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씨름/체급

덤프버전 :

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씨름

1. 개요
2. 천하장사
2.1. 남자부
2.2. 여자부
2.3. 세계부(세계특별장사)
3. 어린이 씨름왕
4. 미성년자/대학부/일반부
5. 아마추어
6. 남성 프로 씨름
7. 여자부


1. 개요[편집]


체급은 다음과 같이 나뉘며 모든 체급을 통합한 경기를 천하장사라고 칭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씨름협회 공식 홈페이지 씨름소개 - 교육자료 - 씨름교본를 참조.

이 체급 명칭은 한국 국적을 가진 씨름인에게만 적용되며, 남성 외국인 경기의 경우 체급 구분 없이 진행한다. 여성 외국인의 경우에는 여자부에 통합한다.

예전에는 몸무게에 제한이 없었으나 지금은 몸무게 상한선이 생겨 140㎏ 이하의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다.

2. 천하장사[편집]


프로 씨름의 상위 리그로 체급에 따른 장사[1] 급수가 정해져 있는 것과는 다르게 모든 체급을 하나로 통합한 장사다.

2.1. 남자부[편집]


구분성명소속팀[A]경기일경기장
초대이만기경남대학교1983년 4월 17일서울 장충체육관
2대1983년 10월 3일
3대장지영인하대학교1984년 3월 8일
4대이만기경남대학교1984년 6월 5일
5대이준희일양약품 원비1984년 9월 13일
6대이만기경남대학교1985년 3월 18일
7대1985년 6월 26일전주실내체육관
8대이준희일양약품 원비1985년 10월 4일서울 잠실실내체육관
9대이만기현대 코끼리1986년 3월 2일부산 사직실내체육관
10대이봉걸럭키금성 황소1986년 6월 8일대구실내체육관
11대이만기현대 코끼리1986년 9월 11일서울 장충체육관
12대이봉걸럭키금성 황소1987년 3월 16일부산 사직실내체육관
13대이준희일양약품 원비1987년 10월 26일
14대이만기현대 코끼리1988년 5월 25일부산 KBS홀
15대1988년 10월 10일수원실내체육관
16대1989년 3월 12일대전 충무체육관
17대김칠규1989년 9월 12일서울 잠실학생체육관
18대강호동일양약품 원비1990년 3월 12일[2]성남실내체육관
19대1990년 7월 17일춘천실내체육관
20대1990년 10월 29일인천 도원체육관
21대황대웅삼익가구 사자1991년 3월 25일부산 구덕체육관
22대1991년 6월 24일이리 원광대학교 체육관
23대강호동일양약품 원비1991년 9월 24일대구실내체육관
24대1992년 3월 23일서울 장충체육관
25대임용제부산조흥금고 호랑이1992년 6월 29일전주실내체육관
26대김정필1992년 9월 13일부산 사직실내체육관
27대1993년 3월 21일
28대백승일[3]청구 청룡1993년 7월 5일춘천실내체육관
29대1993년 10월 3일대구실내체육관
30대신봉민현대 코끼리1994년 3월 14일청주실내체육관
31대백승일청구 청룡1994년 6월 19일전주실내체육관
32대이태현1994년 9월 21일[4]부산 사직실내체육관
33대김경수LG증권 황소1995년 11월 21일서울 장충체육관
34대1996년 11월 25일제주 한라체육관
35대신봉민현대 코끼리1997년 9월 18일부산 사직실내체육관
36대김영현LG증권 황소1998년 11월 29일영천실내체육관
37대1999년 12월 12일인천 선인체육관
38대이태현현대 코끼리2000년 12월 10일안양실내체육관
39대황규연신창건설 코뿔소2001년 12월 16일울산 동천체육관
40대이태현현대 코끼리2002년 11월 24일구미 박정희체육관
41대최홍만LG투자증권 황소2003년 12월 14일인천 도원체육관
42대김영현신창건설 코뿔소2004년 12월 5일구미 박정희체육관
43대윤정수[5]수원시청2008년 12월 11일남해실내체육관
44대황규연현대 코끼리2009년 12월 13일경주실내체육관
45대이슬기2011년 11월 27일김천실내체육관
46대윤정수2012년 12월 2일영광 국민체육센터
47대이슬기2013년 11월 12일서산 농어민 문화체육센터
48대정경진창원시청2014년 11월 16일김천실내체육관
49대정창조현대 코끼리2015년 11월 22일청양 군민체육관
50대장성복[6]양평군청2016년 11월 22일서울 장충체육관
51대김진증평군청2017년 11월 26일나주종합스포츠파크 다목적체육관
52대박정석울산 동구청2018년 11월 26일안동실내체육관
53대장성우영암군 민속씨름단2019년 11월 24일예산 윤봉길체육관
54대2020년 12월 13일[7]정읍 국민체육센터
55대김찬영연수구청2021년 11월 7일울산 문수체육관
56대김민재울산대학교2022년 11월 13일[8]울산 작천정운동장
57대김진증평군청2023년 11월 19일고성 국민체육센터

