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정수(1964)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의 육군 대장(육군사관학교 42기)에 대한 내용은 김정수(육군) 문서
김정수(육군)번 문단을
김정수(육군)# 부분을
, 해군 대장(해군사관학교 41기)에 대한 내용은 김정수(해군) 문서
김정수(해군)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김정수(해군)#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rowbgcolor=#dcffed,#003318> 초대
이형근 ||<width=20%> 2대
원용덕 ||<width=20%> 3대
정일권 ||<width=20%> 4대
송호성 ||<width=20%> 5대
김백일 ||
||<rowbgcolor=#dcffed,#003318>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bgcolor=#dcffed,#003318> 11대
박병권 ||<bgcolor=#dcffed,#003318> 12대
장창국 ||<bgcolor=#dcffed,#003318>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bgcolor=#dcffed,#003318>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bgcolor=#dcffed,#003318>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bgcolor=#dcffed,#003318>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bgcolor=#dcffed,#003318>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5><bgcolor=#008940>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 대령, 준장, 소장 / 14대~현임 : 중장 ||
||<-5><bgcolor=#00894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bgcolor=#93b6ce,#003318> 초대
조문환 ||<width=20%><bgcolor=#93b6ce,#003318> 2대
조천성 ||<width=20%><bgcolor=#93b6ce,#003318> 3대
정병주 ||<width=20%><bgcolor=#93b6ce,#003318> 4대
정호용 ||<width=20%> 5대
박희도 ||
|| 6대
최웅 || 7대
육완식 || 8대
민병돈 || 9대
이문석 || 10대
서완수 ||
|| 11대
김형선 || 12대
장창규 || 13대
정영무 || 14대
오남영 || 15대
김희중 ||
|| 16대
류해근 || 17대
김윤석 || 18대
백군기 || 19대
김진훈 || 20대
김상기 ||
|| 21대
최용림 || 22대
신현돈 || 23대
최익봉 || 24대
장준규 || 25대
전인범 ||
|| 26대
장경석 || 27대
조종설 || 28대
남영신 || 29대
김정수 || 30대
소영민 ||
|| 31대
손식 || 32대
곽종근 || || || ||
||<-5><bgcolor=#2972aa> ※ 초대~4대 : 소장 / 5대~현재 : 중장 ||
||<-5><bgcolor=#2972aa>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56대 육군사관학교장
김정수
金正洙 | Kim Jeong-soo
파일:김정수(43기)_중장.jpg
출생1964년[1]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현직법무법인 YK 고문
학력순흥국민학교 (졸업 / 64회)
소수중학교 (졸업 / 25회)
덕원고등학교 (졸업 / 1회)
육군사관학교 (전기전자학 / 학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2] / 석사[3])
상명대학교 대학원 (국가안보학 / 박사[4])
가족배우자, 슬하 2남
종교개신교[5]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1987년 ~ 2021년
임관육군사관학교 (43기)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육군사관학교장
주요 보직육군특수전사령관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제22보병사단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
제2작전사령부 작전처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과장
제3야전군사령부 계획편성과장
제1보병사단 제15보병연대
육군사관학교 부생도대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중장이다.

2. 생애[편집]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출생으로 순흥초등학교(64회), 소수중학교(25회), 대구 덕원고등학교(1회)를 졸업하였다. # 이후 1983년 육군사관학교(43기)에 입교하여, 1987년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3. 주요 직위[편집]













4. 여담[편집]

















5. 관련 문서[편집]


[1] 모 예비역 장성 초빙강연에서는 1965년으로 소개된바 있어 교차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모교인 대구덕원고등학교 1회 졸업식이 1983년 2월 10일에 있었던데다 같은해 3월에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빠른년생일 가능성도 있다.[2] 사회복지학 전공[3] 석사 학위 논문: 선택적 복지제도의 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2004. 02.)[4] 박사 학위 논문: 군조직에서 진성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 공정성의 매개효과와 MZㆍ기성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23. 08.)[5] 매우 독실한 신자다. #[6] 전임자 신인호, 후임자 권영호[7] 전임자 최병혁, 후임자 권영호[8] 전임자 김성일, 후임자 강인순[9] 전임자 남영신, 후임자 소영민[10] 전임자 정진경, 후임자 강창구[11] 영관급 때까지는 실력으로 밀어붙이는 게 가능할지 몰라도, 장성 진급 이후부터는 운도 따라줘야 한다.[12] 사실 그 시대에 김정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많기는 했다. 비슷한 연배로 대한민국 육군 대장과 해군 대장 중에 동명이인이 있는데 바로 육사 1기수 선배인 김정수 육군 제2작전사령관과 같은 해에 임관한 동기급(해사 41기)인 김정수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이 있으며, 야구선수 김정수 등 동명이인이 상당히 많다.[13]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낸 최병혁 대장 역시 키 185 이상 장신으로 생도 시절 럭비를 했다.[14] 3군사관학교 합동 체육대회에 각군 사관학교가 자존심을 걸고 목숨을 걸고 경기를 치렀기에 운동선수 생도들은 군사학 공부를 할 시간이 부족했던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결국 2003년 폐지되었다. #[15] 본인의 임관 3년 후배인 3사 25기 출신 장광선 장군도 석사 전공이 사회복지학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9:54:49에 나무위키 김정수(196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