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긴급신고전화

덤프버전 :

1. 개요
2. 세계의 긴급신고전화
2.1. 아시아
2.2. 유럽
2.3. 아프리카
2.4. 북아메리카[1]
2.5. 남아메리카
2.6. 오세아니아
3. 주요 국가별 응급의료체계
4. 주요 국가별 응급의료 구급차 이용 비용
4.1. 유료 국가
4.2. 무료(부분 유료화 포함) 국가



1. 개요[편집]


경찰 또는 재해구조 업무에 종사하는 자로 하여금 치안 유지 또는 긴급한 재해구조를 위하여 사용하는 전화로, 주로 비긴급신고전화(민원신고 등)와 함께 통용되고 있다.[2]

한국의 긴급신고전화는 전국연결번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로 시작하는 서너 자리 번호(1XY, 1XYZ)가 많지만 9로 시작하거나 자릿수가 많은 번호 또한 많기에 외국에 가기 전에는 미리 해당 국가의 긴급신고번호를 알아두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긴급신고전화가 미개통 휴대전화(공기계나 분실, 도난, 번호 상실 등으로 정지된 휴대전화)나 요금 체납 등으로 사용이 정지된 휴대전화에서도 물론 발신이 가능하다. 참고로 만약 공기계로 긴급전화를 걸 경우 상황실에서는 전화번호 대신 IMEI 번호가 뜬다.[3]

긴급전화 시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반전화든, 휴대전화든 지역번호국번을 누르지 않아도[4] 현재 교신 중인 기지국이 속한 지역의 경찰 당국이나 소방 당국으로 연결된다.[5]

세계 각국의 긴급신고번호는 아래 목차에서 대륙별로 분류했으므로 방문하려는 국가를 대륙별 목차에서 확인하거나 찾기[6] 기능을 활용해서 찾으면 된다. 그리고 지역번호 및 국번은 앞에 소괄호로 표시했으므로 참고하면 된다.


2. 세계의 긴급신고전화[편집]


여기서 소방은 화재 및 재난신고를, 경찰은 범죄신고를, 응급은 응급의료를 뜻한다. 그리고 긴급은 테러신고 및 구조 요청과 해외에서의 응급의료 상담을 뜻하며, 중앙관리센터에 연결된다. 위기탈출 넘버원 4회(2005년 7월 30일 방송분)에서도 세계의 긴급 구조 번호를 소개한 바 있다.


2.1. 아시아[편집]


국가소방경찰응급긴급기타
대한민국119112
/122 (해경)
119+82-44-320-0119
(해외응급의료상담)
110(정부 민원 상담)
/120(광역지자체 민원 상담[7])
북한119110119여행 금지 국가
네팔101100+977-1-4228094
/4211959
/4230213
대만119110119
동티모르115112110
/331-1008
(동티모르 국립병원)
(670) 7723-5068
(24시 운영)
라오스11901191(856) 20-5839-0080
(24시 운영)
레바논175112
/01-425250
140
/05-453500
(961) 81-007-491
(24시 운영)
마카오(중국)999(853) 2831-3731(Januario Hospital(국립))
/999
(852) 9731-0092
말레이시아999(60) 17-623-8343
(24시 운영)
몰디브118191(해양)
/+(960) 332-2111
119
/102(구급차)
(94) 77-332-5676
(24시 운영)
몽골101
/105(재난재해)
102103(구급차)(976) 9911-4119
미얀마191
/01-252011
/01-252022
199
/01-291284
/01-291285
(95) 9-4211-58030
(24시 운영)
바레인999(973) 6674-4737
(24시 운영)
199(교통)
방글라데시199999(880) 17-5563-9618
(24시 운영)
베트남114113115(84) 90-402-6126
(24시 운영)
부탄110113112(구급차)(880) 17-5563-9618
(24시 운영)
브루나이995993991+673-729-1336
(24시 운영)
사우디아라비아998993
/999(교통)
997(966) 50-080-1065
(24시 운영)
스리랑카110
/011-242-2222
119
/011-243-3333
110
/1990
(94) 77-332-5676
(24시 운영)
시리아113112
/115(교통)
110(961) 81-007-491
(24시 운영)
여행 금지 국가
싱가포르995(소방차)999995(65) 9654-3528
(24시 운영)
아랍에미리트997999998(아부다비)
/999(두바이)
(971) 50-133-7362
(24시 운영)
아프가니스탄105119102(93) 70-735-6492
(24시 운영)
여행 금지 국가
예멘179199
/194(교통)
195(966) 53-717-8300, (966) 55-376-9538(둘 다 24시 운영)여행 금지 국가
오만9999(968) 9944-2892
(24시 운영)
요르단911(교통 겸용)(962) 79-750-0358
(24시 운영)
우즈베키스탄1011021031050(구조요청)
/(998) 91-192-1595
이라크115104122+964-770-725-2006
(24시 운영)
여행 금지 국가
이란125110115(98) 912-159-1158
(24시 운영)
이스라엘102100101(972) 50-528-8345
(24시 운영)
인도101100102(구급차)(91)
99-5359-6008
(24시 운영)
인도네시아113110118
/119(둘 다 구급차)
(62) 811-852-446
(24시 운영)
일본119110
/118(해양)
119(81) 70-2153-5454
(24시 운영)
189(아동학대신고/상담)[8]
#7119(구급상담센터)[9]
#9110(경찰상담전용전화)[10]
#9910(도로긴급다이얼)[11]
중국119
/999
110
/122(교통)

