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주원군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고려 태조의 왕자
광주원군(廣州院君)
본관개성 왕씨
이름미상
부왕태조 신성대왕
모후소광주원부인
생몰연도? ~ 945년(추정)
1. 개요
2. 생애
3. 미디어


1. 개요[편집]


고려 태조 왕건과 제16비 소광주원부인 소생의 아들로 경기 광주의 호족(豪族) 왕규의 외손자다. 이름은 사서에 전하지 않는다.


2. 생애[편집]


이복형 혜종이 즉위한 뒤 고려의 호족들은 왕규의 개경파와 왕식렴의 서경파로 갈라져 대립하는데, 광주원군은 외조부 왕규로부터 혜종의 후계자로 지지받는다. 왕규파는 먼저 왕식렴파가 밀어주던 왕요, 왕소를 공격하기도 했으나 마침내 945년 왕규의 정변 때 제압되었고 결국 처형된다. 광주원군의 최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정황으로 보아 역시 즉결 처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3. 미디어[편집]


정작 왕규가 나오는 정통 고려사극에는 단역[1]으로 대사 없이 지나가지만, 달의 연인에서는 제10황자 '왕은' 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다른 형들처럼 글을 읽고 사색하는 것보다는 장난치고 노는 것을 더 좋아하는 철부지 황자로 나온다. 극 중에선 박수경의 딸과 혼인까지 하지만, 왕요(정종)가 혜종을 시해한 후 왕규의 난[2]으로 조작하자 아내와 함께 겨우 집을 빠져나와 다미원에 숨어있다가 발각되어 왕소(광종)에게 베어줄 것을 부탁했고 끝내 아내와 함께 왕소의 칼 아래 죽음을 맞는다.[3] 연기자는 EXO백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1:32:22에 나무위키 광주원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국의 아침에서는 왕규의 외손자이기 때문에 역적으로 몰려 처형당하는 장면만 등장한다. 이 때 목이 베여 거리에 내걸어졌다.[2] 왕규와 그 일가가 처형되는 장면은 아주 짤막하게 나오는데 왕규가 죽기 전에 정종에게 손자만은 살려달라 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3] 참고로 작중에서는 묘사가 자세히 나오지는 않지만 왕은이 죽을 때 왕소가 눈물을 흘리며 오열한 것을 보면 왕소가 아끼는 동생이었던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