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암동

덤프버전 :

||


북구법정동
두암동
斗岩洞 | Duam-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북구
행정표준코드2917011400
관할 행정동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하위 행정구역71통 405반
면적3.52㎢
인구35,713명[A]
인구밀도10,145.74명/㎢
1. 개요
2. 역사
3. 상세
4. 관할 행정동
4.1. 두암1동
4.2. 두암2동
4.3. 두암3동
5. 주요 시설
5.1. 아파트
5.1.1. 두암1동
5.1.2. 두암2동
5.1.3. 두암3동
5.2. 교육
5.2.1. 대학교
5.2.2. 고등학교
5.2.3. 중학교
5.2.4. 초등학교
5.3. 상업시설
6. 교통
6.1. 버스
6.1.1. 급행간선
6.1.2. 간선
6.1.3. 지선
6.2. 도시철도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

관할 법정동은 두암동이며 행정동은 두암1·2·3동으로 나누어져 있다.
송상하(19) 가 영광교회 항시 수호하고있고, 공원 여자 화장실 앞에 자주 출몰 한다고 한다. 또 시간에 맞춰 필라테스가 끝난 여자들을 미행하고 사진을 찍는 사건이 있다.

두암3동 일대는 1980년대에 들어서 대한주택공사에 의해 택지개발이 이루어졌다. 최근 동구와의 경계 조정으로 몇몇 곳[1]은 동구 산수2동으로 편입되었다. 두암1동에는 동강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두암2동 북쪽 끝에는 홈플러스 동광주점이 있으며, 두암3동에는 두암주공1~4단지까지 자리잡고 있다.

2. 역사[편집]


'두암'이라는 지명은 두암동 서쪽 길가에 말머리처럼 생긴 큰 바위가 있어 이를 두암(斗岩)이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이 바위를 칭하는 두암의 순우리말인 말바우는 말바우시장 어원의 유래이기도 하다.[2] 보통적으로는 말머리이니 말 마(馬) 자가 되어야 하지만 '말머리'를 잘못 음차하여 '두암'라고 썼을 것으로 추측한다. 두암동의 두(斗) 자의 본래 뜻은 용량의 척관법 단위인 ''을 말한다.

두암동 일대는 원래 뽕밭과 포도밭이 있던 농촌마을이었다. 지금의 두암교차로 부근에는 밤나무가 많아서 ‘밤실골’이라고 불렀다고 하며,[3] 대부분 농사나 짓던 농촌마을을 80년대에 들어서 대규모 택지개발을 해서 지금은 4만 명이 거주하는 도시가 되었으니 말 그대로 상전벽해다.

1985년 11월 북구 문화동에서 분리되었고, 이후 1989년 5월 두암1,2동으로 분리되었으며, 1995년 3월 두암1동이 두암1,3동으로 분리되었고, 2011년 10월 두암3동 일부가 동구 산수2동으로 편입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계속해서 거론되고 있는 북구와 동구 간 경계조정 대상[4]에 포함되어 있어 주민들의 반대가 크다.

3. 상세[편집]


광주광역시 동부 관문에 위치하며, 1980년대부터 시작된 택지개발로 신흥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다. 인근 문화동으로 가는 동문로를 따라 전문 가구점이 늘어선 가구의 거리가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통신동광주전화국·동광주병원·동강대학·동일실업고등학교·노인복지회관등이 있고, 재래시장인 두암시장과 동아시장이 있다.

두암3동과 산수2동에 걸쳐있는 두암지구에는 준공 30년이 경과한 노후 아파트들이 많아지고 있으나, 각화동의 개발, 옆 풍향동과 계림동, 우산동과 중흥동의 재개발로 인한 과잉공급으로 한동안 재건축은 기대하기 힘들 예정이다.

문화재로는 무진고성지(광주기념물 16)가 있고, 통일신라 때의 것으로 추측되는반지하식 터널형 토기요지, 군왕봉 북서쪽 기슭 해발고도 150m 지점에있는 미륵사 절터의 불당골 폐사지, 김유신이 배향된 장렬사, 고려시대 조적의 난을 평정한 김목경과 더불어 김일손,김광립이 배향된두암사 등의 문화유적이 있다.


4. 관할 행정동[편집]



4.1. 두암1동 [편집]


북구행정동
두암1동
斗岩一洞 | Duam 1(il)-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북구
행정표준코드3620037
관할 법정동두암동
하위 행정구역16통 92반
면적0.85㎢
인구7,435명[A]
인구밀도8,747.06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북구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오섭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수정 (재선)
북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순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숙희 (초선)


최기영 (4선)

행정복지센터동문대로110번길 77[5]
두암1동 행정복지센터

4.2. 두암2동 [편집]


북구행정동
두암2동
斗岩二洞 | Duam 2(i)-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북구
행정표준코드3620038
관할 법정동두암동
하위 행정구역28통 160반
면적1.64㎢
인구15,482명[A]
인구밀도9,440.24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북구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오섭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수정 (재선)
북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순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숙희 (초선)