/999
120(구조요청)
/(86) 186-1173-0089
(24시 운영)

/999
카자흐스탄101102103(구급차)(7) 705-757-9922
(24시 운영)
카타르999(974) 5001-1695
(24시 운영)
캄보디아012-786-693
/118
117
/118
119(855) 92-555-235
(24시 운영)
쿠웨이트112(965) 9919-3048
(24시 운영)
키르기스스탄101102103(996) 550-031-122
(24시 운영)
타지키스탄01(일반전화)
/*01(휴대전화)
02(일반전화)
/*02(휴대전화)
113(992) 93-532-0803
태국1991155(관광(영어, 무료))/1669(교통))191(방콕 기동경찰)
/(66) 81-914-5803
(24시 운영)
투르크메니스탄010203(993) 6585-7173
파키스탄1615115(92) 301-854-6944
(24시 운영)
필리핀116
/757
117
/166(세부, 보라카이 바기오 등)
911
/112
(63) 917-817-5703
홍콩999(852) 9731-0092중국의 긴급신고전화를 쓰지 않았었는데,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2.2. 유럽[편집]


국가소방경찰응급긴급기타
그리스199100166112
네덜란드112
노르웨이110112113
덴마크112(45) 25-21-74-61
(24시 운영)
1813
독일11211011231 00 31
(응급의료기관)

/(49) 173-407-6943
(24시 운영)
라트비아112110113(371) 2573-5627
러시아01(모스크바,
이르쿠츠크)

/통합긴급안내 112로 1차연결후 101
(블라디보스톡)
02(모스크바,
이르쿠츠크)

/통합긴급안내 112로 1차연결후 102
(블라디보스톡)
03(모스크바,
이르쿠츠크)

/통합긴급안내 112로 1차연결후 103
(블라디보스톡)
+(7) 495-783-2727
(24시 운영)
루마니아112(40) 741-185-558
룩셈부르크113112(32) 476-45-75-06
리투아니아01
/112
02
/112
03
/112
(48) 887-46-0600
리히텐슈타인118
/00423
117
/00423
114
/00423
(41) 79-897-4086
모나코1817
/112
(33) 6-8028-5396
몬테네그로123122124381-63-214-565
몰도바901902903(380) 95-119-0404
몰타199191196112(구조요청)
/(39) 335-185-0499
벨기에101100112(구조요청)
/(32) 476-45-75-06
벨라루스101102103(375) 29-369-1320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123122124(385) 91-2200-325
북마케도니아193192194+359 (0)887 503 270
불가리아112(교통 겸용)+359 (0)887 503 270
산마리노115113118112(구조요청)
/(39) 335-185-0499
세르비아193192194(381) 63-214-565
스웨덴112(46) 73-330-161611414
스위스118117144(41) 79-897-4086
스페인112091(국가경찰)
/092(자치경찰)
/062(민경대)

