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산구청장

덤프버전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rowbgcolor=#E61E2B> 종로 ||<bgcolor=#E61E2B><width=20%> ||<bgcolor=#808080><width=20%> 용산 ||<bgcolor=#004EA1><width=20%> 성동 ||<bgcolor=#E61E2B><width=20%> 광진 ||
|| 정문헌 || 김길성 || 박희영 || 정원오 || 김경호 ||
||<bgcolor=#E61E2B> 동대문 ||<bgcolor=#004EA2> 중랑 ||<bgcolor=#004EA2> 성북 ||<bgcolor=#004EA2> 강북 ||<bgcolor=#E61E2B> 도봉 ||
|| 이필형 || 류경기 || 이승로 || 이순희 || 오언석 ||
||<bgcolor=#004EA2> 노원 ||<bgcolor=#004EA2> 은평 ||<bgcolor=#E61E2B> 서대문 ||<bgcolor=#E61E2B> 마포 ||<bgcolor=#E61E2B> 양천 ||
|| 오승록 || 김미경 || 이성헌 || 박강수 || 이기재 ||
||<bgcolor=#004EA2> 강서 ||<bgcolor=#E61E2B> 구로 ||<bgcolor=#004EA2> 금천 ||<bgcolor=#E61E2B> 영등포 ||<bgcolor=#E61E2B> 동작 ||
|| 진교훈 || 문헌일 || 유성훈 || 최호권 || 박일하 ||
||<bgcolor=#004EA2> 관악 ||<bgcolor=#E61E2B> 서초 ||<bgcolor=#E61E2B> 강남 ||<bgcolor=#E61E2B> 송파 ||<bgcolor=#E61E2B> 강동 ||
|| 박준희 || 전성수 || 조성명 || 서강석 || 이수희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명완식
제2대
김명회
제3대
김복진
제4대
지성준
제5대
이명세
제6대
지성준
제7대
김인배
제8대
이성우
제9대
최익명
제10대
정종갑
제11대
심륜
제12대
기천식
제13대
이규효
제14대
홍석철
제15대
기천식
제16대
이우영
제17대
이상복
제18대
박용희
제19대
이동춘
제20대
도지훈
제21대
박종문
제22대
이인제
제23대
원동진
제24대
이원종
제25대
강덕기
제26대
이문재
제27대
허재구
제28대
유중호
제29대
허재구
제30대
이호조
제31대
이준우
제32대
지건흥
제33대
설송웅
제34대
성장현
제35-37대
박장규
제38-40대
성장현
제41대
박희영
파일:용산구 BI.svg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
서울特別市 龍山區廳長
Mayor of Yongsan-gu
파일:박희영구청장.jpg
현직박희영 / 제41대 (민선 8기)
취임일2022년 7월 1일
정당
무소속

1. 개요
2. 상세
3. 역대 구청장
4. 역대 선거 결과
5. 역대 구정 목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은 서울특별시 용산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의 장이다. 근무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150번지(이태원동)에 있는 용산구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편집]


역대 민선 구청장들 대부분이 구의원 출신으로, 민선1기 설송웅 구청장을 제외한 모든 구청장들이 용산구의원을 1회 이상 역임했다.


3. 역대 구청장[편집]


대수성명임기비고
초대명완식1948.5.31 ~ 1949.2.17관선(김형민 시정)
2대김명회1949.4.12 ~ 1952.4.3관선(윤보선 시정)
3대김복진1952.4.4 ~ 1954.3.16관선(김태선 시정)
4대지성준1954.3.17 ~ 1954.11.28관선(김태선 시정)
5대이명세1954.11.29 ~ 1957.8.8관선(김태선 시정)
6-7대지성준1957.8.9 ~ 1960.5.12관선(고재봉, 임흥순 시정)
8대이성우1960.5.13 ~ 1961.6.25관선(장기영 시정)
9대최익명1961.8.5 ~ 1962.8.1관선(윤태일 시정)
10대정종갑1962.8.2 ~ 1963.5.21관선(윤태일 시정)
11대심륜1963.5.25 ~ 1964.7.26관선(윤태일 시정)
12대기천식1964.7.27 ~ 1965.10.5관선(윤치영 시정)
13대이규호1965.10.5 ~ 1966.5.14관선(윤치영 시정)
14대홍석철1966.5.15 ~ 1968.5.20관선(김현옥 시정)
15대기천식1968.5.21 ~ 1969.11.19관선(김현옥 시정)
16대이우영1969.11.20 ~ 1970.10.19관선(김현옥 시정)
17대이상복1970.10.20 ~ 1971.6.20관선(양택식 시정)
18-19대박용희1971.6.21 ~ 1973.6.30관선(양택식 시정)
20대도지훈1973.7.1 ~ 1974.11.14관선(양택식 시정)
21대박종문1974.11.15 ~ 1976.2.25관선(구자춘 시정)
22대이인제1976.2.26 ~ 1978.3.3관선(구자춘 시정)
23대원동진1978.3.4 ~ 1980.7.27관선(구자춘 시정)
24대이원종1980.7.28 ~ 1981.8.19관선(정상천 시정)
25대강덕기1981.8.20 ~ 1982.9.9관선(박영수 시정)
26대이문재1982.9.10 ~ 1984.1.14관선(김성배 시정)
27대허재구1984.1.14 ~ 1985.3.14관선(염보현 시정)
28대유중호1985.3.14 ~ 1988.5.12관선(염보현 시정)
29대허재구1988.5.12 ~ 1992.11.18관선(김용래 시정)
30대이호조1992.11.18 ~ 1993.12.29관선(이상배 시정)
31대이준우1993.12.30 ~ 1995.3.19관선(이원종 시정)
32대지건흥1995.3.20 ~ 1995.6.30관선(최병렬 시정)
33대설송웅1995.7.1 ~ 1998.6.30민선 1기

