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오마이

덤프버전 :

1. 개요
2. 2000년 제14호 태풍
2.1. 경로
2.2. 피해
2.3. 기록[출처]
3. 2006년 제8호 태풍


1. 개요[편집]


사오마이(Saomai)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금성을 뜻한다.

2. 2000년 제14호 태풍[편집]




2000년 태풍
제13호 마리아제14호 사오마이 → 제15호 보파

2000년 제14호 태풍 사오마이
위성사진파일:1920px-Saomai_Sept_10_2000_0210Z.jpg
진로도파일:Saomai_2000_track.png
활동 기간2000년 9월 2일 21시 ~ 2000년 9월 16일 15시
영향 지역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난세이 제도, 본토[1]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북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화둥[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동부[3]
태풍 등급5등급[JTWC]
10분 등급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대형(직경 1,400 km)
최저 기압925 hPa
최대 풍속1분 평균72 m/s
10분 평균49 m/s
피해사망자28명
피해총액63억 달러[4]


2.1. 경로[편집]


미국 괌에서 열대저기압이 발생해 9월 2일 태풍으로 격상되었다.
이후 계속 북상하면서 9월 12일 일본 남쪽 해상에서 925 hPa로 최전성기를 맞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중국으로 갈 것으로 예상했으나, 동중국해에서 진로를 꺾으며 9월 15일 959 hPa로 경남 고성 인근에 상륙하여 경상도를 관통하며 9월 16일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면서 소멸되었다.


2.2. 피해[편집]


'사오마이'로 인해 8명이 사망했다. 특히 일신호 유출사고로 바닷가 마을이 피해를 입었고, 많은 비로 고령 하굿둑이 터지고 진도 바닷가 마을이 물에 잠기는 따위의 많은 피해가 있었다. 며칠전에 닥친 '프라피룬'이 서해안을 가격했다면, 사오마이는 경상도를 가격했다. 특히 사오마이가 상륙했을 시점에 추석연휴 마지막 날이어서 당시 경상도나 전라도[5]에서 출발해 서울까지 가는 경우, 거의 하루가 지나서야 도착할 정도였다.


2.3. 기록[출처][편집]


순간최대풍속(m/s)
경상밀양 29.8 창원 28.5 거제 26.2 합천 21.3 구미 20.8 남해 20.1 영주 19.5 영천 19.0 안동 17.2 거창 15.4
전라흑산도 31.0 군산 27.9
충청대전 29.3
강원동해 21.4

3. 2006년 제8호 태풍[편집]


제명된 태풍
[ 펼치기 · 접기 ]

2001
와메이
2002
차타안
2002
루사*
2002
봉선화
2003
야냔
2003
임부도
2003
매미*
2004
수달
2004
팅팅
2004
라나님
2005
맛사*
2005
나비*
2005
룽왕
2006
짠쯔
2006
빌리스
2006
사오마이
2006
이오케※
2006
상산
2006
두리안
2009
모라꼿*
2009
켓사나
2009
파마
2010
파나피
2011
와시
2012
비센티
2012
보파
2013
소나무
2013
우토르
2013
피토
2013
하이옌
2014
람마순
2015
사우델로르*
2015
무지개
2015
곳푸
2015
멜로르
2016
므란티*
2016
사리카
2016
하이마
2016
녹텐
2017
하토
2017
카이탁
2017
덴빈
2018
룸비아*
2018
망쿳
2018
위투
2019
레끼마*
2019
파사이
2019
하기비스
2019
간무리
2019
판폰
2020
봉퐁
2020
린파
2020
몰라베
2020
고니
2020
밤꼬
2021
꼰선
2021
곤파스
2021
라이
2022
말라카스
2022
메기
2022
망온
2022
힌남노*
2022
노루
2022
날개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허리케인 명명기준 '이오파'로 변경.



2006년 태풍
[ 펼치기 · 접기 ]

짠쯔즐라왓에위니아*빌리스개미
쁘라삐룬마리아사오마이보파우쿵*
소나무이오케산산*야기상산
버빙카룸비아솔릭시마론제비
두리안우토르짜미
← 2005년 태풍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2007년 태풍 →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허리케인 명명기준 '이오파'로 변경.



2006년 태풍
제7호 마리아제8호 사오마이 → 제9호 보파

2006년 제8호 태풍 사오마이
위성사진파일:0608.jpg
진로도파일:0608track.png
활동 기간2006년 8월 5일 21시 ~ 2006년 8월 11일 9시
영향 지역캐롤라인 제도, 마리아나 제도, 류큐 제도, 대만, 중국
태풍 등급5등급[JTWC]
10분 등급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소형(직경 480 km)
최저 기압925 hPa
최대 풍속1분 평균72 m/s
10분 평균54 m/s
피해사망자456명
피해총액25억 달러[6]

짠쯔, 즐라왓, 빌리스, 개미, 쁘라삐룬에 이어 6번째로 또 다시 중국을 강타하면서 치명적인 피해를 입혔다. 저장성푸젠성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푸젠성의 소도시 푸딩(Fuding, 福鼎市)은 말 그대로 재앙과도 같은 피해를 입었다. 이 도시에서만 약 200명이 사망했으며 배 1천 척이 난파되고 1만 채가 넘는 가옥이 파괴되었다.

또한 내륙에 진입하며 소멸되는 과정에서도 폭우를 뿌리며 장시성안후이성에서도 홍수와 산사태 피해가 발생했다. 태풍과 멀리 떨어진 필리핀에서도 폭풍해일로 2명이 사망하고 7명이 실종되었다.

이 해 12월 마닐라 태풍위원회 회의에서 결국 제명이 결정되었고 이후 '손띤'이 새로운 이름으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