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왕쉬줘

덤프버전 : (♥ 0)

||


왕쉬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연도우승팀선수
시즌 1
(2013 윈터)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Zz1tai · Kid · Illusion · PDD · XiaoXiao
시즌 2
(2014)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Koro1 · Clearlove · Fireloli · U · NaMei · Fzzf
2015 스프링Koro1 · [[밍카이|{{{#c0c0c0
Clearlove}}}]] · PawN · Deft · Meiko
2015 서머Koro1 · AmazingJ · Clearlove · BaeMe · PawN · Deft · Meiko
2015 파이널Koro1 · Clearlove · BaeMe · Deft · Meiko
2016mouse · Koro1 · clearlove · scout · pawN · deft · meiko
2017 서머파일:RNG 로고 2017.svgLetme · Mlxg · xiaohu · wuxx · ming
2017 윈터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Ray · Haro · Scout · iBoy · Meiko
2018 서머파일:RNG 로고 2017.svgZz1tai · Karsa · xiaohu · Able · Ming
2018 윈터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Duke · Ning · Rookie · JackeyLove · West · Baolan
2019파일:RNG 로고 2017.svgLangx · XLB · Xiaohu · Betty · Ming
2020파일:TES 로고 2019.svg369 · Karsa · knight · JackeyLove · Zhuo · Photic · yuyanjia
2021Qingtian · Zoom · Wayward · Xiaopeng · Tian · knight · JackeyLove · Zhuo
2022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n · XUN · Yagao · Elk · ON · Jwei
2015 파이널: 2015 데마시아 컵 스프링 / 서머 1, 2위 팀들이 초청되어 당해 최강팀을 가리는 최종전이다.






파일:NIP_Zhuo_2023_Split_2.png
Ninjas in Pyjamas
Zhuo
[1]
왕쉬줘 (王旭卓[2] | Wang Xuzhuo)
출생2001년 2월 13일 (23세)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IDSUPG0D 12 #
포지션서포터
소속Unlimited Potential
(2018.03.02 ~ 2018.03.05)
Moss Seven Club
(2018.06.29 ~ 2018.12.16)
Team WE
(2018.12.16 ~ 2019.03.25)
Team WE Academy
(2019.03.25 ~ 2020.12.15)
Top Esports
(2020.12.15 ~ 2022.12.14)

Ninjas in Pyjamas
(2022.12.15 ~ 2023.11.21예정)

1. 개요
2. 수상 경력
3. 선수 경력
3.1. 2021 시즌
3.2. 2022 시즌
3.3. 2023 시즌
4. 여담



1. 개요[편집]


중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PLNinjas in Pyjamas 소속 서포터.


2.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2020 LDL Spring 우승
Invictus Gaming YoungTeam WE AcademyInvictus Gaming Young
2020 Demacia Cup 우승
2021 Demacia Cup 우승
Royal Never Give UpTop EsportsBilibili Gaming Pingan Bank

3. 선수 경력[편집]



3.1. 2021 시즌[편집]


WE Academy 시절 기록한 스텟은 좋았지만 1군팀이었던 WE는 Missing이라는 젊고 상위리그의 경험치를 많이 먹은 서포터[3]가 있었기에 1군 승격은 요원해 보였는데 2020 롤드컵 실패 원인을 서포터에서 찾아 서포터를 노리던 TES에서 영입을 했다.

2021 split spring 개막전 쑤닝과의 대결에서 시작하자마자 레오나로 플래쉬 궁극기와 스킬 예측샷을 모조리 허공에 날리는 현란한 플레이를 보여주고 썩소를 보이더니, 역시나 경기내내 팀을 망치는 플레이를 하였다. 기본적인 스킬샷조차 제대로 적중시키지 못하였으며 유리한 상황에서 기가 막힌 트롤짓을 하여 팀자체를 말아먹는 역캐리를 하였다.

두번째 세트의 알리스타로도 나무랄게 없는 형편없는 현란한 쓰로잉를 보여주며 중후반 굉장히 유리한 상황에서 던져버려 경기자체를 날려버렸다. 이적료가 14억을 육박하는 거금을 들여 영입한 선수가 시즌 내내 이런 폼을 유지한다면 TES의 이번 시즌은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려운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나 시즌이 진행되며 팀의 포스는 전시즌에 비해 많이 떨어졌으나 주오 본인의 퍼포먼스는 나쁘지 않다. 전시즌 유안지아에 비해 라인전이 훨씬 강한 것이 장점.

시즌 후반으로 돌입하며 오히려 재키러브가 묘하게 스로잉이 잦아진 것에 비해 점점 물오른 이니시능력을 보여주며 상위권 서포터로 점점 인정받는 모습이다.
최근 게이밍헤어를 장착한후 물오른듯한 폼을 보이고 있다.

서머 시즌 그럭저럭 무난한 정도의 플레이를 하다가 쑤닝과의 경기에서 또다시 쌌고, 유안지아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유안지아의 약한 라인전과 떨어지는 영향력 등이 드러나면서 몇 경기 가지 않아 다시 주전으로 복귀했다.


3.2. 2022 시즌[편집]


시즌 초 팀 전체가 상태가 좋지 않지만 주오는 특히 라인전이라도 잘했다는 평가를 들었던 작년에 비해 무색무취한 못하는 서포터가 되었다는 악평을 들었고, 춘절 기간 LGD에서 나온 마크가 영입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다.
이후 2022년 12월 Ninja In Pyjamars로 이적하였다.


3.3. 2023 시즌[편집]


첫 경기인 UP전, 유미로 준수한 기량을 보여주며 포틱의 캐리에 도움을 주었다. RNG전에서는 의외의 소라카 숙련도를 자랑하며 캐리하기도 했다.


4. 여담[편집]



[1] 前 TDHD, Sun[2] 한국식 독음으로는 왕욱탁.[3] 미씽과 저우는 둘다 2001년생으로 동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6:55:37에 나무위키 왕쉬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