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아이스하키협회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정회원
대한가라테연맹대한검도회대한게이트볼협회대한골프협회대한국학기공협회
대한궁도협회대한그라운드골프협회대한근대5종연맹대한민국농구협회대한당구연맹
대한댄스스포츠연맹대한럭비협회대한레슬링협회대한롤러스포츠연맹대한루지경기연맹
대한바둑협회대한바이애슬론연맹대한배구협회대한배드민턴협회대한보디빌딩협회
대한복싱협회대한볼링협회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대한빙상경기연맹대한사격연맹
대한산악연맹대한세팍타크로협회대한소프트테니스협회대한수상스키.웨이크보드협회대한수영연맹
대한수중.핀수영협회대한스쿼시연맹대한스키협회대한승마협회대한씨름협회
대한아이스하키협회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대한양궁협회대한에어로빅힙합협회대한역도연맹
대한요트협회대한우슈협회대한유도회대한육상연맹대한자전거연맹
대한조정협회대한민국족구협회대한주짓수회대한민국줄넘기협회대한철인3종협회
대한체조협회대한축구협회대한카누연맹대한컬링연맹대한탁구협회
대한태권도협회대한택견회대한테니스협회대한파크골프협회대한패러글라이딩협회
대한펜싱협회대한하키협회대한민국합기도총협회대한핸드볼협회
준회원
한국브리지협회대한요가회대한체스연맹대한카바디협회대한크라쉬연맹
대한킥복싱협회한국e스포츠협회
인정 단체
대한무에타이협회대한서핑협회대한오리엔티어링연맹대한줄다리기협회대한치어리딩협회
대한테크볼협회대한특공무술중앙회대한파워보트연맹대한플라잉디스크연맹대한플로어볼협회
대한피구연맹대한한궁협회





파일:대한아이스하키협회 엠블럼.svg
명칭대한아이스하키협회
Korea Ice Hockey Association (KIHA)
설립1928년[1]
주소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동계종목 경기단체 103호 (방이동, 벨로드롬)
회장이호진(제24대)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협회장
4. 소속 구단
4.1. 대학부
4.2. 실업부
5. 주최 대회



1. 개요[편집]


1947년에 설립한 대한민국아이스하키 협회.


2. 역사[편집]


1928년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처음으로 아이스하키 경기를 개최했다. 1930년 1월에 전조선빙상경기대회에서 아이스하키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했고 같은 해 11월에 조선빙구연맹을 성립했다. 빙구(氷球)는 아이스하키를 뜻한다. 8.15 광복 이후 1947년에 대한아이스하키협회가 생겼고 초대 회장은 최선익이다.

1960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가입했으나 부족한 저변과 실력으로 인해 실제 국제 대회 진출은 1979년에 이뤄졌다. 1979년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IIHF 세계선수권 C풀 대회에서 스페인에 1-7로 패배한 게 첫 기록이다. 의외로 2차전에서 영국에 9-6으로 승리하면서 8개국이 7경기씩 치르는 리그전 대회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90년대까지 아시아에서도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국, 일본에게도 밀리는 편이었으나 2003년 한중일 실업 구단이 함께 참가하는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가 출범하면서 실력이 성장했다. HL 안양, 하이원 아이스하키단 같은 실업 구단의 창단으로 기업의 투자가 이뤄지고 소득 성장으로 설상 스포츠나 빙상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귀화 선수를 적극 기용했다.


3. 협회장[편집]


22대~23대 협회장을 지낸 정몽원이 유명하다. 8년 동안 아이스하키협회장을 맡으면서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등 여러 활동에 기여했다. 정몽원은 국제아이스하키연맹 명예의 전당에 빌더 자격으로 헌액되었다.

정몽원이 물러난 후 치른 24대 협회장 선거에서 최철원이 당선돼 논란이 생겼고 대한체육회는 자질 부족을 내세워 인준을 거부했다. 이후 재선거를 치러 이호진이 24대 협회장에 취임했다.


4. 소속 구단[편집]



4.1. 대학부[편집]


대학 아이스하키부는 네 구단이 있다. 이들은 추춘제로 KUSF 대학아이스하키 U-리그를 치른다. 한양대학교 아이스하키부는 2021년도 해체를 목표로 해서 2021년도에 선수 선발을 하지 않았으나 반발로 인해 2022년 선수 선발을 마지막으로 해체했다.


4.2. 실업부[편집]


현재 한국에 실업 구단은 한 개뿐이다. 상무 아이스하키단은 2018년에 해산했다. 1987년에 창단해 2000년에 해산했으며 이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비해 2012년에 재창설했다가 2018년에 다시 해산했다. 조선일보의 2020년 8월 보도에 의하면 3번째 창단을 준비했으나 없던 일이 됐다. 하이원 아이스하키단은 2023년에 해산했다.



5. 주최 대회[편집]


전국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10월 개최), 전국종합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12월 개최)를 치른다. 종합선수권대회는 1947년부터 치러온 대회다.

1981년부터 의사이자 아이스하키 선수, 평론가,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한 유한철(1917~1980)의 이름을 딴 유한철배 아이스하키대회를 개최한다. 유한철배는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모든 구단이 참가하는 대회다. 2020년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아시아 리그를 열지 않으면서 18년 만에 실업부도 다시 열었다. 2021년부터는 한국아이스하키실업연맹전을 개최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2:07:46에 나무위키 대한아이스하키협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협회의 전신인 조선빙구연맹은 1930년 11월에 설립됐고, 대한아이스하키협회는 1947년에 설립됐으나, 페이스북 페이지나 협회 엠블럼 등을 보면 아이스하키 경기가 한반도에서 처음 개최된 1928년을 기준으로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