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 세계시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UTC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전에 UTC를 약자로 썼던 미국의 방위산업체에 대한 내용은 RTX 문서
RTX번 문단을
RTX#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국
관련 문서
[ 정치 ]⠀

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문화 ]⠀
[ 군사 ]⠀

1. 개요
2. 연구
3. 언어별 명칭
4. 유의어
4.1. GMT (그리니치 천문대 평균시)
4.2. Zulu Time
5.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파일:World Time Zones Map.png
협정세계시()는 국제적인 표준 시간의 기준으로 쓰이는 시각이다.

한국은 UTC+9 시간대에 속하므로 UTC 시간에 +9를 해주면 한국 환산 시간이 나온다. 예시로 UTC 02:00은 한국 기준으로는 오전 11:00이다. 즉, 한국 시계가 협정 세계시보다 아홉 시간 빠르다.


2. 연구[편집]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19세기 중반의 태양시를 기준으로 1초의 길이가 정해진 뒤, 지구의 자전속도가 느려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에 따라 1958년 당시의 평균태양시 (정확히는 UT1)와 같은 원점에서 출발하는 국제원자시가 제정되었다. 하지만 국제원자시와 세계시(평균태양시에 극운동을 보정한 시간)와의 차이가 벌어지자 국제원자시나 세계시 대신 윤초(閏秒)를 삽입해 세계시와 차이를 맞춘 시각을 세계의 표준 시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되었으나 2035년부터 윤초를 폐지하기로 하였다.

시간대는 경도를 기준으로 정하므로 극점과 같은 애매한 위치에서는 임의로 정하기도 한다. 우주정거장의 시간대는 UTC+0 이며, 남극점 부근의 경우 UTC+12 로 정했다. UTC를 정의하면서 그리니치의 지구 반대편에는 날짜변경선이 생겼다.


3. 언어별 명칭[편집]


한국어협정세계시 協定世界時
영어Coordinated Universal Time (CUT)
프랑스어Temps Universel Coordonné (TUC)
독일어Koordinierte Weltzeit (KW)
스페인어Tiempo Universal Coordinado (TUC)
포르투갈어Tempo Universal Coordenado (TUC)
이탈리아어Tempo Coordinato Universale (TUC)
네덜란드어Gecoördineerde Wereldtijd (GW)
스웨덴어Koordinerad Universell Tid (KUT)
덴마크어Koordineret Universaltid (KU)
튀르키예어Eşgüdümlü Evrensel Zaman (EEZ)
그리스어Συντονισμένη Παγκόσμια Ώρα
중국어世界協調時間[1]
協調世界時[2]
일본어協定世界時[3]
러시아어Всемирное координированное время
아랍어توقيت عالمي منسق
التوقيت العالمي المنسق
التوقيت العالمي الموح
힌디어समन्वित सार्वत्रिक समय

위의 협정 세계시의 약자들을 보면 어디에도 UTC는 없는데 왜 UTC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냐면, 협정 세계시를 영어로 하면 Coordinated Universal Time, 프랑스어로 하면 Temps Universel Coordonné이지만 영국프랑스영불관계는 싸움으로 인해 CUT와 TUC가 아닌 새로운 단어의 사용이 필요해졌고, 이에 따라 Universal Time 계열 시간인 UT0, UT1, UT2와 비슷해보이는 UTC를 약자로 사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비공식적으로는 Universal Time Coordinated, Universel Temps Coordonné라는 영어프랑스어 명칭이 쓰이기도 한다.


4. 유의어[편집]



4.1. GMT (그리니치 천문대 평균시)[편집]


UTC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 평균시가 있는데 바로 GMT이다. 17세기 영국에서 찰스 2세그리니치에 왕립 그리니치 천문대를 설립하고 천문관들을 양성하였다. 이 왕실천문관들이 오랜 연구 끝에 만든 표준 시간체계가 바로 그리니치 천문대 평균시이다. 그리고 이 시간체계를 바탕으로 19세기에 UTC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역사적 자부심 때문에 영국인들은 아직도 UTC가 아닌 GMT(런던의 그리니치천문대 평균시)라는 표현을 더 선호한다. 반대로 타 국가에서는 영국 주도의 세계 표준에 대한 반발이 있었기 때문에 GMT보단 UTC라는 표현을 선호한다.

영국, 포르투갈,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그리스, 튀르키예, 키프로스, 핀란드를 제외한 대다수 서유럽 국가들은 유럽 표준시(CET)라는 UTC+1(서머타임 UTC+2) 단위를 사용한다.


4.2. Zulu Time[편집]


군사, 항공 분야에서는 Zulu Time이라고 하며 모든 소통의 기본이 되는 시간이다. NATO 군에서 UTC 시간대를 흔히 12:30Z 식으로 시간대 표시를 "Z"를 붙여서 하는데 Z의 NATO 알파벳 음성 기호 가 Zulu 이기 때문이다. 줄루족들이 주로 사는 남아프리카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5.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03:46:53에 나무위키 협정 세계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표준중국어 발음으로 Shìjiè Xiétiáo Shíjiān, 광동어 발음으로는 Sai3 Gaai3 Hip3 Tiu4 Si4 Gaan3[2] 광동어 발음으로 Hip3 Tiu4 Sai3 Gaai3 Si4[3] きょうていせかい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