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 0)

노/꺾어질 요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ジョウ, ドウ, ニョウ
일본어 훈독
かい, かじ, くじ-く, たわ-む, ま-げる
표준 중국어
ráo, ná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노/꺾어질 요'라는 한자로, '굽히다', '꺾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노/꺾다
중국어표준어ráo, náo
광동어jiu4, naau4
일본어음독ジョウ, ドウ, ニョウ
훈독かい, かじ, くじ-く,
たわ-む, ま-げる
베트남어nạo, nhiêu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요임금 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는 U+6A48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GGU(木土土山)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굽을 곡)
  • (굽힐 굴)
  • (휠 뇨)
  • (굽을 만)
  • (굽을 왕)
  • (에돌 우)
  • (굽을 전)


5. 상대자[편집]


  • (곧을 정)
  • (곧을 직)
  • (우뚝솟을 촉)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사를 소)
  • (넉넉할 요)
  • (새벽 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2:43:3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