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천루/동남아시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천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Petronas_Towers%2C_Kuala_Lumpur_%283323152170%29.jpg
동남아시아 대표 마천루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88F/451.9m/말레이시아/1998년)
파일:Merdeka_118_20230317.jpg
2023년 기준 동남아시아 최고층 마천루 KL118
(118F/678.9m/말레이시아/2023년)

본 항목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위치한 마천루에 대해 설명하는 항목이다.

1. 연혁
2. 초고층 건물 목록
3. 국가별 초고층 건물


1. 연혁[편집]


후술하겠지만, 동남아시아에서 본격적으로 들어선 마천루는 1975년에 들어선 싱가포르의 OUE 다운타운 타워이다. 당시 지상 50층에 높이 201m로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로 높았다.

이후 동남아에서 가장 먼저 경제가 발전했던 싱가포르에서 마천루를 건립하기 시작했는데, 1987년에는 원 래플즈 플레이스가 들어섰다. 특히 이 건물은 높이 280m에 63층으로, 당시 63빌딩을 꺾고 아시아 최고층 건물로 군림했다.

이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도 1990년대 중반부터 마천루 열풍이 불기 시작했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높이 452m짜리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를 건립하여 세계 최고층 건물 보유국이 되었다.

그러다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하여 이 국가들 역시 경제적으로 주춤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태국, 필리핀 등에서도 200m를 넘는 마천루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베트남에서도 빠른 경제 성장과 동시에 높은 건물들이 들어섰는데, 특이하게도 가장 높은 건물이었던 경남 랜드마크72대한민국경남기업이 시공과 개발, 소유을 전부 맡았고, 현재에도 마천루들이 대도시 곳곳에 들어서는 중이다. 또한 2018년 개장한 베트남 호치민 시랜드마크 81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2023년 중에 완공되는 말레이시아메르데카 118이 다시 한 번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라는 명함을 탈환할 예정인데, 높이가 무려 랜드마크 81을 압도하는 678.9m에 달하기 때문에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에서 이를 압도하는 700m급 마천루를 세우지 않는 한 명함 탈취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 초고층 건물 목록[편집]



3. 국가별 초고층 건물[편집]



3.1. 말레이시아[편집]


여기를 참조.

3.2. 베트남[편집]


베트남에 본격적으로 마천루 열풍이 들어선 건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으로, 비교적 최근이다. 현재에는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하노이호치민 시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다낭과 나쨩에도 계속해서 마천루가 들어서고 있다. 또한 2018년 개장한 랜드마크 81은 페트로나스 트윈타워를 제치고 동남아시아 전체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가 되었다.

높이별 베트남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순위명칭위치층수높이완공
1위랜드마크 81호치민81층461.2m2018년
2위랜드마크 72하노이70층350m2011년[1]
3위롯데센터 하노이하노이65층272m2014년
4위비텍스코 파이낸셜 타워호치민68층262.5m2010년[2]
5위테크노파크 타워하노이45층226m2021년
6위경남 하노이 레지덴셜 타워 1동하노이48층212m2011년
경남 하노이 레지덴셜 타워 2동하노이48층212m2011년
7위베트콤뱅크 타워호치민40층206m2015년
8위사이공 원 타워호치민42층195.3m2014년
9위디스커버리 컴플렉스 A하노이50층195m2017년
10위사이공 센터 2호치민43층193.7m2017년
11위HPC 랜드마크 105하노이50층190m2018년
12위빈홈즈 파크 6호치민51층184m2017년
빈홈즈 아쿠아 1호치민50층184m2018년
빈홈즈 아쿠아 2호치민50층184m2018년
13위나폴레옹 캐슬 나쨩나쨩40층180m2017년
디스커버리 컴플렉스 B하노이43층180m2016년
하노이 랜드마크 51하노이51층180m2018년
윈덤 솔레일 다낭 D다낭40층180m2018년

역대 베트남의 최고층 마천루
기간명칭위치층수높이
1895년~1972년사이공 노트르담 대성당호치민5층58m
1972년~1995년오식 빌딩호치민15층60m
1995년~1996년선와 타워호치민21층92m
1996년~1997년사이공 센터 1동호치민25층106m
1997년~2010년사이공 트레이드 센터호치민34층160m
2010년~2011년비텍스코 파이낸셜 타워호치민68층262.5m
2011년~2018년랜드마크 72하노이70층350m
2018년~랜드마크 81호치민81층461.2m

3.3. 싱가포르[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Singapore_Skyline_in_the_Early_Morning.jpg

