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럼피스킨병

덤프버전 :

1. 개요
2. 대한민국 경과
2.1. 2023년 10월
2.2. 2023년 11월
2.3. 리스트
3. 대처법



1. 개요[편집]


의 전신에 지름 2∼5㎝의 피부 결절(단단한 )이 나타나며, 추가로 유량 감소, 비쩍 마름, 가죽 손상, 유산, 불임, 고열, 침흘림, 의 분비물 증가 등의 심각한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감염 경로는 모기 등의 흡혈 곤충,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사료, 직접 접촉, 오염된 주사기 사용 등에 의해 물소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질병이다. 폐사율은 10% 이하로 알려져 있지만, 전염력이 구제역처럼 매우 강해 국내 제1종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럼피(Lumpy)는 혹이라는 뜻으로, Lumpy Skin 병이라는 이름은 피부에 단단한 혹이 난다는 뜻이다.

1929년, 잠비아에서 처음 발견되어 1943년부터 1945년 사이에 보츠와나, 짐바브웨, 남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되었다. 그 후로 북쪽으로 점차 확산되어 1989년이스라엘에 확산되었으며 2013년부터 유럽러시아로 점점 확산되면서 2019년에는 방글라데시에서 최초 보고되었고 2022년에는 파키스탄인도에서, 2023년에는 네팔에서 대유행을 일으켰으며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확진 사례가 보고되었다.

자세히 보면 아프리카돼지열병과 확산 경로가 똑같다는 걸 알 수 있는데 대한민국 확산도 사실 시간 문제였음을 잘 보여준다.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는다.

2. 대한민국 경과[편집]



2.1. 2023년 10월[편집]


  • 20일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한우 농장에서 최초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 전염병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2023년 10월 20일 14:00부터 10월 22일 14:00시까지 전국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 21일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의 한우 농장에서 2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의 젖소 농장에서 3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젖소 농장에서 4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22일
    •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의 젖소 농장에서 5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의 젖소 농장에서 6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의 한우 농장에서 7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한우 농장에서 8~10번째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 10. 22. 14:00부터 2023. 10. 24. 14:00까지 충남, 경기, 인천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 23일
    •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 10. 23. 11:00부터 2023. 10. 24. 14:00까지 충북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 24일
    •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축산 농가 3곳에서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충청남도 홍성군에서도 확진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하루새 서산, 당진에서도 5곳이 추가로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한우 농장에서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이에 강원특별자치도청은 발병지역 10km 이내 127개 농장에서 사육중인 소에 대해 백신 접종을 실시할 예정이다.
    •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금까지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오후 3시 기준 인천 강화, 강원 양구, 충남 서산/당진, 경기 수원 등에서 10건이 추가돼 공식 총 27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 10. 24. 13:00부터 2023. 10. 25. 14:00까지 강원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 25일
    •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총 34건이다. 지금까지 확진받은 농가는 서산 9곳, 당진 7곳, 강화 4곳, 평택 3곳, 화성 3곳, 김포 2곳, 양구 1곳, 수원 1곳, 음성 1곳, 태안 1곳, 홍성 1곳, 부안 1곳이다.
    • 정부는 우선 11월 초까지 전국 소농가에 백신 접종을 시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이달 말까지 백신 400만 마리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감염 발생 지역의 소 이동은 전면 중단하되, 도축장 출하는 허용하기로 했다. #1 #2 #3 #4 #5 #6
    •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 10. 25. 16:00부터 2023. 10. 26. 16:00까지 전북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 28일
    • 이번 일로 한우 도매가격이 1주일 전보다 13% 올라 kg당 2만 원을 넘었다. 경매하는 우시장은 문을 닫았다. #
    •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6개 시도 총 55건이다. 매몰 처분됐거나 매몰 예정인 소는 3천7백 마리가 넘는다.
    • 정부가 확산세를 막기 위해서 처음으로 소 128만 마리에 접종할 수 있는 튀르키예 수입 백신을 급히 들여왔다. 백신은 10월 말까지 두 차례에 걸쳐 추가로 들어올 예정이다. 정부는 10월 29일부터 수입 백신을 확진 농가가 나온 지자체에 우선 공급하고 범위를 점차 확대해 11월 초까지 전국적으로 접종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다만 최대 축산지인 경북과 전남 농가들은 미발병 지역으로 분류돼 백신 접종 순위가 뒤로 밀렸다. 정부와 여당은 10월 29일 고위당정협의회를 열어 럼피스킨병 확산 상황을 점검하고 축산농가 방역 지원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1 #2


