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예세계문학선

덤프버전 :

1. 개요
2. 특징
3. 목록
4. 에디터스 컬렉션
5. 함께 보기



1. 개요[편집]


문예출판사에서 나온 세계문학전집의 책들을 정리한 문서.


2. 특징[편집]


파일:문예세문선릴케단편선.jpg
동서문화사랑 비슷하게 옛날 번역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초판 출판 년도를 보면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래도 옛날 번역자들이 한국어 구사력이 좋은 편이어서 지금 기준으로 봐도 나쁘지 않은 번역들이 종종 있다. 다만 소세키 같은 일문학과 헤밍웨이의 단편선은 오역이 정말 많아 거르는게 좋다. 질 낮은 번역은 과거부터 번역자가 많은 만큼, 수준 낮은 인물도 많았던 영문학과 일문학에 대거 몰려 있고 노문학, 불문학, 독문학에는 추천할 만한 역본이 제법 있다.

0세대부터 번역자들 실력 좋기로 유명한 러시아 문학은 평이 대체로 평가가 좋은데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생활자의 수기>[1]는 문예출판사의 이동현 역이 명역으로 꼽힌다. 1세대 노문학자 김학수 교수가 번역한 체호프 단편선은 수록 작품이 민음사와 단 한편도 겹치지 않는다.[2] 역시 김학수 교수가 맡은 <부활>, <죄와 벌>, <첫사랑>도 명역.

헤르만 헤세[3]라이너 마리아 릴케도 송영택 시인이 번역한 문예출판사를 좋게 쳐준다. 반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평이 그리 좋지 않다.

장폴 사르트르의 <구토>도 여기서 나온 방곤 역이 유명한데, 원래 난해한 소설이라 내용에 대한 불평이 많을 뿐이지 번역에 대한 평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참고로 1950년대에 처음 나왔던 번역이라고 한다.

호밀밭의 파수꾼파리대왕은 민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번역이 낫다고 한다.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알다시피 두 소설은 민음사 번역들 중에서 최악으로 악명이 높다. 김병익 번역이던 1984빅 브라더를 한자 그대로 대형(大兄)으로 번역한 게 특징. 그러나 2022년 동물농장과 함께 번역이 교체되고 기존 판본이 절판되면서 사라졌다. 그리고 김병익 역본은 문학과지성사에서 대형(大兄) 번역을 없애고 새 표지와 함께 재출간되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역시 문예출판사에서 나온 황문수 역본이 일본에서 번역된 한자어를 그대로 썼다는 점을 제외하면 가장 무난한 번역으로 평가받는다.


3. 목록[편집]


