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뉘우칠 참
부수
나머지 획수
, 17획
총 획수
20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サン, ザン
일본어 훈독
く-いる
표준 중국어
ch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懺은 '뉘우칠 참'이라는 한자로, '뉘우치다', '참회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뉘우치다
중국어표준어chàn
광동어caam3
객가어chham
민북어chǎng, cha̿ng
민동어chiĕng
민남어chhàm
오어tshe (T2)
일본어음독サン, ザン
훈독く-いる
베트남어sám

유니코드에는 U+61F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OIM(心人戈一)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마음 심)과 소리를 나타내는 (부추 섬)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 (살필 성, 덜 생)
  • (뉘우칠 회)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𨏪(수레소리 삼)
  • (가늘 섬)
  • (가늘 섬, 교활할 첨)
  • 𢖝(갈 섬)
  • (경단 섬)
  • (다죽일 섬)
  • (번개 섬)
  • (손길고고울 섬)
  • (짐승이름 섬)
  • (짧은속옷 섬)
  • (쭉정벼 섬)
  • 𤒯(꺼질 잠)
  • (벌레 점)
  • 𩉔(얼굴모양 점)
  • 𥍀(웃는모양 점)
  • 𨇦(가는모양 참)
  • 𪖎(거미원숭이 참)
  • (순대국 참/첨)
  • (식초 참, 신맛 첨)
  • (예언 참)
  • 𩟶(탐할 참)
  • (건수/적실 첨)
  • (날카로울 첨)
  • (쐐기 첨/삼나무 삼)
  • 𡄑(탐낼 첨)
  • (표지 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7:37:25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