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마량(후한)

덤프버전 :




사마진 추존 · 비정통 황제





서진 추존 존령
豫章府君 | 예장부군

묘호
없음
시호
예장부군(豫章府君)
생몰
? ~ ?

사마(司馬)

량(量)

공도(公度)
부친
정서부군
1. 개요
2. 참고 항목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후한의 인물로 는 공도(公度), 사례 하내군(河內郡) 온현(溫縣) 사람으로 은왕 사마앙의 후손이자 후한의 정서장군(征西將軍)을 지낸 사마균의 아들, 서진을 세운 사마염의 5대조다.

생전 예장군태수(豫章郡太守)를 지냈으며, 그의 대를 지나 사마씨 가문은 무관(武官) 외에도 문사(文事)와 관련된 일을 했다고 한다.

266년, 5대손 사마염이 황제로 즉위하자 예장부군(豫章府君)으로 격상되어 위패가 칠묘에 안치되었으나 진혜제가 죽고 칠묘에서 제거되었다. 이후 동진원제가 즉위하자 다시 칠묘에 안치되었다.


2. 참고 항목[편집]




3. 둘러보기[편집]



서진의 계보도

[ 펼치기 · 접기 ]
경조부군[추존][1]
사마랑
창무정후 유
하간평왕 홍
의양왕
장무왕
의양성왕 망
하간평왕 홍[2]
동평왕
고조 선황제[추존]
세종 경황제[추존]
제헌왕 유
동래왕 [3]
북해왕 [4]
제무민왕
태조 문황제[추존]
세조 무황제(1)
비릉도왕 궤[5]
효혜황제(2)
민회태자 휼
진헌왕
효민황제(4)[6]
성양회왕 경
초은왕
동해충왕 지
시평애왕 유
회남충장왕
청하강왕 [7]
장사려왕 예(혹은 애)
성도왕
오효왕
효민황제[8]
발해상왕 회[9]
예장왕→효회황제(3)[10]
대애왕 연[11]
제헌왕 유[12]
성양애왕 조
청하강왕
요동도혜왕 정국
동래왕
광한상왕 광덕
북해왕
낙안평왕
연왕 [13]
사마영조
낙평왕 연조
여남문성왕 [14]
사마수
회왕
낭야무왕 주
낭야공왕 근
중종 원황제(5)[15]
무릉장왕
동안왕
회릉원왕
연왕 경
연왕
부풍무왕 준
순양왕
신야장왕
평원왕
양효왕
조왕 [16]
안평헌왕 부
안평정왕 옹
남궁현왕 승[17]
안평왕 돈[18]
의양성왕 망[19]
사마익
남궁현왕 승
안평왕 [20]
태원열왕 괴
하간왕
상산왕 형
안평왕 돈
안평왕
동무대후 규
팽성목왕 권
팽성원왕
고밀문헌왕
동해효헌왕
신채무애왕
고밀효왕
남양왕
원황제[21]
범양왕 수
사마순
제남왕 수
중산왕
사마진
성양정후 손
단수현후 목
안평정후 표[22]
안성정후 통
임성왕 릉
임성왕
안평정후 민
안평정후 표[23]
경조부군 이전[추존][24]
정서부군 - 예장부군 - 영천부군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 및 추존 황제는 굵게 쓰고 8왕은 작위를 빨갛게 썼다. 그리고 8왕의 난에 관련된 자들은 작위를 갈색으로 썼다. 종친의 이름은 뒤에 쓴다. 그리고 종친은 작위 뒤에 성씨를 생략한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추존] A B C D E [1]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2] 창무정후 유의 양자가 됨.[3] 숙부 요동도혜왕 정국의 양자가 됨.[4] 숙부 광한상왕 광덕의 양자가 됨.[5] 무제 사마염의 적장자지만 2살에 사망하여 혜제 사마충이 사실상 장남이 되었다. 항목이 존재하고 봉국을 물려받았으므로 기재.[6] 여기가 서진의 끝.[7] 숙부 성양애왕 조의 양자가 됨.[8] 백부 진헌왕 간의 양자가 됨.[9] 적장자였던 사마궤와 마찬가지로 1살이라는 매우 어린나이로 사망했으나 봉국을 물려받았기에 기재한다.[10] 직접 난을 일으킨 적은 없는 여남문성왕 량 대신 팔왕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1] 봉국을 받지 못해 시호로 대체.[12] 백부 세종 경황제 사의 양자가 됨.[13] 숙부 연왕 경의 양자가 됨.[14] 난을 일으킨 적은 없기에 팔왕에서 빼고 대신 효회황제 치를 넣는 시각도 있다.[15] 여기가 동진의 시작.[16] 비정통 황제.[17] 숙부 사마익의 양자가 됨.[18] 숙부 사마형의 양자가 됨.[19] 백부 사마랑의 양자가 됨.[20] 숙부 사마돈의 양자가 됨.[21] 비정통 황제.[22] 종조부 사마민의 양자가 됨.[23] 팔왕의 난 당시 서진의 종실중 한명임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며, 난이 끝나가는 직전까지 살았다.[24]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