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구

덤프버전 :

1. 沙丘/砂丘
2. 四球/死球
3. 고구려의 인물
4. 4구
5. KOF의 캐릭터 K9999의 별명
6. 서진의 인물
7. 섰다의 족보 四九
8. 중국의 지명
9. 총안


1. 沙丘/砂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사구(지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四球/死球[편집]


야구에서 四球는 볼넷, 死球는 몸에 맞는 공을 뜻한다. 본래는 일본식 야구용어로 둘 다 한국식 한자 독음으로는 발음이 같기 때문에 혼동을 주고 있어서 거의 사어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볼넷'이란 말이 사구를 밀어내고 완전히 자리 잡은 것과 달리, '몸에 맞는 공'은 한국야구에서 여전히 '사구'라고 쓰이는 경우가 꽤 많고, 공식 방송중계에서도 사구와 몸에 맞는 공이 혼용되곤 한다.[1] 둘을 합쳐서 사사구라고 쓰기도 한다.

3. 고구려의 인물[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高奢句
?[2] ~ 248년

고구려의 왕족. 동천왕의 아들이며, 또한 중천왕의 동생이었다.

248년, 형제인 예물과 더불어서 형인 중천왕을 상대로 모반을 꾀하였다가 실패하였고, 결국 예물과 함께 형벌을 받고 죽었다.

당시에는 왕위계승 방식이 기존의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변화하던 시기였는데,[3] 예물과 사구는 이러한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오히려 반발하며 왕위를 찬탈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4. 4구[편집]


당구의 한 종류로 흰공 2개, 적색공 2개를 사용하거나 흰공 1개, 황색공 1개, 적색공 2개를 사용한다. 단, 흰공 2개를 사용하는 경우 2개 중 1개에는 표시를 하여 자신의 공과 상대의 공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수구로 목적구인 적색구 2개를 맞추면 득점한다.


5. KOF의 캐릭터 K9999의 별명[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9999#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케이포나인이라고 읽히기 때문에 포나인 부분만 따서 사구라고 부른다. 다른 별명은 구땡이


6. 서진의 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사구(삼국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섰다의 족보 四九[편집]


4월과 9월의 조합으로, 구사라고도 한다. 특수 족보이며 그 판에 땡이 없을 시 그 판을 무승부로 만든다.

강화 족보로 멍텅구리 사구(멍사구)가 있는데, 이 족보는 장땡 이하를 무승부로 만든다.


8. 중국의 지명[편집]


중국의 옛지명으로 여기서 일어난 사구정변이 유명하다.


9. 총안[편집]


성벽에서 원거리 무기를 쏠 수 있도록 만든 구멍이다. 총안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2:25:51에 나무위키 사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몸에 맞는 공이란 표현이 사용되는 비중이 조금 더 높은 수준까지는 왔다.[2] 224년 이후[3] 대무신왕때부터 산상왕 이전까지는 형제상속이 부자상속보다 더 잦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