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왕태(고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고려 태조의 왕자
왕태 | 王泰
출생912년 이후 923년 이전 추정 [1]
사망미상
태(泰)
부모부왕 태조
모후 신명순성왕후
형제자매25남 10녀 중 차남
배우자흥복원부인의 딸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고려 창업군주 태조와 제3비 신명순성왕후의 아들.


2. 생애[편집]


태자 왕태는 태조신명순성왕후의 장남이다.[2] 이복형으로 혜종이 있고, 동복동생으로 정종, 광종, 문원대왕 왕정, 증통국사(證通國師), 낙랑공주흥방궁주가 있다. 왕태는 태조와 제12비 흥복원부인 홍씨의 딸, 즉 이복동생과 족내혼을 했으며 후사를 보지 못했다.


3. 가족관계[편집]


  • 부 : 태조
  • 모 : 신명순성왕후
    • 형제 : 정종
    • 형제 : 광종
    • 형제 : 문원대왕
    • 형제 : 증통국사(證通國師)[3]
    • 자매 : 신란궁부인
    • 자매 : 흥방궁주



4. 대중매체[편집]


충주부인 유씨의 장남으로 태어난다. 왕태의 모친 유씨는 왕태를 정윤으로 세우려고 장화왕후 오씨와 갈등하나, 왕태는 요절하고 두 부인은 화해한다.

956년경 피를 쏟으며 죽는다. 왕태의 죽음은 왕소가 궁궐에서 쫓겨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9:52:01에 나무위키 왕태(고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의 이복형인 혜종이 912년에 출생했고, 동복동생인 정종이 923년에 출생했으므로 그 사이로 추정된다.[2] 고려사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3남 이하로 추정된다. 즉위 가능성이 높아 족외혼을 했던 정종과 다르게 왕태는 족내혼을 했고, 징효대사탑비에 정종과 광종이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로 기록되어있기 때문이다. 혼인 순서가 혜종/정종의 딸보다도 늦다는 점을 고려하면 문원대왕보다도 늦게 태어났을 가능성이 있다.[3] 시호로 보아 승려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