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humanism

덤프버전 : r20170327

이 사용자는 궤변론자 Protagoras님의 팬입니다.

1. Humansim이 작성한 표
1.1. 조선시대 한국
1.1.1. 18세기말과 19세기초의 장시
1.1.2. 구한말 회사 설립 상황
1.1.3. 구한말 무역규모 추이
1.1.4. 구한말 수출 파트너
1.1.5. 구한말 수입 파트너
1.2. 일제시대 한국
1.2.1. 1인당 실질소비지출 성장률
1.2.2. 산업별 한반도 경제성장률
1.2.3. 남북간 공업 성장률 비교
1.2.4. 업종별 한반도 조선인 공장 비중
1.2.5. 조일간 공장개수 및 평균생산량 격차
1.2.6. 1940 남북간 공장분포 격차
1.2.7. 1940 남북간 공업생산량 격차
1.2.8. 1940 남북간 자원 격차
1.3. 현대 한국
1.3.1. 고속성장 이전
1.3.1.1. 남북간 지하자원 분포
1.3.1.2. 한국전쟁이 가져온 경제적 피해
1.3.1.3. 한국전쟁이 가져온 산업 업종별 피해
1.3.1.4. 종합부흥물동계획의 용도별 할당액
1.3.1.5.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산업별 비중
1.3.1.6.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산업별 성장률
1.3.1.7.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소비재·생산재 공업 성장
1.3.2. 고속성장 이후
1.3.2.1. 공화당정권하 절대빈곤 개선
1.3.2.2. 유류파동 이전 차관 원리금상환액
1.3.2.3. 유류파동 이전 공화당정권하 물가상승률
1.3.2.4.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목표치와 성과
1.3.2.5. 80년대 ~ 90년대 공업구조 변화
1.3.2.6. 연도별 경제성장률


1. Humansim이 작성한 표[편집]


아래는 귀하께서 자유롭게 수정·인용해주시기를 간절히 바라는 표입니다. 나무위키에 기여하는 데 도움될만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 인용해주시기바랍니다!

1.1. 조선시대 한국[편집]



1.1.1. 18세기말과 19세기초의 장시[편집]


5일장으로 환산한 장시수
지역1770년[1]1830년대[2]
경기10193
충청164156
전라203175
경상269256
황해8293
평안134117
강원6751
함경2727
총계1047983

1.1.2. 구한말 회사 설립 상황[편집]


1883~1910 회사 설립 누계액[3]
연도모든산업(개)[4]광·제조업(개)[5]농림수산업(개)
188318111
188431121
188535143
188639143
188743144
188850155
188955165
189059165
189162175
189264175
189368175
189473176
1895851914
18961012214
18971112315
18981242315
18991643017
19001963521
19012303824
19022613927
19032814129
19043004633
19053445439
19065256745
19075917551
19086638659
190974411069
191082514277

1.1.3. 구한말 무역규모 추이[편집]


구한말 무역규모 추이(단위: 백만달러)[6]
한국대만일본중국
1896610147270
1898919213258
19001018241278
19021120265334
19041722337385
19061928426517
19082735426436
19103054534557
19124462695624

1.1.4. 구한말 수출 파트너[편집]


조선 수출액 중 중국과 일본의 비중(단위:%)[7]
일본중국
85972
86973
87972
88918
89919
90982
91964
92936
93918
94897
95954
96836
97908
987920
998414
007721
01879
027918
038016
048218
057822
06859
077719
087716

1.1.5. 구한말 수입 파트너[편집]


조선 수입액 중 중국과 일본의 비중(단위:%)[8]
일본중국
858218
868218
877426
887228
896832
906535
916139
925545
935049
946335
957226
966633
976435
985742
996534
007524
016238
026436
036329
047119
057417
067714
076611
085912

1.2. 일제시대 한국[편집]



1.2.1. 1인당 실질소비지출 성장률[편집]


1912 ~ 1938 1인당실질소비지출[9]
항목연평균 성장률
식비0.56%
의복비5.07%
공과금-0.35%
의료위생0.7%
교통통신3.5%
가구·가정기구3.51%
교양·오락·교육4.35%
기타-0.06%
총소비지출0.97%

1.2.2. 산업별 한반도 경제성장률[편집]


한반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10]
1차산업2차산업3차산업전산업
1911~204.4%9.2%2.9%4.2%
1920~301.1%4.5%4.3%2.3%
1930~382.5%13.9%5.6%4.9%

1.2.3. 남북간 공업 성장률 비교[편집]