최기영 (4선)

행정복지센터면앙로192번길 15[6]
두암2동 행정복지센터

4.3. 두암3동 [편집]


북구행정동
두암3동
斗岩三洞 | Duam 3(sam)-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북구
행정표준코드3620039
관할 법정동두암동
하위 행정구역27통 153반
면적1.04㎢
인구12,796명[A]
인구밀도12,303.85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북구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오섭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수정 (재선)
북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순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숙희 (초선)


최기영 (4선)

행정복지센터삼정로3번길 25 (두암동 249)
두암3동 행정복지센터

5. 주요 시설[편집]


2018년 10월 기준 두암동 행정구역 내의 건물을 기재 할 것.


5.1. 아파트[편집]



5.1.1. 두암1동[편집]


건설사단지명입주 시기규모난방 방식/연료
-양서맨션1979.042개동
60세대
개별난방/도시가스
-목화아파트1982.092개동
34세대
-백조아파트1982.112개동
38세대
-청명아파트1983.112개동
50세대
-광일아파트1983.122개동
50세대
-흥일아파트1983.121개동
30세대
-덕산맨션1984.112개동
50세대
-삼호아파트1985.042개동
50세대
동산건설동산훼밀리1988.051개동
130세대
부강종합건설반석힐라아파트2000.021개동
181세대
현대산업개발두암현대2차아파트2000.123개동
424세대

5.1.2. 두암2동[편집]


건설사단지명입주시기규모난방방식/연료
-두암아파트1979.042개동
80세대
개별난방/도시가스
-문화맨션(A동)1982.081개동
45세대
문화맨션(B동)1개동
20세대
-무궁화아파트1982.092개동
38세대
-서광맨션(2,3동)1983.102개동
30세대
광신주택개발광신아파트(6,7동)1983.032개동
90세대
광신아파트(8,9,10동)1983.103개동
75세대
광신아파트(11동)1984.021개동
135세대
-화성맨션1983.121개동
19세대
-청아맨션1985.121개동
48세대
신흥건설신흥아파트1987.011개동
132세대
-예향아파트1987.071개동
40세대
미라보건설두암동 미라보아파트1992.023개동
398세대
무등건설두암동 무등파크맨션1992.072개동
402세대
두암2차 무등파크맨션1994.112개동
396세대
라인건설두암동 라인동산아파트1995.114개동
606세대
현대건설두암 현대아파트1998.019개동
672세대
무등건설두암3차 무등파크맨션1999.062개동
290세대

5.1.3. 두암3동[편집]


건설사단지명입주시기규모난방방식/연료
부영주택두암 부영맨션1988.017개동
828세대
개별난방/도시가스
광주고속두암주공2단지아파트1992.129개동
1,640세대
삼능건설두암동 율곡타운[7]1993.1212개동
1,068세대
금광기업두암주공4단지아파트1993.127개동
1,133세대
금호건설두암주공3단지아파트1994.038개동
712세대
모아건설두암동 모아미래도2003.033개동
199세대
중흥건설두암동 중흥S-클래스2006.023개동
152세대
지구종합건설무등산 이스토리2015.0312개동
96세대

5.2. 교육[편집]



5.2.1. 대학교[편집]


  • 동강대학교[8]


5.2.2. 고등학교[편집]


  • 광주동신여자고등학교[9]


5.2.3. 중학교[편집]


  • 두암중학교
  • 신광중학교


5.2.4. 초등학교[편집]


  • 삼정초등학교
  • 두암초등학교
  • 문화초등학교
  • 풍향초등학교[10]


5.3. 상업시설[편집]




6. 교통[편집]



6.1. 버스[편집]



6.1.1. 급행간선[편집]




6.1.2. 간선[편집]




6.1.3. 지선[편집]




6.2. 도시철도[편집]


  • 광주 2호선 두암역[1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9:10:21에 나무위키 두암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D 2023년 1월 주민등록인구[1] 두암그린파크 및 두암타운 일대[2] 정작 말바우시장은 두암동이 아니라 우산동에 있다.[3] 지금도 두암주공아파트 외벽에 ‘밤실마을’이라고 써놓아서 옛 지명을 계승하고 있다.[4] 두암1,2,3동 전체, 풍향동 전체, 문화동 일부[5] 두암동 862-13[6] 두암동 825-9[7] 구. 두암주공1단지[8] 부지의 남북 절반 씩 두암 1동과 풍향동 소속이다.[9] 동강학원 소속 중ㆍ고등학교 중 유일하게 두암동 소속이다. 나머지 셋은 풍향동 소속이다.[10] 이름만 보면 풍향동에 있을 것 같지만 정작 두암1동 소속이다.[11] 두암역의 소재지는 북구 두암동이 아닌 동구 산수동이다. 2011년 경계조정 당시 두암3동 일부 구간을 동구로 편입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