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덕무

덤프버전 :




고덕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안동도호부 8대 도호
소고구려 초대 군주

고덕무 | 高德武
시호미상
성씨고(高)
덕무(德武)
부왕보장왕
생몰? ~ ?
재임제8대 안동도호
699년 ~ 704?
재위소고구려 군주
? ~ ?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아들. 소고구려의 초대 국왕.


2. 생애[편집]


677년 당나라보장왕을 요동주도독 조선왕(遼東州都督 朝鮮王)으로 임명하여 안동도호부에 파견하였으나 보장왕은 말갈족과 손을 잡고 반란을 일으켜 유배당했다.

686년 당은 보장왕의 손자 고보원(高寶元)을 조선군왕(朝鮮郡王)에 임명하였다. 동국통감 권9 신라기에 따르면 백제 의자왕의 증손자이자 부여융(扶餘隆)의 손자인 부여경(扶餘敬)이 웅진도독 대방군왕(熊津都督 帶方郡王)을 받은 시기와 같다.

696년 거란족 반란의 여파로 인해 당나라요동에 대한 지배권이 약화되었다.

698년 당은 안동도호부의 격을 안동도독부로 낮추고, 보장왕의 손자인 고보원(高寶元)을 좌응양위대장군 충성국왕(左鷹揚衛大將軍 忠誠國王)으로 봉해 요동에 부임시키려 했으나 이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

699년 당은 다시 보장왕의 아들이자 대장군이었던 고덕무(高德武)를 안동도호부에서 격하된 안동도독부의 장관인 안동도독(安東都督)으로 임명하여 파견하였다.#

이외에도 보장왕의 후손들은 당의 수도에 머물며 고구려 유민들을 대표하여 고려조선군왕(高麗朝鮮郡王)을 세습하였다고 한다.[1]

이후 기록이 없어서 고구려의 잔존 세력이 세운 소고구려의 시조로 옹립되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기록이 미약해 이것이 나라가 맞는지에 대한 비판도 있다.


3. 기타[편집]


측천무후의 외척인 무유의와 조카 고구수가 고구려계, 고덕무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4. 관련 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소고구려 군주
건국고덕무불명
[1] 725년 당나라 봉선제에서 당나라의 내신 백제대방왕, 고려조선왕이 참여한 기록이 남아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9:28:52에 나무위키 고덕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