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운산IC

덤프버전 :

선운산 나들목
禪雲山 나들목
Seonunsan Interchange
선운산 요금소
Seonunsan Tollgate
목포 방면
고창IC
← 7.9 km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울 방면
줄포IC
9.9 km →
고창고인돌휴게소(양방향)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석교리
관리기관
서해안선한국도로공사 전북본부 부안지사
개통
2001년 12월 21일
접속도로
22

(선운대로)

1. 개요
2. 구조
2.1. 서울 방향(상행선)
2.2. 목포 방향(하행선)
3. 역사
4. 특징
5.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서해안고속도로 9번.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서해안고속도로 84 (석교리 산4-1)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나들목. 명칭은 나들목 인근에 있는 선운산에서 유래했다.


2. 구조[편집]



2.1. 서울 방향(상행선)[편집]




2.2. 목포 방향(하행선)[편집]




3. 역사[편집]


  • 2001년 12월 21일 서해안고속도로 동군산 나들목 - 무안 나들목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4. 특징[편집]


  • 고창군 북부지역과 선운산에 갈 때 이용된다.
  • 서천공주고속도로 개통 전에는 수도권, 대전, 전주에서 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으로 가려면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정읍 나들목에서 진출해서 22번 국도를 타고 이 나들목으로 진입해서 서해안고속도로를 탔었다. 그래서 예전 서울 ↔️ 목포 고속버스 노선이 이 방식으로 운행했었다. 현재는 대전, 전주에서 전남 서해안 지역으로 가려면 이 방식으로 가는 게 더 빠르다.[2]


5. 둘러보기 틀[편집]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8:22:06에 나무위키 선운산I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1일부터 5개 고속도로 차례로 개통, 2001-11-20, 매일경제[2] 몇몇 차량들은 고속도로를 계속 이용해서 호남고속도로를 쭉 타고 장성 분기점에서 고창담양고속도로로 진입한 다음 고창 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를 진입해서 가는 차량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