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꿈트렁

덤프버전 :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967MS.png 0967 모토마파일:968MS.png 0968 꿈트렁파일:969MS.png 0969 초롱순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팔데아도감
본토
파일:967MS.png 295 모토마파일:968MS.png 296 꿈트렁파일:302MS.png 297 깜까미
북신
파일:icon0877_f00_s0.png 095 모르페코파일:icon0968_f00_s0.png 096 꿈트렁파일:icon0924_f00_s0.png 097 두리쥐


1. 정보
2. 소개
3. 포획 및 스토리
3.1. 주인 포켓몬
4. 대전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6. 기타
7. 삽화
8. 국가별 명칭



1. 정보[편집]



파일:968 꿈트렁.png
꿈트렁

기본 정보
이름도감 번호타입
파일:968MS.png
꿈트렁
ミミズズ(미미즈즈)
Orthworm
전국: 0968
팔데아: 296본토/ 096북신



특성(숨겨진 특성은 *)
흙먹기땅 타입 기술을 받으면 무효화하고 HP를 회복한다.
*모래숨기모래바람이 불 때 회피율이 1랭크 상승한다.

세부 정보
포켓몬분류신장체중포획률
0968 꿈트렁지렁이 포켓몬2.5m310.0kg25

유전 정보
성비알 그룹부화 카운트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육상351,250,000

모습
모습
0968 꿈트렁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1배0.5배0배




[A]
































종족치
포켓몬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파일:968MS.png
꿈트렁
7085145605565480

울음소리
파일:968MS.png
꿈트렁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968MS.png
0968 꿈트렁
스칼렛적에게 공격을 받으면 털을 주먹처럼 사용하여 폭풍같은 기세로 펀치를 날린다.
바이올렛건조한 사막에 산다. 땅속의 철분을 먹으며 금속으로 된 몸을 유지하고 있다.

전용기
꼬리자르기준 전용기

2. 소개[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새로 등장한 포켓몬. 모티브는 거대지렁이+기차.

3. 포획 및 스토리[편집]


주인포켓몬을 잡아야 필드에 등장하며, 로스트사막, 동부 에리어 3에서 출현한다. 평범하게 기어다니기도 하지만 땅속에서 머리만 내놓고 있는 개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가까이 오면 땅속으로 숨어버리므로 멀리서 몬스터볼을 던져야 한다. 보자마자 직선으로 대시해도 잘 하면 잡을 수 있다.

주인 포켓몬을 잡지 않은 상태로 꿈트렁을 잡겠다면 북신의 고장으로 가야 한다.

3.1. 주인 포켓몬[편집]


팔데아지방 레전드 루트 주인 포켓몬
[ 펼치기 · 접기 ]

파일:icon0950_f00_s0.png파일:icon0962_f00_s0.png파일:icon0968_f00_s0.png
암벽의 주인

절벼게
대공의 주인

떨구새
잠강의 주인

꿈트렁
파일:icon0984_f00_s0.png파일:icon0990_f00_s0.png파일:icon0978_f00_s0.png
토진의 주인

위대한엄니S
토진의 주인

무쇠바퀴V
위룡의 주인

어써러셔
싸리용




주인 포켓몬
꿈트렁
(Lv.29)
타입:
특성 :
흙먹기
지닌 도구 :
없음
기술배치 :
아이언테일
박치기
김밥말이

전투! 주인 포켓몬
(스칼렛·바이올렛)
작곡가편곡가
토비 폭스[1]
이치노세 고
이치노세 고

미확인 정보 잠강의 주인

요주의 포켓몬.

동부 에리어 3의 광산 지대에서 지반 침하가 다발하고 있다.

광산에서 일하는 작업원의 말로는 거대한 무언가가 지면 아래를 파헤쳐서 이동하고 있다고 하며, 주인의 소행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스마트로토무 지도 앱에 등록된 소개


동부 에리어 3의 광산에서 얼굴만 빼꼼 내밀고 있다. 이곳에 다가가면 꿈트렁이 땅속으로 들어가 이동하며, 궤적을 따라 꿈트렁을 따라가다 보면 주인 꿈트렁과 싸울 수 있게 된다.

1차전에서는 주인공 단독으로 싸우고 주인 포켓몬이 비전스파이스를 먹고 강해지는 2차전에서는 페퍼의 도움을 받는다. 이때 페퍼의 포켓몬은 들눈해.

쓰러뜨리면 땅바닥에 넙죽 뻗더니, 그대로 쪼그라들며 사라진다. 레전드 루트 클리어 이후 다시 가보면 원래 크기로 돌아온 꿈트렁을 배틀로 포획할 수 있다.[2] 수컷, 흙먹기, 변덕, 6U 고정이며, 일반 꿈트렁은 배울 수 없는 박치기를 배우고 있다.

