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천고등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오산시 CI_White.svg 경기도 오산시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매홀고등학교성호고등학교세교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
오산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운암고등학교운천고등학교
푸른색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기본 바탕은 남녀공학.
⊙: 자율형사립·공립고, ▣: 특목고, ◈: 특성화고, #: 각종학교, 이외 일반계고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운천고등학교전경.jpg
학교 전경

운천고등학교
雲川高等學校
Uncheon High School
파일:운천고등학교교표.png

개교2003년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공립
교장제7대 장기혁
교감김종성
교훈신념·자중·봉사
교화장미
교목소나무
교조독수리
학생 수877명[기준]
교직원 수71명[기준]
관할 교육청경기도교육청
주소경기도 오산시 운천로 193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5. 교훈
3.6. 교가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교 일과
7. 운동부
8. 출신 인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9.2. 철도
10. 사건 사고
11.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2. 학교 연혁[편집]


날짜연혁
2003.01.13운천고등학교 설립인가 (1학년 8학급)
2003.03.01초대 홍장표 교장 취임
2003.03.06제 1 회 입학식 (8학급 253명)
2003.04.01초대 운천고등학교운영위원회 조직
2003.10.21학급 증설인가 (18학급)
2004.10.18운천고등학교 도서관 '청운재' 개관
2004.10.19학급 증설인가 (26학급)
2005.10.21학급 증설인가 (30학급)
2006.01.10교육정책 연구학교 지정 (2006년 3월~2008년 2월)
2006.02.08제 1 회 졸업식 (총 233명 졸업)
2011.05.01오산혁신교육지구 물향기학교 지정
2011.12.01경기도교육청지정 혁신학교 지정
2012.03.01경기도교육청지정 자율학교 지정
2016.03.01혁신학교 재지정
2018.03.01도지정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지정
오산혁신교육지구 오산형 고교학점제 시범 운영
2019.03.01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지정 (2019년 3월~2022년 2월)
2020.01.08제15회 졸업식 (총 336명 졸업), (누계 5,228명 졸업)
2020.09.01제6대 박교선 교장 취임
2021.03.01혁신학교 재지정
2022.09.01제7대 장기혁 교장 취임


3. 교훈 및 상징[편집]


  • 출처: 운천고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편집]


파일:운천고등학교교표.png
  • 중앙에 소나무, 외각에 장미와 독수리 형상을 로고화 하였으며 녹색은 "영원한 생명", 중앙의 노란색은 "밝고 명랑함", 외곽의 붉은색은 "정열과 열정"을 나타냄.


3.2. 교화[편집]


파일:운천고등학교교화.png
  • 진한 장미 꽃처럼 일에 대한 깊은 열정과 타인에 대한 사랑으로 봉사하는 학생을 기르기 위함.


3.3. 교목[편집]


파일:운천고등학교교목.png
  • 사계절 푸른 기상과 불의에 굽히지 않는 절개와 고고한 기품을 지닌 운천인을 기르기 위함.


3.4. 교조[편집]


파일:운천고등학교교조.png
  • 비바람에 굴하지 않고 높이 올라 먼 곳을 바라보는 독수리처럼 넓고 높은 식견을 가진 학생을 기르기 위함.


3.5. 교훈[편집]


신념·자중·봉사


3.6. 교가[편집]


파일:운천고등학교교가.png


4. 학교 특징[편집]


  • 양아치, 일진이 거의 없다.[1] 오산경찰서가 바로 근처에 있어서[2] 나쁜 짓하기엔 눈치보이는 환경도 한 몫한다. 그리고 대부분 인근의 운암주공아파트, 센트럴푸르지오, 오산시티자이 아파트, 동탄 LH아파트, NHFL아파트에서 사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중산층 가정에 사는 학생들이 많다. 그래서 대체로 무난하지만 크게 튀는 학생은 없는, 평범한 아이들을 만나볼 수 있다.
  • 북서쪽에 오산스포츠센터, 오산문화예술회관, 오산시시립미술관이 있기 때문에 문화생활하기 편하다. 사실 운천고 학생들은 수행평가 실적 쌓는 용도로 이용한다.
  • 남서쪽에 오산중앙도서관이 있기 때문에 독서하기 편하다. 도서관 열람실은 운천고 학생들이 애용하고 있다.
  • 지근거리에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거룩한교회가 있다. 그래서인지 기장 소속 신자들이 은근히 많은 편. 한신대학교도 2016년에 운천고와 문화교류 협약을 체결했었다. 사실상 진행하는 활동은 없다


5. 학교 시설[편집]


  • 청운재. 도서관. 중앙계단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해 있다. 장서량은 아주 많은 편이고 공부할 공간도 충분해 점심시간, 방과후로 자율학습 및 야자를 하는 학생들이 꽤 있는 편.

  • 4.5층 교실
4층 교실이 있는곳에서 구름다리를 지나면 복도 끝에 2학년 세개반만 떨어져있다. 그런데 반층정도의 계단을 올라가야해서 흔히 4.5층이라고 불린다 2학년 반배정이 나올때 이쪽반에 배정된 학생들이 많이 절망하곤한다

  • 과학실
-과학실1실
올해(2023년) 리모델링을 해서 매우 깔끔하고 시설이 더욱 좋아졌다. 위험한 실험은 주로 이곳에서 진행하며 화학실이라고 불리기도한다. 비커, 스포이트, 전자저울 등 대부분의 실험기구가 여기에 있다

-과학실2실
리모델링을 하지않아 원래 시설 그대로이다. 조금 낡았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예산부족으로 2실은 리모델링을 진행하지 못했다고 한다..

6. 학교 생활[편집]




6.1. 주요 행사[편집]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2년에 한 번씩 교내의 동아리들을 긁어모아 부스를 운영하는 연말 축제를 한다. 짝수 해마다 개최하는데,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열리지 않아 2021년에 대신 개최될지 확실치 않다. 축제는 하루종일 전 교정이 꽉 차도록 열리는 편.

  • 매년 5월의 체육대회에서는 유서 깊은 교직원 축구게임이 있다. 두 분의 체육선생님은 무조건 한 팀에 몰아넣지 않는다. 교장, 교감선생님도 참여하시기 때문에 호응이 대단하다.

  • 매년 수능 후 1~2주간 점심시간 체육관에서 수능 뒷풀이 축제를 개시한다. 수능이 끝난 건 3학년이지만 대부분 학교에 나오지 않아(...) 정작 1, 2학년들이 축제를 즐기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체육관 무대에서 교내 댄스동아리, 힙합동아리 등의 합동공연이나 개인의 장기자랑 등으로 1~2주가 꽉 채워진다. 참여하는 사람은 단번에 교내 인기스타로 자리매김한다.


6.2. 학교 일과[편집]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7. 운동부[편집]


  • 태권도부. 방과후 체육관을 거의 독점한다.


8. 출신 인물[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9.1. 버스[편집]



운천고교.운천초교/운암주공2.3단지.운천고(24161·24165·24170)
일반
직행좌석
마을


9.2. 철도[편집]




10. 사건 사고[편집]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11.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5:58:15에 나무위키 운천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년 4월 1일[1] 이것과 별개로 2019년에 학교폭력 예방 영상을 촬영하기도 했다.[2] 경찰서 입구까지 200m 밖에 안된다. 걸어서 5분 거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