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천루/대한민국/서울특별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천루/대한민국

파일:롯데월드타워 야경.jpg
2021년 기준 서울의 최고층 마천루
롯데월드타워
(123F/554.5 m/2017년 완공)
(대한민국의 최고층 마천루(2026년까지))

1. 개요
2. 목록
2.1. 계획 중 혹은 공사 중인 마천루
2.2. 폐기된 마천루
3. 역대 최고층 건물 일람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본 항목은 서울특별시에 건설된 마천루에 대해서 서술하는 항목이다.


2. 목록[편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마천루 목록이다.

순위명칭위치층수높이완공 년도
1위롯데월드타워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123층554.5 m2017년[1]
2위파크원 타워1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69층333.7 m2020년[2]
3위서울국제금융센터 3동55층283 m2012년
4위타워팰리스 3차 G동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69층263.7 m2004년
5위파크원 타워2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53층256 m2020년
목동 하이페리온 101동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69층2003년
6위63빌딩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60층249.6 m[3]1985년
7위FKI 타워서울특별시 영등포구52층245.5 m2013년
8위목동 하이페리온 102동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59층239.3 m2003년
9위타워팰리스 1차 B동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66층233.8 m2002년
10위트레이드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55층229 m1988년[4]
11위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A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64층226m2023년
12위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B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65층225m2023년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D동
13위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C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63층219m2023년
14위타워팰리스 1차 A동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59층209.1 m2002년
타워팰리스 1차 C동
15위강남파이낸스센터서울특별시 강남구45층206 m2001년[5]
16위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101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59층205m2023년
17위목동 하이페리온 103동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54층201.2 m2003년
18위래미안 챌리투스 101동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56층201m2015년
19위아크로 서울포레스트서울특별시 성동구49층199.98 m2021년
20위삼성동 아이파크 웨스트윙서울특별시 강남구46층199.65 m2004년
21위콘래드 서울서울특별시 영등포구37층199.4 m2012년
22위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랜드마크 타워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42층199m2023년
23위삼성동 아이파크 사우스윙서울특별시 강남구46층197.74 m2004년
24위더샵 스타시티 A동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58층196 m2006년
25위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104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56층195m2023년
26위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102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55층192m2023년
27위타워팰리스 2차 E동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55층191.1 m2003년
타워팰리스 2차 F동
28위대성 디큐브시티 헤드쿼터스서울특별시 구로구42층189.7 m2011년
29위테크노마트 21서울특별시 광진구39층188.7 m1998년
30위목동 트라팰리스 웨스턴에비뉴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49층185.7 m2009년
31위대성 디큐브시티 레지던셜 1동서울특별시 구로구51층185.6 m2011년
대성 디큐브시티 레지던셜 2동
32위상봉 프리미어스 엠코 C동서울특별시 중랑구48층184.7 m2014년
33위서울국제금융센터 1동서울특별시 영등포구32층184.5 m2012년
34위파르나스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39층183.48 m2016년
35위목동 트라팰리스 이스트에비뉴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48층182.5 m2009년
36위신도림 테크노마트서울특별시 구로구40층182 m2008년
37위더클래식500 A동서울특별시 광진구50층181.2 m2009년
38위삼성동 아이파크 이스트윙서울특별시 강남구39층179.24 m2004년
39위더클래식500 B동서울특별시 광진구40층177 m2009년
40위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103동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50층176m2023년
41위아셈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41층2000년
42위래미안 강동팰리스 103동서울특별시 강동구45층175 m2017년
43위보라매 쉐르빌서울특별시 동작구49층174 m2002년
44위브라이튼 여의도 102동서울특별시 동작구49층168.8m2023년 8월
45위아카데미 스위트서울특별시 강남구51층168 m2004년
더샵 스타시티 C동서울특별시 광진구50층2006년
현대41타워서울특별시 양천구41층2001년
46위GS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38층166.8 m1999년
47위브라이튼 여의도 101동서울특별시 동작구49층165.6m2023년 8월
브라이튼 여의도 앵커 원32층
48위메세나폴리스 오피스동서울특별시 마포구32층164 m2012년
49위대림아크로빌 A동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46층163 m1999년
대림아크로빌 B동
50위현대 슈퍼빌 A동서울특별시 서초구161 m2003년


2.1. 계획 중 혹은 공사 중인 마천루[편집]


순위명칭위치층수높이착공사업 상황완공예정
1위글로벌비즈니스센터[6]
(메인 타워)
서울특별시 강남구105층569m2020년공사중미정
2위뉴 트레이드 타워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70층333m미정계획중미정
3위서초 롯데타운 A동서울특별시 서초구55층275m미정[7]
4위서울아파트 재건축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77층274m미정[8]
5위서초 롯데타운 B동서울특별시 서초구48층250m미정
6위앙사나 레지던스 여의도 서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57층249.9m2026년
8위사학연금 서울회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42층220m2020년2023년
9위뚝섬 부영호텔 A동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49층212m2019년미정
11위서울 보문5구역서울특별시 성북구50층178.72m2023년철거 예정2028년


2.2. 폐기된 마천루[편집]


다음 목록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추진된 건물이지만, 건립 무산된 마천루들이다.