남북의 공업 및 광공업 연평균 성장률[11]
1914~19271928~1940
남한(공업)4.89%9.7%
북한(공업)6.22%15.05%
남한(광공업)4.87%9.34%
북한(광공업)6.25%14.31%

1.2.4. 업종별 한반도 조선인 공장 비중[편집]


조선인공장의 산업별 생산액 비중[12]
193319371941
인쇄07.5%10.1%24.9%
제재13.7%24.3%43.0%
식료품43.5%54.6%26.8%
잡공품14.0%17.1%49.7%
방직50.6%16.2%21.2%
요업00.8%4.5%13.6%
금속50.4%33.8%35.4%
화학49.1%50.3%35.2%
기계14.5%11.2%31.3%
전체36.6%32.7%30.1%

1.2.5. 조일간 공장개수 및 평균생산량 격차[편집]


한반도의 민족간 공장수[13]
연도조선인 공장 개수(평균생산액/전체평균액)일본인 공장 개수(평균생산액/전체평균액)외국인
1933241개(64552/60624원)452개(59194/60624원)13개
1935598개(71372/66132원)745개(63959/66132원)29개
1937731개(64396/92999원)781개(120602/92999원)17개
1939139개(86860/120744원)941개(174393/120744원)28개
19411656개(51886/102770원)1089개(182258/102770원)18개

1.2.6. 1940 남북간 공장분포 격차[편집]


남북의 공업 생산규모(1940년기준)[14]
북한(55.9%)
서부공업지대6.1억환
북부공업지대3.5억환
기타
남한(44.1%)
경인공업지대3.5억환
영남공업지대1.6억환
호남공업지대1.4억환
삼척공업지대1억환
기타
6개 공업지대가 한반도 전체의 92.8%

1.2.7. 1940 남북간 공업생산량 격차[편집]


1940년, 5인 이상 공장의 생산액[15]
남한(47%)북한(53%)
경공업(46%)70%30%
(요업)20%80%
(전기가스)36%64%
(식료품)65%35%
(목공업)65%35%
(기타)72%28%
(방직공업)85%15%
(인쇄제본)89%11%
중화학공업(54%)21%79%
(금속)10%90%
(화학)18%20%
(기계)72%28%

1.2.8. 1940 남북간 자원 격차[편집]


일제강점기 남북 자원격차[16]
남한북한
금은광27%73%
철광0.1%99.9%
무연탄2.3%97.7%
흑연65%35%
69%31%
보리86%14%
39%61%
20%80%
37%63%
면화77%23%
전력출력14%86%
전력발전8%92%

1.3. 현대 한국[편집]



1.3.1. 고속성장 이전[편집]



1.3.1.1. 남북간 지하자원 분포[편집]


1942 남북간 천연자원 분포[17]
남한북한
철광석1%99%
유연탄1.5%98.5%
구리10.7%89.3%
아연21.6%78.4%
텅스텐26.3%72.7%
무연탄28.4%71.6%
30.4%69.6%
33.8%66.2%
흑연45.8%54.2%
69.6%30.4%

1.3.1.2. 한국전쟁이 가져온 경제적 피해[편집]


한국전쟁 피해액[18]
일반주택39.3%
SOC·학교·금융기관32.3%
정부시설10.3%
공업9.8%
공업외 민간기업6.6%
가축1.7%
총 4105억환

1.3.1.3. 한국전쟁이 가져온 산업 업종별 피해[편집]


업종별 한국전쟁 피해[19]
업종건물(피해액/피해율)시설(피해액/피해율)
식품공업$1,216,000/30%$378,000/30%
인쇄공업$908,000/75%$1.537.000/75%
요업$1,429,000/25%$215.000/20%
방직공업$41,902,000/62%$50,820,000/64%
방직공업(면방직)$41,417,000/64%$42,938,000/64%
방직공업(모방직)$179,000/24%$56,000/25%
방직공업(견방직)$303,000/60%$138,000/64%
방직공업(염색가공)$4,000/100%$7,696,000/100%
화학$4,731,000/35%$10,633,000/33%
화학(고무)$1,141,000/20%$4,245,000/20%
화학(피혁)$1,163,000/40%$674,000/30%
화학(제지)$1,403,000/20%$3,935,000/20%
화학(유지)$186,000/40%$1,343,000/20%
화학(무기화학)$372,000/30%$435,000/34%
금속$414,000/26%$127,000/26%
금속(철강)$312,000/25%$108,000/25%
금속(비철금속)$102,000/27%$19,000/27%
기계$407,000/35%$106,000/35%
기계(자전거)$139,000/26%$33,000%/26%
기계(자동차)$152,000/11%$900/11%
기계(차량)$8,000/45%$8,000/45%
기계(조선)$45,000/60%$30,000/60%
기계(방직기계)64,000/50%$35,000/50%