/112
061
/112
(34) 648-924-695
(24시 운영)
슬로바키아150
/112
158
/112
155
/112
(421) 904-934-053
(24시 운영)
슬로베니아112113112(43) 664-527-0743
아르메니아101102103118(구조요청)
/(7) 495-783-2727
아이슬란드112(47) 9093-1678
(24시 운영)
+354-444-1000
아일랜드999
/112
(353) 87-234-9226
아제르바이잔101102103(994) 51-877-9607
안도라118110116112(구조요청)
/ (34) 648-924-695
알바니아128
/112
129
/112
127
/112
(30) 694-611-7098
에스토니아112112(358) 40-903-10211345
(Help Line[12]
(탈린 지역))
영국999
/112
(44) 78-7650-6895101(경찰비긴급)
111(의료비긴급)
오스트리아122133144(43) 664-527-0743
우크라이나101102103(380) 95-119-0404여행 금지 국가
이탈리아115113118(39) 335-185-0499
(24시 운영)
112(군경찰)
조지아111126112(995) 599-094-746
(24시 운영)
체코150
/112
158
/156(지방)

/112
155
/112
(420) 725-352-420
코소보93112038-223-863(43) 664-527-0743
크로아티아193
/112
192
/112
194
/112
(385) 91-2200-325
키프로스(사이프러스)112
/199
(30) 694-611-7098
(24시 운영)
1441(항공 및
해양 구조)
터키110155112(90) 533-203-6535
포르투갈112(교통 겸용)(351) 91-079-5055808 24 24 24(의료핫라인[13])
폴란드998997999(48) 887-46-0600
프랑스1817
/112
(33) 6-8028-5396
핀란드112(358) 40-903-1021
헝가리105107104112(긴급상황 발생 시 중앙콜센터로 연결됨
(영어 통용))


2.3. 아프리카[편집]


국가소방경찰응급긴급기타
가나192
/999
191193
가봉01 74 09 55
/01 76 15 20
177
/01 72 00 37
1466(241) 607-0640
(24시 운영)
감비아(+220) 116(+220) 117(+220) 118(221) 78-184-5554
(24시 운영)
기니(+224) 18
/(+224) 630-45-41-14
(+224) 1(+224) 122
기니비사우(+225) 118(+225) 117
나미비아21111110111(빈툭시내 전용은 304)211111
나이지리아112
남수단09-5627-2222
/09-6538-6360
/09-1329-3938
/09-1454-9889(네 번호 전부 주바(수도) 전용)
+211 (0) 9-5535-3333여행 유의 국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101771011110177
/082-911
/084-124
니제르181715(225) 6934-5780
(24시 운영)
라이베리아999(225) 6934-5780
(24시 운영)
레소토998112
/+266 5888-1024
997
/911(의료조치)
(27) (0) 66 332 5897
르완다112113(교통)912(250) 780-493-746
(24시 운영)
리비아999(216) 22-575-924
(24시 운영)
여행 금지 국가
마다가스카르118
/22-25018
117
/22-35709
22-62566(261) 32-781-0874
말라위997(전국)998(전국)(+263) 772-781-430
/(+263) 774-930-119
말리(+223) 18(+223) 17(+223) 15(+223) 18
/(+223) 17
/(221) 78-184-5554
(24시 운영)
모로코1519
/177(지방)
15(212) 66-277-2408
(24시 운영)
모리셔스995208-7018
/208-7820
999(구조요청)
/(261) 32-781-0874
(24시 운영)
모리타니1817123(212) 662-77-2408
(24시 운영)
모잠비크119(258) 84-518-1272
(24시 운영)
베냉118117112(233) 244-321-858
보츠와나998999997(27) 66-332-5897
부룬디117
/118
(250) 780-493-746
(24시 운영)
부르키나파소181711217
/+226-2530-6383
/+226-2530-7100
/(225) 6934-5780
(24시 운영)
해양구조대
1111
/감전구조대
1130
상투메 프린시페112113(241) 607-0640
(24시 운영)
세네갈(+221) 18(+221) 17(+221) 18(221) 78-184-5554
세이셸999(251) 92-217-4741
(24시 운영)
소말리아555888999(254) 708-984-891여행 금지 국가
수단01-8377-4444
(카르툼)
/01-8531-3113
(카르툼 노스)
/01-8755-2152
(옴두르만)
999(249) 9-1217-2813
시에라리온019999(234) 809-998-1726
알제리141548115(213) 770-11-44-00
(24시 운영)
앙골라115113(244) 938-880-573
(24시 운영)
에리트레아12-6666
/12-2222
/+2911 12 6666(로밍폰)(세 번호 전부 아스마라(수도) 전용
(249) 9-1217-2813
(24시 운영)
에스와티니933
/+268 2404 3333
999606-0911(27) 66-332-5897
(24시 운영)
에티오피아939991907(구급차)(251) 92-217-4741
우간다0421 222
/0714 667 752
112
/999
(256) 774-478-376
이집트180122(20) 12-8333-3236
잠비아993991995(구급차)
/992(응급의료센터)
(263) 772-781-430
/+(263) 774-930-119
적도 기니115113112(240) 555-791-803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118 (+236118)117 (+236117)(237) 694-873-695
지부티253-18(전국)253-12(전국)(251) 92-217-4741
짐바브웨993
/+(263)242-720-206(하라레)
995
/112(모바일)
+(263) 772-781-430
/+(263)774-930-119
차드18 (+23518)17 (+23517)694-873-695
카메룬118 (+237118)117 (+237117)119 (+237119)(237) 694-873-695
카보베르데(+238) 131(+238) 132(+238) 130(221) 78-184-5554
케냐999
/020-999(휴대전화)
/+254-20-999(로밍폰)
(254) 708-984-891
코모로1817772-03-73(254) 32-781-0874
(24시 운영)
코트디부아르180110
/111
/170
185
/+225-2244-5353
/+225-2244-5553
170
/(225) 6934-5780
(24시 운영)
콩고118112
/(243) 81 7108201
+242 06 665 6045
/+242 00 281 0017
(243) 85-110-7971
콩고민주공화국+2439988533498
/+243855146439
/+243998323259
/+243818143440
/+243815046229
+243898950300
/+243998265004
/+243898950301
/+243908840277
(243) 85-110-7971
탄자니아112112(255) 743-8282-04
(24시 운영)
토고1181178200(233) 244-321-858
튀니지198197190(216) 99-567-040
(24시 운영)


