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마제

덤프버전 :

사마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서진의 계보도
[ 펼치기 · 접기 ]

경조부군[추존][1]사마랑창무정후 유하간평왕 홍의양왕
장무왕
의양성왕 망하간평왕 홍[2]
동평왕
고조 선황제[추존]세종 경황제[추존]제헌왕 유동래왕 [3]
북해왕 [4]
제무민왕
태조 문황제[추존]세조 무황제(1)비릉도왕 궤[5]
효혜황제(2)민회태자 휼
진헌왕 효민황제(4)[6]
성양회왕 경
초은왕
동해충왕 지
시평애왕 유
회남충장왕
청하강왕 [7]
장사려왕 예(혹은 애)
성도왕
오효왕 효민황제[8]
발해상왕 회[9]
예장왕→효회황제(3)[10]
대애왕 연[11]
제헌왕 유[12]
성양애왕 조청하강왕
요동도혜왕 정국동래왕
광한상왕 광덕북해왕
낙안평왕
연왕 [13]
사마영조
낙평왕 연조
여남문성왕 [14]사마수
회왕
낭야무왕 주낭야공왕 근중종 원황제(5)[15]
무릉장왕
동안왕
회릉원왕
연왕 경연왕
부풍무왕 준순양왕
신야장왕
평원왕
양효왕
조왕 [16]
안평헌왕 부안평정왕 옹남궁현왕 승[17]
안평왕 돈[18]
의양성왕 망[19]
사마익남궁현왕 승안평왕 [20]
태원열왕 괴하간왕
상산왕 형안평왕 돈안평왕
동무대후 규팽성목왕 권팽성원왕
고밀문헌왕 동해효헌왕
신채무애왕
고밀효왕
남양왕 원황제[21]
범양왕 수
사마순제남왕 수중산왕
사마진성양정후 손
단수현후 목안평정후 표[22]
안성정후 통임성왕 릉임성왕
안평정후 민안평정후 표[23]
경조부군 이전[추존][24]
정서부군 - 예장부군 - 영천부군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 및 추존 황제는 굵게 쓰고 8왕은 작위를 빨갛게 썼다. 그리고 8왕의 난에 관련된 자들은 작위를 갈색으로 썼다. 종친의 이름은 뒤에 쓴다. 그리고 종친은 작위 뒤에 성씨를 생략한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추존] A B C D E [1]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2] 창무정후 유의 양자가 됨.[3] 숙부 요동도혜왕 정국의 양자가 됨.[4] 숙부 광한상왕 광덕의 양자가 됨.[5] 무제 사마염의 적장자지만 2살에 사망하여 혜제 사마충이 사실상 장남이 되었다. 항목이 존재하고 봉국을 물려받았으므로 기재.[6] 여기가 서진의 끝.[7] 숙부 성양애왕 조의 양자가 됨.[8] 백부 진헌왕 간의 양자가 됨.[9] 적장자였던 사마궤와 마찬가지로 1살이라는 매우 어린나이로 사망했으나 봉국을 물려받았기에 기재한다.[10] 직접 난을 일으킨 적은 없는 여남문성왕 량 대신 팔왕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1] 봉국을 받지 못해 시호로 대체.[12] 백부 세종 경황제 사의 양자가 됨.[13] 숙부 연왕 경의 양자가 됨.[14] 난을 일으킨 적은 없기에 팔왕에서 빼고 대신 효회황제 치를 넣는 시각도 있다.[15] 여기가 동진의 시작.[16] 비정통 황제.[17] 숙부 사마익의 양자가 됨.[18] 숙부 사마형의 양자가 됨.[19] 백부 사마랑의 양자가 됨.[20] 숙부 사마돈의 양자가 됨.[21] 비정통 황제.[22] 종조부 사마민의 양자가 됨.[23] 팔왕의 난 당시 서진의 종실중 한명임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며, 난이 끝나가는 직전까지 살았다.[24]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




임성국의 역대 국왕
1대 사마릉2대 사마제폐지(?)
司馬濟
생몰년도 미상

서진의 인물이며 자는 자산(子山)으로 사마릉의 장남. 사례 하내군 온현 사람.

283년에 사마릉이 사망하면서 그 후사를 계승해 임성왕이 되었으며, 산기시랑, 급사중, 산기상시, 보국장군 등을 역임했다. 그 기간 동안에 외척인 가남풍의 전횡을 시작으로 사마씨의 여러 황족들끼리 서로 다투는 팔왕의 난이 일어나 나라가 크게 혼란해졌다.

이후 여러 왕들이 서로를 죽이는 와중에 사마월사마옹을 죽이고 사마치를 돕기로 하면서 팔왕의 난이 끝났는데, 그 때 여러 민족들이 중원에 침입한 상황이었고 사마제는 사마월을 따라서 항에 있었지만 석륵의 공격을 받아 두 아들이 전사했고 그 자신은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그의 두 아들이 전사한 이후로는 그의 행방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자세한 것은 불명이지만 영가의 난으로 인해 그의 봉지인 임성국은 폐지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3:33:41에 나무위키 사마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