34대성장현1998.7.1 ~ 2000.4.25[1]민선 2기
ta-hash-start=w-d93b3d7650696d5b93f3da79f57afe5f[[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35-37대박장규2000.6.9 ~ 2010.6.30재보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민선 3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민선 4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40대성장현2010.7.1 ~ 2022.6.30민선 5기
ta-hash-start=w-b9b3736658339a45ba4369383702a4fe[[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 6기
ta-hash-start=w-7e62aea13e8335cac1e0aed53520c6ed[[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 7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대박희영2022.7.1 ~ 현재민선 8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2010년[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지용훈(池容勲)45,415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4.07%낙선
2성장현(成章鉉)48,8421위

ta-hash-start=w-6aca774f4adafd877e75508dfca5e550[[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47.39%당선
3서정호(徐正昊)5,2083위

ta-hash-start=w-bac146ef43c3c4fd224c5444e60faa93[[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5.05%낙선
7정재진(鄭在鎭)2,5594위


2.48%낙선
8김복남(金福南)1,0245위


0.99%낙선
선거인 수198,044투표율
53.03%
투표 수105,020
무효표 수1,972


4.2. 2014년[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춘자(黃椿子)52,3372위

ta-hash-start=w-535a28ce25f8b015d7799afe79d5b92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5.03%낙선
2성장현(成章鉉)58,2931위

ta-hash-start=w-418418bded81c1e14d67cf731b42a7b9[[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50.11%당선
4정연욱(鄭然旭)5,6383위
4.85%낙선
선거인 수204,529투표율
57.79%
투표 수118,207
무효표 수1,993

4.3. 2018년[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장현(成章鉉)66,0201위
57.93%당선
2김경대(金敬大)38,1422위
33.46%낙선
3박홍엽(朴弘燁)9,8023위
8.60%낙선
선거인 수200,009투표율
58.02%
투표 수116,049
무효표 수2,085

4.4. 2022년[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철식(金撤植)38,6362위
37.34%낙선
2박희영(朴熙英)62,7881위
60.68%당선
4박규정(朴圭貞)2,0513위
1.98%낙선
선거인 수199,061투표율
52.64%
투표 수104,784
무효표 수1,309

8회 지선 용산구청장 선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철식박희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636
(37.33%)
62,788
(60.67%)
- 24,152
(▼23.34)
104,784
(52.63%)
후암동47.05%50.18%▼3.1348.83
용산2가동46.19%51.10%▼4.9046.87
남영동43.20%54.52%▼11.3237.43
청파동[*A ]49.03%48.53%△0.5043.24
원효로1동39.29%58.84%▼19.5549.82
원효로2동41.75%56.21%▼14.4752.47
효창동42.96%55.15%▼12.1954.26
용문동42.63%55.40%▼12.7754.27
한강로동[*B ]29.58%69.16%▼39.5850.08
이촌1동[*C ]21.04%77.64%▼56.6057.94
이촌2동[*D ]37.20%61.00%▼23.8058.39
이태원1동32.86%65.01%▼32.1545.06
이태원2동38.45%59.15%▼20.7044.34
한남동[*E ]29.96%68.57%▼38.6140.68
서빙고동[*F ]26.25%71.70%▼45.4651.20
보광동41.01%55.33%▼14.3346.23
후보김철식박희영격차
거소·선상투표31.73%63.47%▼31.73
관외사전투표42.39%55.90%▼13.51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 보수세가 짙어진 용산답게 박희영 후보가 무난하게 60%를 넘기며 승리하였다. 동 별로 봐도 숙명여자대학교가 있는 청파동[3]를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이겼다.

5. 역대 구정 목표[편집]


구청장구정 목표
설송웅 (민선 1기)-
성장현 (민선 2기)-
박장규 (민선 2-4기)-
성장현 (민선 5-7기)세계의 중심 이제는 용산시대
박희영 (민선 8기)파일:용산구 민선8기 슬로건.svg


[1]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형 판결[2] 2023.02.09 국민의힘 탈당[3] 여기도 0.5%p 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