싱가포르는 특이하게도 300m 이상의 건물 계획이 단 하나만 잡혀 있다. 2023년 현재 실존하는 마천루 중 가장 높은 마천루가 284m의 구오코 타워, 2028년에 준공되는 가장 높은 마천루가 305m의 8 셴턴 웨이로 타국에[3] 비해 최고층 마천루의 높이가 매우 낮은 편이다. 높이 305m의 느낌이 잘 안 오는가? 바로 동북아무역타워와 같은 높이이다.[4]

하지만 정작 싱가포르의 야경을 본다면, 마천루가 매우 빽빽하게 들어차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높아보일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200m 이상 건물은 2023년 기준 31동이나 들어섰는데 정작 싱가포르는 도시국가이다.

높이별 싱가포르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1위구오코 타워싱가포르65층284m2016년
2위원 래플즈 플레이스싱가포르66층280m1986년
유나이티드 오버시즈 뱅크 플라자 1동싱가포르67층280m1995년
리퍼블릭 플라자싱가포르66층280m1998년
카피타스프링싱가포르52층280m2021년
3위캐피탈 타워싱가포르52층254m2000년
4위알티즈싱가포르62층250m2014년
스카이스위트 @ 안슨싱가포르72층250m2014년
5위원 래플즈 쿼이 북부 타워싱가포르50층245m2006년
더 세일 @ 마리나 베이 타워 1동싱가포르70층245m2008년
카피타그린싱가포르40층245m2011년
오션 금융센터싱가포르43층245m2011년
마리나 베이 금융센터 타워 2동싱가포르45층245m2012년
6위마리나 베이 금융센터 타워 3동싱가포르49층239m2010년
7위V 온 셴턴싱가포르54층237m2017년
8위AXA 타워싱가포르52층235m1986년
프레저스 타워싱가포르38층235m2018년
9위아시아 스퀘어 타워 1동싱가포르43층229m2011년
10위마리나 베이 레지던스싱가포르61층227m2011년
마리나 베이 스위트싱가포르65층227m2014년
11위스위스호텔 더 스탬포드싱가포르73층226m1986년
12위마리나 원 동부 타워싱가포르30층225m2018년
마리나 원 서부 타워싱가포르30층225m2018년
13위밀레니아 타워싱가포르41층223m1996년
14위아시아 스퀘어 타워 2동싱가포르46층221m2013년
15위더 오차드 레지던스싱가포르56층218m2010년
사우스 비치 북부 타워싱가포르35층218m2015년
사우스 비치 남부 타워싱가포르35층218m2015년
16위더 세일 @ 마리나 베이 타워 2동싱가포르63층215m2008년
17위원 셴튼 웨이 타워 1동싱가포르50층214m2011년
18위원 래플즈 플레이스 타워 2동싱가포르38층209m2012년
19위OUE 다운타운 타워 1동싱가포르50층201m1975년
20위OCBC 센터싱가포르52층198m1976년
21위마리나 베이 샌즈 타워 1동싱가포르57층194m2010년
마리나 베이 샌즈 타워 2동싱가포르57층194m2010년
마리나 베이 샌즈 타워 3동싱가포르57층194m2010년
22위오아시아 호텔 다운타운싱가포르27층193m2016년
23위마리나 베이 금융센터 타워 1동싱가포르33층192m2010년
24위인터내셔널 플라자싱가포르50층190m1976년
싱가포르 랜드 타워싱가포르48층190m1980년
25위SGX 센터 1동싱가포르30층187m2000년
SGX 센터 2동싱가포르30층187m2001년
SBF 센터싱가포르31층187m2016년

역대 싱가포르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기간명칭위치층수높이
1939년~1954년카테이 빌딩싱가포르17층70m
1954년~1971년아시아 보험 빌딩싱가포르20층87m
1971년~1973년더 만다린 싱가포르 타워 1동싱가포르36층144m
1973년~1973년더 만다린 싱가포르 타워 2동싱가포르40층152m
1973년~1975년UIC 빌딩싱가포르40층152m
1975년~1986년DBS 빌딩 타워 1동싱가포르50층201m
1986년~1992년원 래플즈 플레이스싱가포르63층280m
1992년~1995년유나이티드 오버시즈 뱅크 플라자 1동싱가포르67층280m
1995년~2016년리퍼블릭 플라자싱가포르66층280m
2016년~구오코 타워싱가포르64층284m

3.4. 인도네시아[편집]


인도네시아에도 1990년대 신흥국 고도성장으로 인하여 본격적인 마천루 건립이 시작되기는 했다. 그 결과물이 다름아닌 1996년에 건립된 위스마 46.

