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쿳

덤프버전 : (♥ 0)

1. 개요
2. 2013년 제10호 태풍
2.1. 2013년 제10호 세력 경과
3. 2018년 제22호 태풍
3.1. 기록
3.1.1. 미국 JTWC
3.1.2. 일본 기상청(JMA)
3.2. 태풍의 진행
3.3. 피해


1. 개요[편집]


망쿳(Mangkhut)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태국어로 열대과일 망고스틴을 의미한다. 2006년 제명된 '두리안'을 대체한다. 두리안은 '과일의 왕' 이라는 별칭이 있는데 망고스틴은 '과일의 여왕'의 별칭이 붙어있다. 2018년 태풍이 필리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혀 제명되었다. 이름은 '끄라톤'으로 대체되었다.


2. 2013년 제10호 태풍[편집]




2013년 태풍
제9호 제비제10호 망쿳 → 제11호 우토르

2013년 제10호 태풍 망쿳
진로도파일:1310track.png
활동 기간2013년 8월 6일 21시 ~ 2013년 8월 8일 9시
영향 지역필리핀, 중국, 베트남, 라오스, 태국
태풍 등급열대폭풍[JTWC]
10분 등급열대폭풍[JMA]
태풍 크기소형(직경 440 km)
최저 기압992 hPa
최대 풍속1분 평균23 m/s
10분 평균21 m/s

2.1. 2013년 제10호 세력 경과[편집]


발표 시각1분풍속10분풍속SSHS 등급JMA 등급
8월 6일 21시35kn35kn열대폭풍
8월 7일 3시35kn35kn
8월 7일 9시35kn40kn
8월 7일 15시40kn40kn
8월 7일 21시35kn40kn
8월 8일 3시30kn35kn열대저기압
8월 8일 9시소멸 및 감시 종료

3. 2018년 제22호 태풍[편집]


제명된 태풍
[ 펼치기 · 접기 ]

2001
와메이
2002
차타안
2002
루사*
2002
봉선화
2003
야냔
2003
임부도
2003
매미*
2004
수달
2004
팅팅
2004
라나님
2005
맛사*
2005
나비*
2005
룽왕
2006
짠쯔
2006
빌리스
2006
사오마이
2006
이오케※
2006
상산
2006
두리안
2009
모라꼿*
2009
켓사나
2009
파마
2010
파나피
2011
와시
2012
비센티
2012
보파
2013
소나무
2013
우토르
2013
피토
2013
하이옌
2014
람마순
2015
사우델로르*
2015
무지개
2015
곳푸
2015
멜로르
2016
므란티*
2016
사리카
2016
하이마
2016
녹텐
2017
하토
2017
카이탁
2017
덴빈
2018
룸비아*
2018
망쿳
2018
위투
2019
레끼마*
2019
파사이
2019
하기비스
2019
간무리
2019
판폰
2020
봉퐁
2020
린파
2020
몰라베
2020
고니
2020
밤꼬
2021
꼰선
2021
곤파스
2021
라이
2022
말라카스
2022
메기
2022
망온
2022
힌남노*
2022
노루
2022
날개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허리케인 명명기준 '이오파'로 변경.





2018년 태풍
제21호 제비제22호 망쿳 → 제23호 바리자트

2018년 제22호 태풍 망쿳
위성사진파일:Mangkhut201809111630Z.jpg
진로도파일:Mangkhut20180917track.png
활동 기간2018년 9월 7일 21시 ~ 2018년 9월 17일 15시
영향 지역, 북마리아나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팔라우, 필리핀, 대만, 홍콩, 마카오, 중국, 베트남
태풍 등급5등급[JTWC]
10분 등급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대형(직경 1,300 km)
최저 기압905 hPa[1]
최대 풍속1분 평균80 m/s
10분 평균57 m/s
피해[2]사망자134명
실종자54명
피해총액37억 7,000만 달러[3]

열대저기압 26W가 승격된 태풍으로, 9월 7일 21시 괌 동쪽 약 2,260km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2018년 태풍 '제비'의 뒤를 이은 슈퍼 태풍. SSHS 기준 카테고리 5등급의 세력을 약 90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3.1. 기록[편집]



3.1.1. 미국 JTWC[편집]