2.2. 여자부[편집]


구분성명소속팀[A]경기일경기장
1대임수정콜핑2009년 6월 28일구례 실내체육관
2대2010년 9월 6일
3대송송화경상남도2011년 9월 4일
4대박미정경기도2012년 8월 26일
5대임수정콜핑2013년 9월 2일
6대2014년 8월 31일
7대2015년 8월 31일
8대조현주구례군청2016년 9월 4일
9대임수정콜핑2017년 11월 24일나주종합스포츠파크 체육관
10대최희화안산시청2018년 11월 25일안동체육관
11대2019년 8월 25일구례 실내체육관
12대이다현거제시청2020년 11월 5일
13대임수정영동군청2021년 12월 5일
14대2022년 9월 25일
15대이다현거제시청2023년 6월 11일

2.3. 세계부(세계특별장사)[편집]



3. 어린이 씨름왕[편집]


2016년도에 신설된 체급명으로 통합씨름협회에서 주관하며, 각 초등학교에 소속된 초등학생 씨름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급명이다. 개인전에서 적용받으며, 단체전은 아래의 아마추어 체급을 적용받는다. 체급 명칭은 야생동물들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아래 체급은 남자 어린이 프로선수에게만 적용하며 여자 어린이는 성인 여자부에 통합된다.
체급무게기타
다람쥐45㎏ 이하
사슴55㎏ 이하
반달곰55㎏ 초과[9]
어린이씨름왕
천하장사
제한없음

4. 미성년자/대학부/일반부[편집]


남자부 중에서 초·중·고등부, 대학부와 일반부의 체급은 다음과 같이 명칭한다. 결승전의 경우 3판 2선승제를 취한다. 어린이의 경우는 단체전에서 이 체급을 적용받는다.
체급무게
초등부중등부고등부대학·일반부
경장40㎏60㎏70㎏75㎏
소장45㎏65㎏75㎏80㎏
청장50㎏70㎏80㎏85㎏
용장55㎏75㎏85㎏90㎏
용사60㎏80㎏90㎏95㎏
역사70㎏90㎏100㎏105㎏
장사120㎏130㎏135㎏140㎏

5. 아마추어[편집]


아마추어의 경우 다음과 같이 명한다. 2007년에 대한씨름협회가 정한 아마추어 체급명으로 당시 프로팀·실업팀 등에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체급명무게기타
백마80㎏ 이하프로부에서의 태백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거상90㎏ 이하프로부에서의 금강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백호105㎏ 이하프로부에서의 한라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청룡105㎏ 초과프로부에서의 백두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천하장사제한없음

6. 남성 프로 씨름[편집]