번호제목작가
1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요한 볼프강 폰 괴테
2멋진 신세계올더스 헉슬리
3호밀밭의 파수꾼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4데미안헤르만 헤세
5생의 한가운데루이제 린저
6대지펄 벅
71984년조지 오웰
8위대한 개츠비스콧 피츠제럴드
9파리대왕윌리엄 골딩
10삼십세잉에보르크 바흐만
11오이디푸스왕 · 안티고네 외소포클레스, 아이스퀼로스
12주홍글씨너새니얼 호손
13동물농장조지 오웰
14마음나쓰메 소세키
15아Q정전·광인일기루쉰
16개선문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17구토장폴 사르트르
18노인과 바다어니스트 헤밍웨이
19좁은 문앙드레 지드
20변신·시골의사프란츠 카프카
21이방인알베르 카뮈
22지하생활자의 수기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23설국가와바타 야스나리
24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알렉산드르 솔제니친
25더블린 사람들제임스 조이스
26여자의 일생기 드 모파상
27달과 6펜스서머싯 몸
28지옥앙리 바르뷔스
29젊은 예술가의 초상제임스 조이스
30검은 고양이에드거 앨런 포
31도련님나쓰메 소세키
32우리 시대의 아이외덴 폰 호르바트
33잃어버린 지평선제임스 힐튼
34지상의 양식앙드레 지드
35체호프 단편선안톤 체호프
36인간 실격[4]다자이 오사무
37위기의 여자시몬 드 보부아르
38댈러웨이 부인버지니아 울프
39인간 희극윌리엄 사로얀
40오 헨리 단편선오 헨리
41말테의 수기라이너 마리아 릴케
42파비안에리히 캐스트너
43햄릿윌리엄 셰익스피어
44바라바페르 라게르크비스트
45토니오 크뢰거토마스 만
46첫사랑이반 투르게네프
47제3의 사나이그레이엄 그린
48어둠의 속조지프 콘래드
49싯다르타헤르만 헤세
50모파상 단편선기 드 모파상
51찰스 램 수필선찰스 램
52보바리 부인귀스타브 플로베르
53페터 카멘친트헤르만 헤세
54몽테뉴 수상록미셸 드 몽테뉴
55알퐁스 도데 단편선알퐁스 도데
56베이컨 수필집프랜시스 베이컨
57인형의 집헨리크 입센
58심판프란츠 카프카
59테스토머스 하디
60리어왕윌리엄 셰익스피어
61라쇼몽아쿠타가와 류노스케
62프랑켄슈타인메리 셸리
63등대로버지니아 울프
64명상록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65가든 파티캐서린 맨스필드
66투명인간허버트 조지 웰즈
67게르트루트헤르만 헤세
68피가로의 결혼보마르셰
69팡세블레즈 파스칼
70한국 단편 소설선 1김동인
71지킬 박사와 하이드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72밤으로의 긴 여로유진 오닐
73허클베리 핀의 모험마크 트웨인
74이선 프롬이디스 워튼
75크리스마스 캐럴찰스 디킨스
76파우스트요한 볼프강 폰 괴테
77야성의 부름잭 런던
78고도를 기다리며사뮈엘 베케트
79걸리버 여행기조너선 스위프트
80톰 소여의 모험마크 트웨인
81오만과 편견제인 오스틴
82오셀로 · 템페스트윌리엄 셰익스피어
83맥베스
84순수의 시대이디스 워튼
85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프리드리히 니체
86그리스 로마 신화이디스 해밀턴
87모로 박사의 섬허버트 조지 웰즈
88유토피아토머스 모어
89로빈슨 크루소다니엘 디포
90자기만의 방버지니아 울프
91월든헨리 데이비드 소로
92나는 고양이로소이다나쓰메 소세키
93폭풍의 언덕에밀리 브론테
94스완네 쪽으로[5]마르셀 프루스트
95이솝 우화이솝
96페스트알베르 카뮈
97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오스카 와일드
98기러기모리 오가이
99제인 에어 1샬럿 브론테
100제인 에어 2
101방황루쉰
102타임머신허버트 조지 웰스
103보이지 않는 인간 1랠프 엘리슨
104보이지 않는 인간 2
105훌륭한 군인포드 매독스 포드
106수레바퀴 아래서헤르만 헤세
107죄와 벌 1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108죄와 벌 2
109밤의 노예미셸 오스트
110바다여 바다여 1아이리스 머독
111바다여 바다여 2
112부활 1레프 톨스토이
113부활 2
114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조라 닐 허스턴
115약속프리드리히 뒤렌마트
116제니의 초상로버트 네이선
117트로일러스와 크리세이드제프리 초서
118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레프 톨스토이
119전락알베르 카뮈
120독일인의 사랑막스 뮐러
121릴케 단편선라이너 마리아 릴케
122이반 일리치의 죽음레프 톨스토이
123판사와 형리프리드리히 뒤렌마트
124보트 위의 세 남자제롬 K.제롬
125자전거를 탄 세 남자
126사랑하는 하느님 이야기라이너 마리아 릴케
127그리스인 조르바니코스 카잔차키스
128여자 없는 남자들어니스트 헤밍웨이
129사양다자이 오사무
130슌킨 이야기다니자키 준이치로

4. 에디터스 컬렉션[편집]


리커버판으로, 판형이 한 손에 꽉 들어올 정도로 작고 표지 디자인도 더 좋아진 버젼이다.

구토동물농장은 세계문학선과 다르게 최신 번역이다.
11984조지 오웰
2멋진 신세계올더스 헉슬리
3그리스인 조르바니코스 카잔차키스
4데미안헤르만 헤세
5그 후나쓰메 소세키
6나는 고양이로소이다
7이방인알베르 카뮈
8도련님나쓰메 소세키
9마음
10구토장폴 사르트르
11동물농장조지 오웰
12사양다자이 오사무
13인간 실격
14슌킨 이야기다니자키 준이치로
15프랑켄슈타인메리 셸리

5. 함께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9:00:14에 나무위키 문예세계문학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민음사와 열린책들은 <지하로부터의 수기>로 표기하고 있으며 창비는 지하에서 쓴 수기로 표기하고 있다.[2] 나중에 나온 민음사 역이 의도적으로 그때까지 번역되지 않은 단편들을 골랐기 때문이다. 민음사, 열린, 펭귄의 체호프 단편선은 의도적으로 그전까지 번역이 많이 된 체호프의 대표 단편 귀여운 여인을 뺏기 때문에 민음사, 열린, 펭귄에 문예를 읽는게 최대한 수록작 덜 겹치면서 체호프 대표 단편들을 읽는 방법이다.[3] <게르트루트>와 <수레바퀴 아래서>가 문예에 있고 데미안, <싯다르타>, <지와 사랑(나르치스와 골드문트)>는 동서문화사에 있다.[4] 원래는 《사양》이 합본되어 있었지만 2022년 인간실격만 다시 출간되었다.[5]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