옆 동네 말레이시아와는 달리 특출나게 높은 건물은 별도로 지어지지 않았다. 당장 1996년 건립된 자카르타의 위스마 46(262m)가 20년 가까이 인도네시아 최고층 건물로 군림했을 정도로 마천루 자체가 많지 않았다.

정작 현재 인도네시아에서는 위스마 46을 제외하고서는 대부분 2000년대 중후반에 완공된 건물이다. 즉 비교적 최근에 마천루 붐이 들어선 셈이다. 하지만 이 곳도 마찬가지로 400m짜리 건물이 계획되어있고, 착공에 들어갔다. 완공예정은 2027년.

참고로 절대 다수의 마천루들은 모두 자카르타에 몰려 있다.[5] 이는 자바 섬, 특히 수도 자카르타에 인구 집중이 심한 편이라서 그런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자카르타 마천루들 중 상당수는 고층 마천루 업무단지를 중심으로 들어서 있다는 특징이 있다.

높이별 인도네시아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1위오토그래프 타워자카르타75층382.9m2022년
2위루미나리 타워자카르타64층304m2022년
3위가마 타워자카르타64층288.6m2015년
4위애져 타워자카르타77층288m2022년
5위트레저리 타워자카르타57층279.5m2018년
6위더 자카르타 오피스 타워자카르타59층266m2021년
7위위스마 46자카르타51층261.9m1996년
8위아스트라 타워자카르타49층261.5m2017년
9위밀레니엄 오피스 타워자카르타53층254m2019년
에퀴녹스 타워자카르타56층254m2022년
10위래플즈 호텔자카르타52층253.3m2014년
11위더 파쿠부오노 시그니처자카르타50층252m2014년
12위트리니티 타워자카르타50층246m2021년
13위월드 캐피탈 타워자카르타52층244.3m2017년
14위세인트 루이스 호텔 & 레지던스자카르타62층244m2021년
15위사히드 수디르만 센터자카르타52층239.8m2015년
16위시나르마스 MSIG 타워자카르타48층230m2014년
BCA 타워자카르타56층230m2007년
카사 도메인 타워 1동자카르타60층230m2016년
17위케라톤 앳 더 플라자자카르타48층225m2009년
18위망쿨루후르 시티 아파트 타워 A동자카르타52층224m2017년
19위BTPN 타워자카르타48층223m2016년
20위텔콤 랜드마크 타워 2동자카르타52층220.2m2016년
21위에퀴티 타워자카르타44층220m2010년
22위더 피크 1동자카르타55층219m2008년
더 피크 2동자카르타55층219m2008년
23위덴파사르 레지던스 꾸닝안 시티 1동자카르타58층218m2012년
덴파사르 레지던스 꾸닝안 시티 2동자카르타58층218m2012년
캐피탈 플레이스 오피스 타워자카르타48층218m2015년
24위더 에너지 타워자카르타40층217m2008년
25위캠핀스키 레지던스자카르타58층215m2008년
툰중안 플라자 6동수라바야52층215m2016년
26위바크리 타워자카르타50층214m2009년
27위국제금융센터타워 2동자카르타48층213m2015년
fX 레지던스자카르타52층213m2006년
28위리츠-칼튼 자카르타 타워 A동자카르타48층212m2005년
리츠-칼튼 자카르타 타워 B동자카르타48층212m2005년
더 타워자카르타50층212m2015년
29위PCPD 타워자카르타42층211m2017년
30위마이 홈 & 애스코트 아파트자카르타52층210m2013년
세퀴스 센터 타워자카르타41층210m2017년
31위카사 도메인 타워 2동자카르타57층209.9m2016년
32위자카르타 제3세계무역센터자카르타42층209m2017년
33위씨뷰 콘도미니엄 타워 J동자카르타48층208m2015년
씨뷰 콘도미니엄 타워 K동자카르타48층208m2015년
씨뷰 콘도미니엄 타워 L동자카르타48층208m2015년
씨뷰 콘도미니엄 타워 M동자카르타48층208m2015년
더 시티 센터 타워 1동자카르타47층208m2012년
더 플라자 오피스 타워자카르타46층208m2009년
레지던스 8 @ 세노파티 타워 A동자카르타51층208m2008년
34위토코피디아 타워자카르타51층207.4m2016년
35위레지던스 8 @ 세노파티 타워 B동자카르타51층205m2008년
이터니티 타워자카르타51층205m2015년
인피니티 타워자카르타51층205m2015년
36위그랜드 성코노 라군 1동수라바야48층202m2020년
37위악사 타워 자카르타 꾸닝안 시티자카르타45층201m2012년
더 피크수라바야50층201m2015년
38위네오 소호자카르타45층200m2016년
소호 캐피탈자카르타47층200m2016년
웨스트 비스타 푸리자카르타48층200m2017년