1.3.1.4. 종합부흥물동계획의 용도별 할당액[편집]


53년도에 작성한 원조물자 2억 5800만달러 사용계획[20]
사회간접자본
(32%, 8200만달러)
철도(49%)
항만·도로(43%)
통신(6%)
창고(2%)
원재료
(31%, 7900만달러)
기간산업
(28%, 7350만달러)
제조업(38%)
전력(33%)
1차산업(29%)
문화시설
(9%, 2300만달러)
문교(83%)
방송(8.5%)
기타(8.5%)
기간산업
(7350만달러)
전력(33%)화학비료공장(16%)광업(12%)농림업(11%)
수산업(7%)시멘트공장(6%연초공장(5%)섬유공장(4%)
철강공장(3%)판초자공장(1%)자동차수리공장(1%)

1.3.1.5.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산업별 비중[편집]


자유당·민주당정권 산업별 비중[21]
연도1차산업2차산업3차산업
195342.3%12.7%45.0%
195442.7%14.0%43.7%
195542.3%15.2%42.5%
195639.7%17.0%43.3%
195739.7%18.3%42.0%
195839.7%18.7%41.4%
195938.5%20.0%41.5%
196038.2%20.5%41.3%

1.3.1.6.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산업별 성장률[편집]


자유당·민주당정권 산업별 성장률1955=100[22]
연도1차산업2차산업3차산업전산업
19546.1%16.0%1.2%5.2%
19553.0%13.1%2.1%4.0%
1956-5.6%12.2%2.1%0.3%
19578.7%17.0%5.3%8.7%
19587.4%8.9%5.6%7.0%
19591.4%13.3%5.3%5.2%
19601.7%4.8%1.8%2.4%
연평균3.2%12.2%3.3%4.7%

1.3.1.7.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소비재·생산재 공업 성장[편집]


1953~1960
자유당·민주당정권의 소비재·생산재 공업 성장[23]
소비재생산재
532816억환(85.4%)431억환(13.1%)
543365억환(84.5%)541억환(13.6%)
554153억환(58.2%)634억환(63.4%)
564867억환(84.6%)781억환(13.6%)
575421억환(84.8%)856억환(13.4%)
585801억환(84.1%)981억환(14.2%)
596208억환(82.8%)1148억환(15.3%)
606505억환(80.7%)1419억환(17.6%)

1.3.2. 고속성장 이후[편집]



1.3.2.1. 공화당정권하 절대빈곤 개선[편집]


60 ~ 70년대 빈곤율 추산[24]
연도농촌도시전국
1965750만명
(35.8%)
425만명
(54.9%)
1177만명
(40.9%)
1976212만명
(11.7%)
307만명
(18.1%)
520만명
(14.8%)

1.3.2.2. 유류파동 이전 차관 원리금상환액[편집]


66~72 도입차관원리금상환액[25]
59~6641,231,000달러
6738,556,000달러
6860,402,000달러
69102,692,000달러
70170,421,000달러
71215,663,000달러
72315,028,000달러

1.3.2.3. 유류파동 이전 공화당정권하 물가상승률 [편집]


66~72 물가상승률[26]
소비자물가상승률도매물가상승률
6612%8.9%
6710%6.4%
6811.2%8.1%
6910.0%6.8%
7012.7%9.2%
7112.3%8.6%
7211.8%14.0%


1.3.2.4.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목표치와 성과 [편집]


대한민국 경제개발 5개년계획[27]
목표실적
1차(62-66)7.1%8.3%
2차(67-71)7.0%[28]10%
3차(72-76)8.6%11.2%
4차(77-81)9.2%5.5%

대한민국 경제개발 5개년계획[29]
목표실적
1차(62-66)7.1%7.9%
2차(67-71)7.0%9.6%
3차(72-76)8.6%9.2%
4차(77-81)9.2%5.8%
5차(82-86)7.5%8.6%
6차(87-91)7.3%9.9%
7차(92-96)7.5%7.0%
신경제5개년(93-97)6.9%7.3%

1차 계획 산업별 성장률[30]
1차 5개년계획2차 5개년계획
농림어업5.5%1.7%
경공업2.6%21.7%
중화학공업22.2%25.8%
제조업[31]15%23.1%
광공업[32]14.8%22%
사회간접자본, 기타 서비스업8.9%14.2%
전체8.3%11.8%[33]

1.3.2.5. 80년대 ~ 90년대 공업구조 변화 [편집]