미국 JTWC[4]
일시중심위치최대풍속(1분)등급예상강도예상경로 및 비고
7일 15시북위 12.5도, 동경 166.7도25노트열대저기압48시간 후 5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7일 21시북위 12.8도, 동경 165.3도30노트48시간 후 8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
8일 03시북위 13.2도, 동경 163.8도35노트열대폭풍48시간 후 10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8일 09시북위 13.6도, 동경 162.3도35노트48시간 후 95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8일 15시북위 14.3도, 동경 160.8도40노트48시간 후 95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8일 21시북위 14.8도, 동경 159.1도45노트48시간 후 10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
9일 03시북위 14.9도, 동경 157.0도55노트48시간 후 115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9일 09시북위 15.1도, 동경 154.9도65노트1등급48시간 후 125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9일 15시북위 15.3도, 동경 152.9도70노트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9일 21시북위 15.1도, 동경 150.9도75노트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10일 03시북위 14.8도, 동경 149.0도80노트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10일 09시북위 14.5도, 동경 147.4도80노트48시간 후 115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10일 15시북위 14.3도, 동경 145.7도90노트2등급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10일 21시북위 14.1도, 동경 144.3도100노트3등급48시간 후 130노트
96시간 후 140노트
#
11일 03시북위 14.0도, 동경 142.6도110노트48시간 후 135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11일 09시북위 14.0도, 동경 141.2도120노트4등급24시간 후 135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11일 15시북위 13.9도, 동경 139.8도135노트36시간 후 150노트
120시간 후 100노트
11일 21시북위 13.7도, 동경 138.7도140노트5등급36시간 후 150노트
120시간 후 80노트
#
12일 03시북위 13.9도, 동경 137.3도140노트
12일 09시북위 13.9도, 동경 136.2도140노트12시간 후 145노트
120시간 후 70노트
12일 15시북위 14.0도, 동경 135.2도150노트12시간 후 150노트
96시간 후 90노트
12일 21시북위 14.2도, 동경 134.0도150노트12시간 후 150노트
96시간 후 90노트
#
13일 03시북위 14.3도, 동경 132.5도155노트12시간 후 155노트
96시간 후 85노트
최전성기
13일 09시북위 14.5도, 동경 131.2도145노트36시간 후 135노트
72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40노트
13일 15시북위 14.7도, 동경 130.1도145노트36시간 후 135노트
72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40노트
13일 21시북위 15.0도, 동경 129.0도145노트36시간 후 125노트
72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14일 03시북위 15.2도, 동경 127.9도150노트12시간 후 155노트
72시간 후 80노트
14일 09시북위 15.9도, 동경 126.9도150노트24시간 후 110노트
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14일 15시북위 16.8도, 동경 125.6도145노트24시간 후 105노트
48시간 후 115노트
120시간 후 20노트
14일 21시북위 17.4도, 동경 124.1도145노트24시간 후 105노트
48시간 후 115노트
96시간 후 25노트
15일 03시북위 18.0도, 동경 122.3도145노트12시간 후 120노트
72시간 후 50노트
필리핀 상륙
15일 09시북위 18.1도, 동경 120.6도115노트4등급36시간 후 115노트
48시간 후 60노트
#
15일 15시북위 18.5도, 동경 119.7도105노트3등급36시간 후 60노트
72시간 후 20노트
15일 21시북위 19.2도, 동경 118.3도100노트24시간 후 80노트
36시간 후 55노트
#
16일 03시북위 19.8도, 동경 116.9도90노트2등급12시간 후 80노트
24시간 후 55노트
16일 09시북위 20.7도, 동경 115.2도85노트12시간 후 70노트
24시간 후 50노트
16일 15시북위 21.5도, 동경 113.6도85노트12시간 후 60노트
24시간 후 40노트
16일 21시북위 22.0도, 동경 111.6도70노트1등급12시간 후 50노트
24시간 후 35노트
17일 03시북위 22.4도, 동경 109.6도55노트열대폭풍
17일 09시북위 23.0도, 동경 108.3도45노트


3.1.2. 일본 기상청(JMA)[편집]


일본 기상청[5][6]
일시중심위치현재세력등급강풍반경[7][8]
중심기압최대풍속(10분)
7일 21시북위 12.7도, 동경 165.4도1000hPa35노트280km
8일 09시북위 13.6도, 동경 162.3도998hPa40노트280km
8일 21시북위 14.5도, 동경 159.2도992hPa45노트280km
9일 09시북위 14.8도, 동경 155.2도975hPa65노트330km
9일 21시북위 15.1도, 동경 151.4도970hPa70노트330km
10일 09시북위 14.6도, 동경 147.5도955hPa80노트330km
10일 21시북위 14.2도, 동경 144.2도950hPa85노트매우 강330km
11일 09시북위 14.0도, 동경 141.3도935hPa95노트330km
11일 21시북위 13.7도, 동경 138.7도905hPa110노트맹렬390km
12일 09시북위 13.9도, 동경 136.2도905hPa110노트440km
12일 21시북위 14.3도, 동경 134.0도905hPa110노트480km
13일 09시북위 14.5도, 동경 131.4도905hPa110노트500km
13일 21시북위 14.9도, 동경 128.9도905hPa110노트650km
14일 09시북위 16.0도, 동경 126.9도905hPa110노트650km
14일 21시북위 17.4도, 동경 124.1도905hPa110노트650km
15일 09시북위 18.0도, 동경 120.5도940hPa90노트매우 강650km
15일 21시북위 19.2도, 동경 118.3도950hPa85노트550km
16일 09시북위 20.6도, 동경 115.3도960hPa75노트550km
16일 21시북위 22.2도, 동경 111.6도970hPa65노트440km
17일 09시북위 23.2도, 동경 108.3도992hPa45노트440km
17일 15시북위 24.0도, 동경 107.0도998hPa열대저기압으로 약화

