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관주

덤프버전 :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 좌의정 ]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한용귀
제311대

서용보
제312대

이시수
제313대

김재찬
제314대

한용귀
제315대

김재찬
제316대

김사목
제317대

남공철
제318·319대

이상황
제320대

이존수
제321·322·323대

이상황


제324대

심상규
제325대

홍석주


제325대

홍석주
제326대

박종훈
제327대

김홍근
제328대

정원용
제329대

권돈인
제330·331대

김도희


제330·331대

김도희
제332대

박종훈
제333대

김홍근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이헌구
제336대

조두순
제337대

박회수
제338대

조두순


제339대

이유원
제340대

김병학
제341대

강로
제342대

이최응
제343·344대

김병국
제345대

송근수
제346대

김병국
제347대

김홍집
제348대

김병시
제349대

김홍집


[ 우의정 ]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심상규


제350대

이존수
제351대

정만석
제352대

김이교
제353·354대

박종훈


제353·354대

박종훈
제355대

이지연
제356대

조인영
제357대

정원용


제358대

권돈인
제359대

김도희
제360대

박회수


제361대

박영원
제362대

김좌근
제363·364·365대

조두순


제366대

이경재
제367대

임백경
제368대

류후조
제369대

홍순목
제370대

한계원
제371대

박규수
제372대

김병국
제373대

김병덕
제374대

심순택
제375대

김병시








조선 정승
문익공(文翼公)
김관주
金觀柱
출생1743년(영조 19)
한성부
사망1806년 6월 22일 이전
(음력 순조 6년 5월 6일 이전)
함경도 이원현 귀양길
재임기간우의정
1802년 11월 22일 - 1804년 8월 14일
(음력 순조 2년 10월 27일 - 순조 4년 7월 10일)
시호문익(文翼)
본관경주 김씨
경일(景日)
수암(遂菴), 한수재(寒水齋)
붕당노론(남당, 청명당, 벽파)
가족아버지 김한록
아들 김노정

1. 개요
2. 생애
3. 가족
4. 여담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관 관료. 영조 말년부터 순조 초기까지 청명당, 벽파의 일원으로써 국정을 이끌어갔다.


2. 생애[편집]


김한록의 아들로, 1743년 한성부에서 태어났으며 영조 41년인 1765년 문과 급제했다.

여러 벼슬 중 요직인 사간원 정언(正言), 홍문관 교리도 지냈다. 노론의 중진으로써 1772년 홍문관 수찬 재직 중 친시파 성향을 가진 홍봉한을 탄핵하였으나, 이미 영조는 김귀주 등이 추천한 인사와 측근들은 갈아엎는 등, 홍봉한의 반격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상소의 세가지 포인트는 질 낮은 삼을 왕에게 쓴 것, 왕의 다리 병 투병 중 송다 사용 거부, 당시 동궁으로 불린 정조를 겁박했다는 것이였다. 하지만 대세를 뒤엎지 못하고 역으로 갑산에 유배되었다.

정조 17년인 1793년 현 예천군인 용궁(龍宮)[1] 현감으로 복직했다. 지방을 돌고 중앙에서도 한직을 전전하다 순조 즉위 후 벽파의 득세가 시작되며 중추부 첨지사를 거쳐 예조판서로 승진했다. 시파 김조순의 딸과 순조의 혼인에 반대하기도 했다. 이조판서, 양주 목사에서 1802년 우의정에 임명됐다. 1803년 정순왕후수렴청정을 거두려고 하자, 좌의정 이시수와 반대하다 탄핵을 받고 파직당했다.

복권은 되었지만, 1804년 정순왕후가 다시 수렴청정을 하려 할 때 이시수가 간곡히 반대해 찬성할 수 없었다. 정순왕후의 사후 1805년 시파가 집권하면서 김조순의 딸인 순원왕후순조의 국혼 방해를 이유로 또 대사간 신헌조 등으로부터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이후 경흥으로 유배가고 있었으나, 귀양 도중에 이원군에서 병사하였다. 사후에는 복권되었다.


3. 가족[편집]


  • 조부 : 김운경(金運慶)
    • 부 : 김한록(金漢祿)
    • 부인 : 기계 유씨(杞溪 兪氏)
      • 장남 : 김노정(金魯鼎)[2]
      • 며느리 : 이규진(李奎鎭)의 딸

김운경의 손자, 김한록의 아들로 김한구는 그의 5촌 숙부이고, 정순왕후김귀주는 그의 6촌 사이다.


4. 여담[편집]


  • 함경도와 인연이 상당하다. 함경도로 첫 유배를 갔고, 또 다시 함경도로 유배가다 함경도에서 병사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2:45:51에 나무위키 김관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용궁을 본관으로 쓰고 있는 용궁 김씨가 있다.[2] 김상주(金象柱)의 양자로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