2.4. 북아메리카[14][편집]


국가소방경찰응급긴급기타
과테말라122
/123
110
/120
1282361-4001
/2362-5177(두 번호 전부 구조요청)
그레나다911434(St.GeorgesArea)
/724(St.AndrewArea)
/774(Carriacon Area)
니카라과158118128
도미니카 공화국809-682-2000809-682-2151911(1-809) 383-9091
도미니카 연방999911
/999
/(1-809) 383-9091
멕시코911(52) 155-1391-4778
미국911(1) 202-939-5653
바베이도스311211511(1) 868-325-8980
바하마911
/919
919
/(1-809) 383-9091
벨리즈911911
/(1-809) 383-9091
세인트루시아911999(1) 868-325-8980
(24시 운영)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911999(1) 868-325-8980
(24시 운영)
세인트키츠
네비스
911(1-809) 383-9091
아이티114117(1-809) 383-9091
앤티가 바부다911
/999
(1-809) 383-9091
엘살바도르913
/2527-7300
911(503) 7481-7401
(24시 운영)
온두라스198911195(504) 9442-4972
(24시 운영)
자메이카119110(1-876) 478-1755
캐나다911(1) 613-986-0482
코스타리카911(506) 8410-3145
(24시 운영)
쿠바105106104(52) 155-1391-4778
트리니다드
토바고
990911
/999
811(1) 868-316-5672
파나마103104911(507) 6747-0173


2.5. 남아메리카[편집]


국가소방경찰응급긴급기타
가이아나912913911
베네수엘라171(58) 412-309-3247
(24시 운영)
볼리비아119110165(응급차)(591) 7673-3334
브라질193190
/181
192199(대형사고)
/(55) 61-99658-2421
(24시 운영)
수리남115(58) 412-309-3247
아르헨티나911911
/101
911
/107
(54) 911-4141-1450
에콰도르102101
/103(교통)
911(593) 981-122-191
우루과이104911105(598) 94-111-593
(24시 운영)
칠레132133131(56) 9-9222-3707
(24시 운영)
콜롬비아123(보고타 전용)(57) 321-976-3511
(24시 운영)
파라과이132911(595) 981-593-448
페루116105105
/222-0222
(51) 998-787-454


