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 0)

웃옷 오
부수
나머지 획수
, 13획
총 획수
18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オウ
일본어 훈독
あお, ふすま
표준 중국어
ǎ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襖는 '웃옷 오'라는 한자로, '웃옷'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895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HBK(中竹月大)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옷 의)와 음을 나타내는 (깊을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국에서는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 생소한 한자[1]지만, 월남어에서는 을 뜻하며 매우 널리 쓰인다.
  • áo dài(襖䥀) - 아오자이
  • áo lễ(襖禮) - 예복
  • áo làm việc(襖爫役) - 작업복
  • áo mưa(襖𩅹) - 비옷
  • áo tây(襖西) - 양복

반면에 일본 훈독으로는 후스마(ふすま)라고 하여, 특이하게도 옷이 아닌 일본 건축 특유의 종잇문을 의미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40:0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 표준어 중에는 이 한자가 들어가는 단어가 하나도 없다. 물론 과거 한문 문헌에는 자주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