굵은 색으로 표시된 건물은 용산국제업무지구에 계획되었던 건물이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명칭위치층수높이완공 목표 연도무산 사유
금융관광허브 랜드마크 타워서울특별시 중구260층1300m (4200ft)[9][10]2013년고도제한[11]
상암 DMC 랜드마크 빌딩서울특별시 마포구133층643m (2110ft)[12][13]2008년
2013년
사업 갈등
그린 게이트 웨이 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113층634m (2080ft)[14]2016년부지 낙찰 실패
타워 트리플 원서울특별시 용산구111층621m (2037ft)용산국제업무지구 최종 부도
한강시티타워134층524m2000년1997년 외환 위기[15]
삼성 시너지 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111층450m[16]1997년 외환 위기
주민들의 반발
부티크 오피스텔 A서울특별시 용산구88층440m2016년용산국제업무지구 최종 부도
호텔 레지던스80층384m
부티크 오피스텔B77층378m
다이어 고널 타워63층363m
스카이 워크 레지던스52층333m
펜토메니엄60층320m
블레이드 타워56층293m


3. 역대 최고층 건물 일람[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역대 대한민국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9년~1970년한진빌딩82.8 m / 23층
1969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70년~1978년삼일빌딩114 m / 31층
1970년 완공
서울특별시 종로구
1978년~1985년롯데호텔 서울 본관138 m / 38층
1978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85년~2003년63빌딩249.6 m / 60층
1985년 완공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2003년~2004년목동 하이페리온 A동256 m / 69층
2003년 완공
서울특별시 양천구
2004년~2011년타워팰리스 3차 G동263.7 m / 69층
2004년 완공
서울특별시 강남구
2011년~2014년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101동300 m / 80층
2011년 완공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014년~2017년포스코타워-송도305 m / 65층
2014년 완공
인천광역시 연수구
2017년~롯데월드타워554.5 m / 123층
2017년 완공
서울특별시 송파구





4. 관련 문서[편집]





[1] 2017년 4월 3일 개장했으며 현재 세계 5위, 한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2] 여의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며 63빌딩보다 84.1m, 서울국제금융센터보다는 50.7m 더 높다. 또한 층수로 해도 가장 높다. (69층)[3] 역대 한국 마천루들중 한국에서 가장 높은 타이틀을 제일 오래 지켰다. 완공당시에는 미국, 캐나다를 제외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였다.[4] 서울 올림픽이 열린 년도에 완공 되었으며, 하이페이온과 타워팰리스가 건설되기 전까지 63빌딩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유이한 높이 200m 이상 마천루였다.[5] 롯데월드타워가 완공되기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면적이 가장넓은 웅장한 마천루였다.[6] 당초 115층, 571m로 계획했다가 2015년 2월 105층, 527m로 낮추었고, 2016년 105층, 553m로 높였다. 그러나 2017년 2월, 105층, 569m로 변경했다. 현대자동차 측에선 GBC가 그저 높은 건물로만 인식되는걸 피하고자 높이를 낮춰서 발표했다고 한다.[7] 서초구 서초동 롯데칠성 일원에 '제3롯데타운'을 지을 계획이 있다. 일단 롯데에서 해당 계획을 2015년에 제출하긴 한 상태, 2017년 6월부터 본격 추진되고 있다.[8] 여의공영이 현 서울아파트 부지를 이용하여 재건축을 계획 하였으나 국토부의 여의도 재건축 제지로 인하여 연기됨.[9] 지상 1km에 가까운 랜드마크 빌딩과 더불어 주변에 80~100층 정도의 마천루 6채 정도가 같이 들어서는 이른바 마천루 숲. 중구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던 빌딩인데, 고도제한으로 서울시와 마찰을 빚으면서...[10] 만약 건설이 성사되었다면 세계 최고층 건물이 되었을 것이다.[11] 서울 사대문 안은 낙산을 기준으로 90m 제한이 걸려있다.[12] 시행사 (주)서울라이트타워와 서울시와의 사업 갈등으로 인해 망했다. 한때 뚝섬에 GBC를 건설하려다 실패했던 현대자동차가 이 부지도 검토한 바 있었다. 물론 지금은 삼성동 부지를 사들였으니...[13] 다만 2014년 12월 중국 녹지(그린랜드)그룹이 서울시와 서울라이트타워 부지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기 때문에 다른 이름으로 재개될 가능성도 없진 않다.[14] 2011년무렵부터 한전 이전 떡밥이 생기면서 삼성그룹을 중심으로 제안했던 계획. 얼마 지나지 않아 사업 자체는 중단되었는데, 2014년 11월 한전이 나주로 이전하면서 부지를 매각할 계획이라 다시 제안될 가능성이 높았으나...최종적으로 현대자동차가 낙찰되어 이 계획 자체는 사실상 무산된 걸로 간주된다.[15] 용산 초고층 개발사업이 오늘 내일만의 이야기가 아니였다는것을 보여준다. [16] 본래 삼성본사로 계획되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변경되었다. 이때 삼성측은 주민들을 설득시키기 위해 모노레일 개통을 계획했다. 삼성타운타워팰리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