2.6. 오세아니아[편집]


국가소방경찰응급긴급기타
나우루117
/118
110117
/118
뉴질랜드111
니우에999(64) 21-0269-3271
(24시 운영)
마셜 제도+692-625-8666+692-625-8999(마셜군도에서 전화 시 국번(+692) 생략(679) 992-2186
미크로네시아
연방
+691-320-2223
(폰페이 전용)
/+691-320-2222
(축 전용)
/+691-370-3333
(코스라이, 얍 전용)
+691-320-2221
(폰페이 전용)
/+691-320-2223
(축 전용)
/911
(코스라이, 얍 전용)
+691-320-2213
(폰페이 전용)
/+691-320-2444
(축 전용)
/+691-370-3012
(코스라이, 얍 전용)
(679) 992-2186
[폰페이(Pohnpei)[br]지역번호 : 320]
바누아투999(675) 7394-6778
사모아994995999
/996
(64) 21-0269-3271
(24시 운영)
솔로몬 제도988999(675) 7394-6778
쿡제도996929998(64) 21-0269-3271
(24시 운영)
키리바시999
/26187
26187999(679) 992-2186
통가999922933(64) 21-0269-3271
투발루91120749(679) 992-2186
파푸아뉴기니110112111
/7021 9195(St.
John's Ambulance)
(675) 7394-6778
팔라우911(63) 917-817-5703
피지911917
/919
911
/910
(679) 992-2186
(24시 운영)
호주000

3. 주요 국가별 응급의료체계[편집]


각 국가별로 응급의료체계가 전부 다르니, 그 차이는 아래 표에서 참조하면 된다. 표기되지 않은 국가에서 어떤 체계를 사용하는지는 소방청 중앙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문의하면 된다.[문의방법]
응급의료체계특징해당 국가응급 신고 번호
개념구급차 이용
영국-미국 모델
(Anglo-American model)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미국: (유료, 지역별 차이)
영국: (무료, 서비스에 따라 유료)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미국(911)
영국(112 또는 999)
캐나다(911)
오스트레일리아(000)
프랑스-독일 모델
(Franco-German model)
의사 (응급구조사)가 환자에게 출동프랑스: (무료, 의사 확인은 유료)
독일: (무료)
프랑스
독일
코트디부아르
대부분의 유럽
프랑스 (112)
독일(112,110)
코트디부아르(185 등)
네덜란드 모델
(Netherlands model)
현장에서 간호사가 응급처치 제공유료 (보험적용)네덜란드네덜란드(112)
아시아 모델
(Anglo-American model)
공공기관에서 운영
표준화된 중증 분류

대부분 무료
유료와 무료 병행
싱가포르: 응급 (무료),
비응급 (유료)→구급차 이용제한
일본
홍콩
말레이시아
중국(119, 112)
대만(119)
홍콩(999)
말레이시아(999)
일본(119, 110)
싱가포르(995)

4. 주요 국가별 응급의료 구급차 이용 비용[편집]


구급차 이용 비용이 유료인 곳은 확실히 저렴하지 않으므로 아래의 표를 반드시 참고하자. 하지만 목숨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으므로 문제가 생기면 주저 없이 신고하자. 표기되지 않은 국가에서 어떤 체계를 사용하는지는 소방청 중앙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문의하면 된다.[문의방법]


4.1. 유료 국가[편집]


  • 미국(911) - 지역, 거리, 전문(ALS)/기본(BLS), 보험 가입 유무 등에 따라 상이한데, Monterey County에서 California BLS 상품 비보험 적용일 경우 $2,206(약 260만 원), Mendocino County에서 보험 적용일 경우 $575(약 68만 원)이다.
  • 캐나다(911) - Ontario 응급은 $45(약 5만 원),[15] 비응급은 최대 $240(약 28만 원) 이상[16]이다.
  • 네덜란드(112) - 정부와 민간기업이 협력하여 구급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로, 보험으로 비용을 충당할 수 있고 119상황실 중증도 분류돼있다.
  • 중국(119, 120) - 지역, 거리, 증상(응급/비응급), 처치 비용에 따라 다른데, 베이징 기준 약 50위안(약 8천 원) 정도다.