프로 씨름의 체급은 다음과 같이 명칭한다. 한반도 4대 산(금강산, 태백산, 한라산, 백두산)에서 따온 것이며 높이 순서대로 체급이 결정된다. 결승전의 경우 5전 3선승제를 취한다. 천하장사 대회는 체중에 관계없이 참가할 수 있으며. 과거에 백두급은 체중 하한선만 있고 상한선이 없었는데, 지금은 상한선이 생겨서 이 상한선을 초과한 선수는 체급별 대회에 참가할 수 없고, 오직 천하장사 대회만 참가할 수 있다.
체급무게대표 선수[10]
태백80㎏구봉석, 윤필재, 이진형, 한승민, 노범수
금강90㎏이주용[11], 임태혁, 손상주, 최정만
한라105㎏이만기[12], 김용대[13] 모제욱, 김선창
백두[14]140㎏강호동, 이태현, 김영현, 윤정수, 박영배[15]
천하장사제한없음
  • 백두장사
    • 역대 최다 우승: 이태현(20회)
    • 천하장사 포함 역대 최다 우승: 이만기(백두장사 18회 + 천하장사 10회)
  • 한라장사
    • 역대 최다 우승: 김용대(한라장사 14회 + 협회주관대회 2회 + 올스타 2회 + 금강·한라 통합장사 1회 + 백호장사 1회)
    • 백두장사·천하장사 포함 역대 최다 우승: 이만기(한라장사 7회)
  • 금강장사
    • 역대 최다 우승: 임태혁(수원시청 활동중. 금강장사 18회 + 태백·금강 통합장사 2회)
    • 한라장사 포함 역대 최다 우승: 이주용(수원시청 활동중. 금강장사 8회 + 태백·금강 통합장사 1회 + 한라장사 9회)
  • 태백장사
    • 역대 최다 우승: 노범수(울주군청 활동중. 16회)
    • 금강장사 포함 역대 최다 우승: 노범수(금강장사 1회)

7. 여자부[편집]


여자부 씨름 체급의 명칭은 다음과 같이 명칭한다. 장미와 무궁화를 제외하고는 사군자에서 등장하는 꽃과 나무 등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여자부의 경우 미성년자·아마추어·프로 상관 없이 다음과 같이 명한다.

단 이 체급의 경우는 정확한 것은 아니며 여기에서 3체급 혹은 2체급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여자부의 경우에는 결승전도 3판 2선승제를 취한다. 또한 국민생활체육회가 주관하는 대회는 실력이 좋은 비룡부와 그보다 낮은 비호부로 나눠지며 대통령배와 대한씨름협회가 주관하는 대회는 실력에 따라 나눠지지 않는다.

또한 한국 여성과 통합하는 외국인 여성이나 여자 어린이들의 경우에도 아래 체급명을 적용받는다.