80~90년대 대한민국 제조업 구조 변화[34]
중화학공업/제조업소비재산업/제조업조립가공산업/제조업
8047%51.9%20.4%
8353.4%45.8%27.5%
8656.8%41.5%31.6%
8963.4%35.0%36.8%
9273.6%28.9%39.3%
9473.6%24.9%43.2%

1.3.2.6. 연도별 경제성장률[편집]


연도경제성장률비고
1954년7.2%
1955년5.8%
1956년0.7%
1957년7.2%
1958년9.2%
1959년6.5%
1960년5.4%
1961년2.3%
1962년3.8%
1963년9.2%
1964년9.5%
1965년7.2%
1966년12%
1967년9.1%
1968년13.2%
1969년14.5%
1970년10%
1971년10.5%
1972년7.2%
1973년14.8%
1974년9.5%
1975년7.9%
1976년13.1%
1977년12.3%
1978년10.8%
1979년8.6%
1980년-1.7% 통계 최초 마이너스 성장. 2차 오일 쇼크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1981년7.2%
1982년8.3%
1983년13.2%
1984년10.4%
1985년7.7%
1986년11.2%
1987년12.5%
1988년11.9%
1989년7.0%
1990년9.8%
1991년10.4%
1992년6.2%
1993년6.8%
1994년9.2%
1995년9.6%
1996년7.6%
1997년5.9%
1998년-5.5% IMF 구제금융 사건 여파로 극심한 경기후퇴가 일어났던 해.
1999년11.3%
2000년8.9%
2001년4.5%
2002년7.4%
2003년2.9%
2004년4.9%
2005년3.9%
2006년5.2%
2007년5.5%
2008년2.8%
2009년0.7%
2010년6.5%
2011년3.7%
2012년2.3%
2013년2.9%
2014년3.3%
2015년2.6%
[35]
[1]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傋考), 1770[2] 林園經濟志(임원경제지), 1806~1842[3] 김우용, 19세기말~20세기초 한인 회사 연구, 서울대 문학박사학위논문, 1997[4] 농림업, 수산업, 광·제조업, 토목·건축업, 운수업, 금융업, 상업 등 모든 분야[5] 토목건축 등 제외[6] 안병직 외 1인, 조선근대공업화연구, 1993 표1-1과 1-2[7]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p.227[8]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p.227[9] 溝口敏行(Mizoguchi Toshiyuki)&梅村又次(Umemura Mataj), 구일본식민지경제통계 표6-1, 6-4[10] 溝口敏行(Mizoguchi Toshiyuki)&梅村又次(Umemura Mataj), 구일본식민지경제통계 제3부 표8[11] 溝口敏行(Mizoguchi Toshiyuki), 대만/조선의 경제성장, 1975[12] 호리가즈오, 조선공업화의 사적분석 표4-15[13] 호리가즈오, 조선공업화의 사적분석 표4-15[14] 조선경제연감 1948[15] 조선은행조사부,조선경제연보, 1948[16] 조선은행조사부, 조선경제연보, 1948[17] 조선경제연감, 1948[18] 내무부 통계국, 대한민국통계연감 1953 pp.212-224[19] 한국산업은행 조사부, 한국산업경제10년사(1945~1955) pp.996-997[20] 종합부흥물동계획[2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1년 9월)[22]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1년 9월)[23] 한국은행, 국민소득연보 1956 p.~85[24] 빈곤의 정의와 빈곤인구의 시계열별변동분석, 서상목, 한국개발연구원, 1981 이분야에 대한 선구적 연구다. 다만 절대적 빈곤 척도역시 상대성을 배제할수 없으므로 후대의 추라는 점에서 절대빈곤의 정도가 과대평가 되었을 수 있다.[25] 경제기획원, 주요경제지표 1975[26] 경제기획원, 주요경제지표 1975[27] 이해주, 한국경제발전론, pp.141, 145, 158, 164[28] 10.5%로 수정되었다[29]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p.434[30] 한국은행, 한국산업구조의 재편성, 1971[31] 경공업과 중화학공업[32] 공업과 제조업[33] 1971년은 제외된 수치[34] 산업은행, 2000년대 한국 산업의 구조변화와 장기발전전략 , 1995, p.69[35] 출처는 한국은행이다. 당시 보도되었던 수치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것이 과거 통계보다 훨씬 양질의 자료이다. 또한, 1960년부터는 분기별 성장률이 제공되고 있으니 이를 참고하면 좋을것이며 이는 대한민국/경제성장률 상단에 게시된 이미지로 제시되었다.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1&tblId=DT_102Y002&conn_path=I2 이 표를 만들어 기여할 당시는 문서명이 경제성장률/대한민국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나 현재는 대한민국/경제성장률로 이동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