3.2. 태풍의 진행[편집]


7일 24시 JTWC는 120시간뒤 1분 평균 최대풍속 135노트의 SSHS 기준 4등급 슈퍼태풍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만과 중국 남부로의 상륙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11일 15시 태풍 '망쿳'은 135노트를 기록하면서 4등급 슈퍼태풍이 되었다. 같은 날 21시에는 140노트의 SSHS 기준 5등급 슈퍼태풍으로 승격되었다. 11일 예보를 종합해볼 때, 필리핀 루손 섬의 북쪽 먼바다를 가로질러서 홍콩 부근으로 상륙할 가능성이 높다. 필리핀 루손 섬 북쪽을 지날 때는 카테고리 4~5등급이 될 전망이고, 홍콩이나 중국남부 상륙시에도 카테고리1~2급의 강한 세력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 루손 섬 북부지역과 대만, 중국 남부, 홍콩 지역이 이번 태풍에 의해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이다.

13일 3시 1분 평균 최대풍속 155노트(=80m/s)를 기록하면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14일 필리핀 정부는 해안과 도서지역의 주민 80만명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관련기사

15일 오전 태풍 망쿳이 루손 섬 북부의 카가얀 주 해안 일대에 상륙하였다. 상륙 당시의 세력은 중심기압 905hPa, 1분 평균 최대풍속 145노트의 SSHS 기준 5등급 슈퍼태풍의 지위를 유지했다. 그 뒤, 루손 섬의 고지대에 부딪히면서 세력이 약화되어 필리핀을 빠져나갔다. 남중국해를 거쳐 16일 밤에서 17일 새벽 사이 중국 남부지역 (광둥성, 하이난성, 마카오 부근)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15시경, SSHS 기준 카테고리 1등급 태풍의 세력으로 중국 광둥성 장먼 시에 상륙하였다. 그 후 북서진하여 중국 광시성을 거쳐 베트남 북동부로 이동하였다.

17일 15시, JMA은 베트남 하노이 북동쪽 약 300km 부근 육상에서 망쿳이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3.3. 피해[편집]


필리핀에서 태풍의 영향으로 발생한 산사태로 32명이 사망하고 40명 이상이 실종되었다. 또한 섬과 저지대 주민 27만 명이 피해를 봤고 전력 공급선 파손으로 8개 주에 정전이 발생했다.
홍콩에서 침수로 인해 1천 200여 명이 대피했고 강풍으로 200그루 가까운 가로수가 쓰러져 213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마카오에서 모든 카지노 영업을 중단했고 2만여 가구에 정전이 발생했다.

홍콩에서 4만 가구가 정전되었고 태풍 피해로 인해 출근길 교통대란이 일어났다.
마카오에서 저지대와 주요 도로가 침수되고 17명이 부상당했다.
중국 광둥성에서 4명이 사망했다.기사
필리핀에서 64명이 사망했다.

  • 9월 18일
필리핀에서 66명이 사망하고 60여 명 매몰되었다. 주택 450여 채가 파손되고 15만 5천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기사
홍콩에서 태풍으로 피해를 본 홍콩의 보험가입자들이 보험회사에 지급을 요구할 보험청구액이 10억 달러(1조 1천300억 원)를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기사

  • 9월 19일
필리핀에서 100명이 사망하고 57명이 매몰되어 있다.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9:31:17에 나무위키 망쿳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JTWC] A B [JMA] A B [1] JTWC관측 기압 : 896 hPa[2] 영문 위키백과 기준[3] 2018 USD[4] 속보치 기준[5] JMA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6] 수명이 길어서 12시간 간격으로 작성[7] 풍속 30kn(15m/s) 이상[8] 베스트 트랙 상 해리(nm)단위로 표기되어 있어 km로 변환 후 10km 단위로 반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