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웃음소리/으를 하, 성낼 혁
부수
나머지 획수
, 14획
총 획수
17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カク
일본어 훈독
おど-す
표준 중국어
hè, xià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개요[편집]


嚇는 '웃음소리/으를 하, 성낼 혁'이라는 한자로, '웃음소리', '으르다', '성내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웃음소리, 으르다성내다
중국어표준어hè, xià
광동어haak3
객가어hag5
민북어hiă
민동어hiáh / háik
민남어hêh4
오어haq (T4)
일본어음독カク
훈독おど-す
베트남어hách, hạ
유니코드에는 U+568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GCC(口土金金)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입 구)와 음을 나타내는 (빛날 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공하(嚇)
  • 위하(嚇)
  • 협혁(嚇)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일본어[편집]



3.6.1. 훈독[편집]



3.6.2. 음독[편집]



3.7. 중국어[편집]



3.8.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웃음소리
    • (웃음소리 숙)
    • /(웃음소리 해)
    • 𠴳(웃음소리 효)
  • 성내다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속일 하)
  • 𥋿(눈붉을 혁)
  • (불빛 혁)
  • (빛날 혁)[1]
  • 𢷓(팔 혁)

6.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4:49:2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빛날 혁)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