역대 인도네시아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기간명칭위치층수높이
1996년~2015년위스마 46자카르타51층261.9m
2015년~2022년가마 타워자카르타64츨288.6m
2022년~오토그래프 타워자카르타75층382.9m

3.5. 태국(타이)[편집]


파일:external/www.rcr-bangkok.com/20151130.jpg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의 마하나꼰

현재 건축 완료가 임박한 최고층 빌딩은 314미터의 MahaNakhon으로 2016년 중순 현재 저층은 정상 운영 중이다. BTS 총 논시 역과 연결되어 있다. 2016년 말 완공되었다.

태국은 세계적으로 마천루가 빽빽하게 지어진 나라로 유명하며, 마천루 보유 갯수로 세계 10위 안에 든다.

높이별 태국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1위매그놀리아즈 워터프론트 레지던스방콕70층315m2018년
2위킹 파워 마하나콘방콕79층314m2016년
3위제2 바이요케 타워방콕85층304m1997년
4위4 시즌스 프라이빗 레지던스방콕74층301m2019년
5위원 시티 센터방콕61층275.8m2023년
6위만다린 오리엔탈 레지던스 방콕방콕52층268.7m2018년
7위CRC 타워방콕53층260m2002년
8위더 리버 사우스 타워방콕74층258m2012년
9위카나파야 레지던스방콕57층253.3m2019년
10위원9파이브 아소케-라마 9 타워 1동방콕61층248m2021년
원9파이브 아소케-라마 9 타워 2동방콕61층248m2021년
11위스테이트 타워방콕68층247.2m2001년
12위매그놀리아즈 라챠담리 볼리바드방콕60층242m2016년
13위더 유니콘 파야타이방콕51층239.7m2023년
14위메남 레지던스방콕59층239.3m2017년
15위더 ESSE 아소케방콕55층236.8m2019년
16위센타라 그랜드방콕57층235m2008년
17위리플렉션 좀티엔 비치 오션프론트 타워파타야57층234m2013년
18위더 메트방콕69층230.6m2009년
19위파크 오리진 통로 타워 C동방콕59층229.9m2022년
20위엠파이어 타워방콕62층226.8m1999년
21위노스 포인트 타워 1동파타야27층226m2010년
22위마르크 서쿰빗방콕52층222.5m2017년
23위쥬얼리 트레이드 센터방콕59층220.7m1996년
24위더 파노방콕57층220m2010년
25위더 폴리탄 아쿠아 웨스트 타워므앙논타부리61층214.3m2020년
26위카시콘 은행 본부방콕42층207.6m1995년
27위스타뷰 콘도 타워 B동방콕54층204m2015년
28위애쉬턴 출라-실롬방콕57층203.8m2018년
29위클라우드 통로-페차부리방콕55층202m2022년
30위싱하 컴플렉스 타워 1동방콕36층201.3m2018년

역대 태국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기간명칭위치층수높이
1964년~1968년AIA 타워방콕11층40m
1968년~1978년두싯 타니 방콕방콕23층82m
1978년~1981년촉차이 인터내셔널 빌딩방콕26층105m
1981년~1987년방콕은행 빌딩방콕33층134m
1987년~1993년제1 바이요케 타워방콕43층151m
1993년~1995년신 사톤 타워방콕43층195m
1995년~1996년카시콘 은행 본부방콕42층207.6m
1996년~1997년쥬얼리 트레이드 센터방콕56층221m
1997년~2016년제2 바이요케 타워방콕85층304m
2016년~2018년킹 파워 마하나콘방콕78층314m
2018년~매그놀리아즈 워터프론트 레지던스방콕70층315m

3.6. 필리핀[편집]