2.2. 2023년 11월[편집]


  • 4일
    •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총 77건이다.
    • 전국 소 사육 농장에서 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체 407만 6천여 마리 중 76.3 %에 대해 접종을 마쳤다. #1 #2

  • 11일
    •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총 91건이다.
    • 중수본은 어제(10일)까지 전국 소 사육 농장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마쳤으며 현재 검사를 진행 중인 추가 의심 신고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

2.3. 리스트[편집]


발생 현황,(11월 5일 기준),
[ 10월 확진 사례 모두 보기•닫기 ]
순서발생 위치 품종사육두수확진일
1충청남도 서산시한우4610.20.
2충청남도 당진시한우4910.21.
3경기도 평택시젖소9510.21.
4충청남도 서산시젖소12610.21.
5경기도 김포시젖소5410.22.
6경기도 평택시젖소10010.22.
7충청남도 태안군한우1010.22.
8충청남도 서산시한우2410.22.
9충청남도 서산시한우7710.22.
10충청남도 서산시한우7010.22.
11경기도 김포시한우10910.23.
12충청남도 서산시한우2110.23.
13충청남도 당진시한우4010.23.
14충청북도 음성군한우910.23.
15경기도 평택시젖소8410.23.
16경기도 화성시한우9210.23.
17경기도 화성시젖소7010.23.
18충청남도 서산시한우3610.24.
19충청남도 당진시한우5210.24.
20충청남도 당진시젖소17110.24.
21충청남도 당진시한우2410.24.
22충청남도 당진시한우6910.24.
23경기도 수원시한우3610.24.
24인천광역시 강화군육우8810.24.
25인천광역시 강화군한우2010.24.
26인천광역시 강화군한우3610.24.
27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한우2910.24.
28충청남도 서산시한우3610.24.
29충청남도 홍성군한우2510.24.
30경기도 화성시한우1410.25.
31인천광역시 강화군한우52210.25.
32충청남도 서산시한우7010.25.
33충청남도 당진시한우1510.25.
34전라북도 부안군한우14810.25.
35경기도 김포시한우5510.25.
36경기도 화성시한우1510.25.
37경기도 화성시젖소4010.25.
38경기도 평택시젖소12510.25.
39경기도 김포시한우10910.26.
40경기도 연천군한우6910.26.
41경기도 연천군한우9610.26.
42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한우4310.26.
43경기도 화성시젖소9010.26.
44충청남도 서산시한우1410.26.
45인천광역시 강화군젖소2110.26.
46인천광역시 강화군한우5010.26.
47인천광역시 강화군젖소13510.26.
48경기도 파주시젖소5610.27.
49경기도 파주시젖소8810.27.
50충청남도 논산시한우2310.27.
51충청남도 아산시젖소4210.27.
52경기도 포천시젖소8010.27.
53경기도 화성시젖소5610.28.
54충청남도 서산시한우4910.28.
55강원도 양구군한우2910.28.
56경기도 여주시한우510.28.
57경기도 시흥시한우410.28.
58충청남도 아산시젖소15410.28.
59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한우2110.28.
60경기도 연천군젖소3110.28.
61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한우13410.29.
62충청남도 당진시한우3510.30.
63전라북도 고창군한우5410.30.
64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한우1310.30.
65경상남도 창원시한우2910.30.
66경기도 포천시젖소2910.30.
67경기도 포천시한우11010.30.
68인천광역시 강화군육우20010.31.
69전라북도 고창군한우27610.31.
70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한우4410.31.
[ 11월 확진 사례 모두 보기•닫기 ]
순서발생 위치 품종사육두수확진일
71충청남도 당진시한우911.01.
72충청남도 서산시한우611.01.
73충청남도 서산시한우411.01.
74충청남도 서산시한우4811.01.
75충청남도 서산시한우1711.01.
76충청남도 서산시한우1711.02.
77충청남도 서산시한우911.03.
78인천광역시 강화군한우8511.03.
79충청남도 당진시한우1211.04.


3. 대처법[편집]


곤충 활동기 동안 매일 전두수를 꼼꼼히 관찰하고 농장 주변 물웅덩이 제거, 주기적인 분변 처리, 포충기를 사용하여 곤충을 방제, 주사기 재사용 금지 등의 청결한 농장 환경 관리로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가축의 럼피스킨병 의심 증상 발현 시 즉시 방역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럼피스킨병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미 54만두분의 백신을 확보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0:26:38에 나무위키 럼피스킨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