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떨칠 불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フツ
일본어 훈독
はら-う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拂은 '떨칠 불'이라는 한자로, '떨치다', '털어내다', '지불(支拂)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떨치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fat1
객가어fi̍t, vi̍t, fin
민북어
민동어hók
민남어hut
오어veq (T5)
일본어음독フツ
훈독はら-う
베트남어phất

유니코드에는 U+62C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LLN(手中中弓)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아닐 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불식(拂)
  • 불출(拂): 나누어준다는 뜻이다. 군대에서 자주 쓰는 말이다. '총기 불출', '핸드폰 불출' 식으로 쓴다. 사실 의미가 잘 와닿지는 않는데 일본어 払い出す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서 拂의 의미보다 일본어 払う는 의미 폭이 더 넓기 때문이다. 사회에선 거의 안 쓰는 말이기에 입대한 지 얼마 안 돼서는 '분출' 식으로 잘못 알아듣는 일도 잦다.# 그런 이유로 국립국어원에서는 '내줌'으로 순화를 권하고 있지만 잘 반영되지는 않는 것 같다.
  • 선불(拂)
  • 일시불(拂)
  • 지불(拂)
  • 체불(拂)
  • 환불(拂)
  • 후불(拂)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 (떨칠 범)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부처 불)
  • 彿(비슷할 불)
  • (끓을 비)
  • (비비 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8:48:5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