-start=w-6cabc1fcfce6836519b76a0ce20d67d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8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무열2000년 7월 9일 ~ 2002년 6월 30일
3김철욱2002년 7월 9일 ~ 2004년 7월 8일
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42006년 7월 1일 ~ 2008년 6월 30일
윤명희2008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5박순환2010년 7월 1일 ~ 2012년 6월 30일
서동욱2012년 7월 1일 ~ 2014년 3월 27일[3]
ta-hash-start=w-9bc99c590be3511b8d53741684ef574c[[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박영철2014년 7월 15일 ~ 2016년 7월 14일
윤시철2016년 7월 15일 ~ 2018년 4월 16일[4]
7황세영2018년 7월 1일 ~ 2020년 6월 30일
박병석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8김기환2022년 7월 1일 ~

5. 부의장[편집]




6. 역사[편집]



6.1. 제7대 의회[편집]


  • 2020년 7월에 제7대 후반기 의회를 개원하면서, 여야 시의원들은 후반기 원구성 과정에서 상임위원장 배분 등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 의장단 선거과정에서는 폭언과 몸싸움이 오가는 등 극한 대립을 이어가며,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상임위원장 자리를 안 준다고 황세영 전 의장을 감금하고 투표함을 막기도 하였다.

7. 역대 울산광역시의회[편집]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2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17석)
11석1석5석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3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19석)
15석3석1석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19석)
15석4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5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26석)
교육의원
13석7석2석4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22석)
21석1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22석)
17석5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22석)
20석2석

8. 관련 문서[편집]




[1] 전신인 울산시의회는 1991년 4월 15일 개원.[2] 97.7.15:울산광역시의회 개원, 경상남도 울산시의회 승계[3] 6회 지선 남구청장 출마를 위한 사퇴[4] 7회 지선 울주군수 출마를 위한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