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성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개성시
개성시 일원
Kaisŏng[1]
||
선거인 수90,081명 (1947)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개성시 전역
수창동, 동흥동, 서흥동, 남안동, 북안동, 선죽동, 자남동, 용산동, 관훈동, 동현동, 손하동, 고려동, 만월동, 태평동, 사직동, 운학동, 덕암동
신설년도1948년
이후 선거구개성선거구
동현선거구
선죽선거구
운학선거구
덕암선거구
룡산선거구
국회의원
무소속

김동성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
3. 여담



1. 개요[편집]


이 선거구는 제헌 국회~제2대 국회까지 존속하였고, 6.25 전쟁 이후 개성시북한에 넘어가면서 선거구가 폐지되었다.

  • 관할 구역 : 수창동, 고려동, 선죽동, 자남산동 등.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2.1. 제헌 국회의원 선거[편집]


개성시
개성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종근(李琮根)9,8413위

무소속

27.47%낙선
2김낙영(金洛永)1,4614위

단민당

4.07%낙선
3김성찬(金性燦)10,1882위

무소속

28.44%낙선
4이성득(李聖得)14,3281위

무소속

40.00%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2.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개성시
개성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성(金東成)14,6381위

무소속

당선
2이성득(李聖得)

파일:일민구락부.png

낙선
3김학형

대한국민당

낙선
4곽인영

무소속

낙선
5민관식

무소속

낙선
6안광모

무소속

낙선
7문통주

무소속

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제2대 국회의원 선거일 개성시 르포 기사 (1950. 6. 3. 경향신문)

3. 여담[편집]


남북통일 혹은 수복이 이루어지면 선거구가 부활할 가능성이 높으며, 인구 특성상 개성시 갑 및 을 지역으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8:42:36에 나무위키 개성시(선거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표기법 기준. 현재는 Gaeseon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