아래 표의 빈 공간은 해당 단체가 주관하지 않는 체급이다.
체급무게 및 주관 단체대표 선수
국민
생활체육
대한씨름협회
초등부중등부고등부대학부
아마추어
프로
매화60㎏35㎏45㎏55㎏
국화70㎏임수정, 박선
무궁화80㎏60㎏70㎏80㎏75㎏이다현, 임혜미,
송송화, 박미정
천하장사제한없음
  • 매화장사: 여자 체급 중에서 가장 가벼운 체급이며, 양윤서·이연우 등이 속해 있다.
  • 국화장사: 국민생활체육에서 주관하는 체급명으로, 대한씨름협회에서는 주관하지 않는다. 여자 이만기라 불리는 임수정과 라이벌 급인 박선 등 유명 여자 씨름선수들이 속해 있다.
  • 무궁화장사: 남성 씨름 경기에서 백두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 즉, 무거운 여성 선수들이 출전하는 경기로, 이다현·송송화[16]·박미정·조현주 등이 속해 있다.
  • 사라진 체급
    • 난초장사: 2013년 이후로 사라진 체급명이며 당시에는 박선·오윤미 등 여자 씨름선수들이 속해 있었다.
    • 대나무장사: 2013년 이후로 사라진 체급명이며 박원미 등이 속해 있었다.
    • 장미장사
대한씨름협회에서 주관하는 체급명으로, 유일하게 명칭이 외국의 꽃인 장미를 사용한다. 65~74.9㎏ 사이의 여자 선수들이 출전하는 경기며, 대한씨름협회 공식 홈페이지 씨름경기 규칙 제15장 76조 항목에 존재하는 체급명이다.
그렇지만 실제로 경기를 치렸는지는 의문을 가진 체급명으로, 대한씨름협회에 명시된 체급이지만 정작 그 체급의 경기를 포털사이트 등에 검색해도 아예 관련 영상은 안나온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 뉴스 같은데서 간단히 언급만 하는 정도. 우선 국민생활체육회에서는 애초에 이 체급의 경기를 한 적이 없다. 심지어 대한씨름협회조차도 이 체급의 경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없는 체급이나 다름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2:05:10에 나무위키 씨름/체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성의 경우 금강, 태백, 한라, 백두장사 4체급, 여성의 경우 국화, 매화, 무궁화 3체급.[A] A B 장사 타이틀 획득 당시 소속팀으로 표기[2] 이 대회 준결승전이 상당한 화제가 된 바 있다. 당시 경기 중계 영상. 이 경기에서 강호동이만기가 맞붙었다. 첫 판은 강호동이 이겼는데 두 번째 판 직전 기합을 지르며 분위기를 잡던 강호동의 모습에 빡친 이만기가 강호동에게 "깝치지 마라. 이 새끼야."라고 욕설을 해서 경기가 잠깐 중단되기도 했다. 결국 강호동이 이만기에게 2: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올랐고 당시로서는 역대 최연소 천하장사에 올랐다. 그리고 정확히 1년 뒤 이만기도 은퇴를 하게 된다.[3] 최연소 천하장사 (만 17세 3개월)[4] 이날 천하장사 결정전은 백승일과 이태현의 맞대결이었는데 이 경기에서 이른바 '저울장사'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나왔다. 이 당시 결승전에만 무려 1시간 25분간 열두 번째 판까지 벌어졌지만 85분의 대혈전에도 3승을 먼저 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두 사람이 1:1로 맞선 이후 이렇다 할 움직임 없이 수비 씨름으로 3분의 한판을 계속 날려버렸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장사 결정의 룰과도 연관이 있는데 당시 천하장사 결정전 룰은 '몇 판을 하든 3번을 먼저 이겨야 장사가 된다'는 룰만 있었지 경기 촉진 룰이나 승자 결정에 대한 룰이 딱히 없었다. 경기가 지나치게 길어지자 씨름연맹은 열 번째 판 이후 긴급 회의를 열었고 "마지막 열두 번째 판까지 3선승을 한 승자가 결정되지 않으면 두 선수의 체중을 측정해서 가벼운 사람을 천하장사로 결정한다"는 황당한 룰을 급히 정한다. 결국 당시 백승일보다 3㎏ 가벼운 이태현에게 생애 첫 천하장사 타이틀이 돌아갔다. 이를 두고 백승일은 "대구에 연고를 둔 청구 씨름단과 영남 출신 인사 위주인 씨름연맹이 의도적으로 경북 출신 이태현을 밀어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하며 팀을 무단 이탈한다. 청구 씨름단 측은 백승일을 홀대한 적이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이미 의욕을 잃은 백승일은 이후 부진의 늪에 빠지게 된다. 민속씨름의 인기가 본격적으로 급락하기 시작한 것도 이 때부터라고 지적하는 이들도 있다.[5] 김상중을 모래판에 집어 던진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유튜브 윤코치로도 유명하다.[6] 최고령 천하장사 (만 36세 8개월)[7] 21세기 첫 2연속 우승.[8] 1985년 이만기 이후 무려 37년 만에 탄생한 대학생 천하장사이다.[9] 남성 성인 프로부에서의 백두장사 혹은 여성 프로부의 무궁화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10] 백두급은 단 1회라도 천하장사에 등극한 선수들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11] 금강급과 한라급의 살아있는 전설이다.[12] 선수시절 초중기의 이야기로, 이봉걸의 씨름에 위협을 느끼고 8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백두급으로 체급을 올렸다.[13] 한라급 최다승 장사, 모래판의 탱크라는 별명을 갖고있다[14] 과거에는 체중 상한선이 없었으나, 현재는 140㎏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95㎏ 초과(1983~)→ 100㎏ 초과(1995.5~)→ 105㎏ 초과(2003~)→ 160㎏(2011.3~)→ 150㎏(2013~)→ 145㎏(2017~)→ 140㎏(2018~)[15] 김영현과 최홍만을 꺾은 골리앗 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선수였으나 아버지와 동일하게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6] 역대 최고령 여성 씨름선수이자 씨름 감독 겸 대학 씨름선수 김민경의 어머니이다. 제9회·12회 전국생활체육 大장사씨름대회에서 아들 김민경의 감독으로 나서서 아들을 우승시켜 이목을 집중시킨 현직 선수이자 감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