4.2. 무료(부분 유료화 포함) 국가[편집]


  • 한국(119, 112 등) - 한국은 모든 전국연결번호, 긴급신고에 의한 출동과 관련한 비용 등은 전부 무료다. 추가로 2016년 10월부터 소관 기관별로 다양하던 긴급신고 전화를 통합하여 대응이 신속해졌으며, 잘못 걸려온 전화[17]도 바로 접수하여 해당기관으로 이관이 가능하다. 단, 구급차의 경우 취객 등의 문제로 하도 남용해대다 보니 비응급일 경우 5만원을 받는다.
  • 일본(119, 110) - 이송 비용은 무료, 의사 확인은 유료다.
  • 오스트리아(122, 133, 144 → 112) - 비용은 대부분 응급의료기금[18]에서 충당한다.
  • 프랑스(18, 17&112) - 필요한 재정은 전부 지방자치단체, 보험, 주정부 기금에서 충당한다.[19] 단, 남용하면 법의 심판을 받는다.
  • 독일(112, 경찰 110 ← 112) - 모든 국민이 의무가입한 공영 의료보험으로 비용처리(무료)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2:13:15에 나무위키 긴급신고전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앙아메리카의 국가들도 북아메리카에 포함시켰다.[2] 함께 통용하는 이유는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긴급신고번호를 '특수번호'라는 이름으로 '공공질서의 유지와 공익증진 또는 전기통신사업에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번호'로 정의해서 민원신고 등의 비긴급신고도 포함되고, 이는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3] 대신 배터리가 아예 없으면 전화를 할 수가 없다. 배터리가 최소 몇 초라도 있다면 출동이 가능하다.[4] 물론 지역번호나 국번을 눌러도 통화가 가능하다. 02-119나 2XX-119의 식으로 하지만 타 지역번호를 입력한다고 해서 그 지역 본부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 기지국 관할 본부로 연결된다.[5] 주의사항은 개통되지 않는 폰은 문자메세지가 절대로 안된다. 긴급전화만 된다. 문자메세지는 개통된 번호들만 가능.[6] 데스크톱은 'LCtrl+F'(키보드 좌측 하단에 있는 'Ctrl' 키와 키보드 중앙에서 약간 왼쪽에 있는 'F' 키를 동시에 누르면 된다.), 모바일은 파일:20191120_101436.jpg를 누르면 된다.[7] 즉 서울특별시, 경상남도 등의 광역지자체의 콜센터로 연결된다. 서울 같이 광역지자체가 기초지자체 콜센터를 흡수한 경우라면 상관 없지만 도(道)지역 같은 경우는 시군 민원콜센터는 시군별로 번호가 다르다.[8] 189를 고로아와세로 읽은 이치하야쿠(최대한 빨리)라는 CM으로도 유명하다. 아동학대가 의심되면 하루빨리(이치하야쿠) 189로 연락하라는 뜻.[9] 구급차를 불러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될 때 상담하기 위한 번호.[10] 범죄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 등 생활 안전을 지키기 위한 상담에 응하는 창구.[11] 도로상에 구멍이 났다거나, 산사태가 나서 도로가 파손되었다거나, 도로에 낙하물이 있다 등 고속도로와 국도 등의 도로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는 곳. 신고하면 도로 패트롤에서 와서 상황을 점검하고 낙하물은 수거해간다.[12] 의료전화 서비스[13] 긴급 비상용 의료계 직통전화 서비스[14] 중앙아메리카의 국가들도 북아메리카에 포함시켰다.[문의방법] A B +82-44-320-0119/[email protected]/http:119.co.kr 등의 방법으로 문의하면 되는데, 이 중에서 여행 가기 전에 이메일이나 119 홈페이지에서 문의하는 것을 추천한다.[15] 대부분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여 보다 소액으로 부담할 수 있는데, 주별 정부 보조금 비율은 상이하니 미리 확인하자.[16]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아 100% 본인 부담이다.[17] 장난전화가 아닌 접수기관을 잘못 선택한 전화[18] 지역사회보험료, 주의 기부금, 부분적 정부 보조 등.[19] 공공병원에서 SAMU 무료 운영(운전원, 의사, 간호사 구성된 의료팀 상시 대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