4. 대전[편집]


타입은 단일 강철로, 종족값 분배는 전형적인 매우 높은 방어를 지닌 물리막이의 분배다. 비슷한 느낌인 무장조와 거의 비슷하며, 강철톤과 비교했을 때는 방어가 낮은 대신 스피드가 높다. 무보정 기준으로 비교해봤을 때, 강철톤의 물리내구는 66058이고 특수내구는 31021이며 꿈트렁의 물리내구는 58211이고 특수내구는 26459이다.

눈에 띄는 점이라면 새로운 특성인 '흙먹기'. 저수, 축전의 땅 타입 버전으로 땅 타입 기술을 무효화하고 체력을 회복하는 효과다. 이것 때문에 틀깨기 같은 걸로 특성을 무효화하지 않는 이상 약점이 2개밖에 없다. 여기에 전기 테라스탈을 사용해 타입을 전기로 바꾸면 특성을 무효화하는 것이 아닌 이상 약점 없는 포켓몬이 되어 물리막이 역할을 톡톡히 해줄 수 있다. 스피드도 적절하기 때문에 철벽과 같은 물리 탱킹 기술을 처음 쓰고 싸우는 식으로 활용이 가능해 물리막이로서는 꽤나 상대하기 힘들다. 다만 물리내구에 비해서 특수내구는 처참하기 그지없기에 특수형 포켓몬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

배우는 기술로는 자력으로 지진, 아이언헤드, 아이언테일, 꼬리자르기를 배우고 기술머신으로는 바디프레스, 스톤샤워, 스텔스록, 분함의발구르기 등을, 교배기로는 저주메탈버스트, 똬리틀기를 배운다. 반피회복기가 없는 게 아쉽다.

땅 일관성을 끊을 수 있는 강철 막이에, 꼬리자르기를 배운다는 점에서 유니크한 기점 마련용으로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자뭉열매까지 동원하면 물리 어태커 상대로는 거의 반드시 꼬리자르기가 가능하다. 단점은 읽기 매우 쉽고 뻔해서 위유이, 무쇠독나방 등 약점을 찌르는 강력한 특수 어태커가 있는 상대로는 선출이 심하게 억제된다는 것. 특수 어태커들이 시즌 1때 대거 불참했기 때문에 숨통이 많이 트였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6. 기타[편집]


  • 도감에 표기된 크기는 2m가 넘지만, 뱀형 포켓몬들이 다 그렇듯이 인게임상에서 일반 꿈트렁의 크기는 그다지 크지 않다. 다만 주인 꿈트렁은 주인 포켓몬답게 상당히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 물리공격 사용 및 빠르게 기어갈 때 목에 달린 프레임에서 팔처럼 생긴 6개의 털이 튀어나온다. 도감 설명에 의하면 이 털은 팔처럼 활용할 수 있어 이걸로 편치를 날리며, 주인 꿈트렁 또한 펀치로 굴을 무너뜨리는 액션을 취한다. 정작 꿈트렁은 펀치 기술을 일절 배울 수 없다.

  • 암수한몸 생물인 지렁이와 무생물인 열차가 모티브이지만 성비가 존재하며, 알 그룹도 포유류 포켓몬이 주로 받는 육상그룹이다. 또한 벌레 같은 생김새와 달리[3] 벌레 타입 기술도 못 배우는 등 벌레 타입과의 관련조차 없다. 오히려 뱀 포켓몬과 비슷한 취급을 받는 듯하다.

  • 특유의 어벙한 표정 때문에 갸루와 공룡의 공룡이 연상된다는 반응이 있다.[4] 그런데 이 어벙벙한 표정이 주인포켓몬으로 나왔을 때 은근 무섭다는 평도 많다. 울음소리도 귀여운 외관에 안 맞게 모티브대로 기차가 지나가는 듯한 낮게 울리는 소리를 낸다.


7.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968 꿈트렁 dex.png
꿈트렁

8. 국가별 명칭[편집]



언어이름유래
한국어꿈트렁꿈틀꿈틀 + 지렁이
일본어ミミズズミミズ(지렁이) + 錫(スズ, 금속의 일종인 주석)
영어OrthwormOre(원석) + Earthworm(지렁이)



[A] 흙먹기 특성시 0배[1] 곡 제작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33초 쯤에 그가 작곡한 남부 에리어 오버월드 테마의 멜로디가 리프라이즈로 들어가있기에 작곡가로 등재.[2] 잡을 당시 레벨은 29다. 그래서 배지 2개를 모으기 전까지는 말을 잘 안들을 수도 있다.[3] 심지어 영칭 Orthworm에서 볼 수 있듯이 'worm'이 들어간다.[4] 특히 이로치 꿈트렁은 파란색이라 더욱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