높이별 필리핀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1위그랜드 하얏트 마닐라마닐라66층318m2017년
2위PBCom 타워마닐라52층258.6m2000년
3위트럼프 타워 마닐라마닐라58층250.7m2017년
4위더 그래머시 레지던스마닐라73층250m2012년
디스커버리 프리미아마닐라68층250m2014년
샹리-라 앳 더 포트 마닐라마닐라61층250m2016년
5위샹 셀시도 플레이스마닐라67층249.8m2017년
6위더 메가 타워마닐라50층249.7m2021년
7위센추리 스피어 타워마닐라60층245m2022년
8위더 임페리움 앳 캐피탈 커먼즈마닐라63층240m2020년
9위그랜드 리비에라 스위트마닐라57층230m2014년
더 로열튼 앳 캐피탈 커먼즈마닐라65층230m2019년
10위원 샹리-라 플레이스 타워 노스마닐라64층227m2015년
원 샹리-라 플레이스 타워 사우스마닐라64층227m2015년
더 스위트 앳 원 보니파시오 하이 스트리트마닐라63층227m2019년
11위코퍼레이트 파이낸스 플라자마닐라57층226.3m2021년
12위더 스카이스위트 타워마닐라44층223m2018년
13위BSA 트윈 타워 1동마닐라55층221.2m2011년
BSA 트윈 타워 2동마닐라55층221.2m2011년
14위알파랜드 마카티 플레이스마닐라55층220m2017년
15위GT 인터내셔널 타워마닐라47층217.2m2001년
16위더 세인트 프랜시스 샹리-라 플레이스 타워 A동마닐라60층212.9m2009년
더 세인트 프랜시스 샹리-라 플레이스 타워 B동마닐라60층212.9m2009년
17위페트론 메가플라자마닐라45층210m1998년
포디움 웨스트 타워마닐라48층210m2020년
BDO 코퍼레이트 센터마닐라47층210m2015년
파크 테라스 포인트 타워마닐라59층210m2020년
더 라이즈 바이 샹리-라 마카티마닐라63층210m2019년
18위더 나이츠브리지 레지던스마닐라62층209m2014년
19위유니언뱅크 플라자마닐라49층206m2004년
20위에다드 타워마닐라53층205m2014년
21위더 레지던스 앳 그린벨트 - 샌 로렌조 타워마닐라57층204m2009년
22위1322 골든 엠파이어 타워마닐라57층203m2002년
원 샌 미구엘 애비뉴마닐라54층203m2001년
23위원 코퍼레이트 센터마닐라54층202m2009년
24위원 록웰 웨스트 타워마닐라55층201.9m2010년
25위필람라이프 타워마닐라48층200m2000년
쓰리 센트럴 타워 2동마닐라53층200m2016년

역대 필리핀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
기간명칭위치층수높이
1912년~1927년마닐라 호텔마닐라5층20m
1927년~1967년샌토 토마스 대학 빌딩 본관마닐라8층48m
1967년~1968년라몬 마그세이세이 센터마닐라18층70m
1968년~1989년마닐라 파빌리온 호텔마닐라22층90m
1989년~1991년퍼시픽 스타 빌딩마닐라29층112.5m
1991년~1992년더 피크 타워마닐라38층138m
1992년~1994년퍼시픽 플라자 콘도미니엄마닐라44층150m
1994년~1997년루피노 퍼시픽 타워마닐라41층162m
1997년~1998년로빈슨 에퀴테이블 타워마닐라45층175m
1998년~2000년페트론 메가플라자마닐라45층210m
2000년~2017년PBCom 타워마닐라52층259m
2017년~그랜드 하얏트 마닐라마닐라66층318m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3:32:58에 나무위키 마천루/동남아시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의 경남기업이 시공과 개발 소유 둘다 맡고 있다.[2] 가운데에 헬리포트가 위치한 특이한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았으며, 완공 당시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3]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828m), 말레이시아의 KL118(678.9m), 중국의 상하이 타워(632m),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베이트 타워(601m), 대한민국의 롯데월드타워(555.7m), 미국의 제1세계무역센터(541.3m), 대만의 타이베이 101(509.2m), 홍콩의 국제상업센터(484m), 러시아의 라흐타 센터(462m), 베트남의 랜드마크 81(461.2m), 일본의 아자부다이 힐스(325.2m), 호주의 Q1 타워(322.5m), 영국의 더 샤드(309.6m)보다도 낮은 높이다.[4] 그리 높지도 않은 고도에서 마천루 높이 갱신이 멈춘 이유는 싱가포르 전 국토가 상당한 기간 동안 타국보다 훨씬 낮은 고도제한이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986년까지는 200m, 1986년부터 2014년까지 280m, 2014년부터 2022년까지 290m, 비로소 2022년에 이르러서야 310m로 완화되었다.[5] 단적인 예로, 2015년 이전까지의 지상 200m 이상의 건물은 수도 자카르타가 유일무이했으나, 2015년부터는 옛 수도였던 수라바야에도 지상 200m급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