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등촌로

덤프버전 :

||




登村路 / Deungchon-ro

1. 개요
2. 상세
2.1. 지선
2.1.1. 서쪽
2.2. 구간
2.3. 연계도로
2.5. 교통량
2.6. 주요 시설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홍익병원사거리에서 강서구 등촌동 등촌역(등촌삼거리)에 이르는 길이 2.4km, 너비 30m의 왕복 6차선 도로.

도로명은 이 도로의 주요 구간인 등촌동에서 따왔다만, 이 도로 자체가 강서구(등촌동, 화곡동 일부)와 양천구(목동)의 경계선이기 때문에 도로 서쪽만 등촌동과 화곡동 일부, 도로 동쪽은 전부 목동에 해당된다.

기점인 홍익병원사거리에서 바로 남쪽으로 직결되는 목동로 및, 더 나아가 오금교 건너 직결되는 구로중앙로 일부(구로역사거리~오금교) 역시 등촌로에 해당되었으나, 2010년 도로명주소 개편으로 분리되었다. '등촌로'라는 이름과는 달리 등촌동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곳이기도 하고, 목동 주민들 및 양천구의 핌피가 있었기도 하고...

게다가 지금의 등촌로 역시 동쪽(목동)으로 분기되는 골목길들을 보면 '등촌로X길'이 아닌 '목동중앙서로X길', '목동중앙남로X길'로 도로명이 부여돼 있는데, 양천구 측에서 자기네 동네 이름이 아닌 '등촌'이란 도로명을 부여할 수 없다며 자기들 입맛대로 도로명을 부여해 버렸다.[1]

특히 목동사거리 일대는 상습정체 구역이다.

2. 상세[편집]



2.1. 지선[편집]


(막힘): 본선과 이어지지 않는 지선
취소선: 도시 개발로 사라진 지선

강서구측에만 홀수로 부여되었으며 왼쪽 방향으로만 분기되어 있다. 양천구의 경우 2011년경 여러 사정으로 인해 '목동중앙O로XX길'로 변경되었다.

2.1.1. 서쪽[편집]


등촌로13길의 지선도로가 무려 8개가 분기된다. 단 '등촌로13사길'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쪽도 지선의 지선이 많은 편으로 6곳이 가~바길로 분기된다.
등촌1주택재건축 공사로 전구간 도로명이 소멸되었다.
등촌1주택재건축 공사로 일부 구간이 단절되었다.
등촌1주택재건축 공사로 전구간 도로명이 소멸되었다.

2.2. 구간[편집]


남쪽 기점 (국회대로 261, 목동로와 직결)
소재지위치지점번호교차하는 도로







홍익병원교차로0번국회대로
목동사거리28번곰달래로
목동중앙서로
강서고등학교입구64번등촌로13길
목동중앙남로3길


대일고등학교105번목동중앙남로11길
목동성원아파트132번목동중앙남로
백석중학교입구174번등촌로39길
목동중앙남로16라길
영일고등학교정문188번목동중앙북로8라길
목동깨비시장213번등촌로51길
목동중앙북로
등촌역사거리244번공항대로
북쪽 종점 (공항대로 524, 공항대로59길과 직결)

2.3. 연계도로[편집]


기점인 홍익병원사거리에서 목동로로 직결되고 국회대로와 교차하며 종점인 등촌역(등촌삼거리)에서 공항대로와 교차한다.


2.4. 대중교통[편집]



2.4.1. 철도[편집]


공항대로와 만나는 등촌삼거리에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촌역이 있다.


2.4.2. 버스[편집]


전구간 가로변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2.5. 교통량[편집]




2.6. 주요 시설[편집]


강서구의회가 이 도로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7:55:32에 나무위키 등촌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북쪽의 공항대로 등촌역(등촌삼거리)~양화교 구간에서도 이러한 행태를 볼 수 있다. 역시 해당 구간이 강서구와 양천구의 경계선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