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Season 1 | Season 2
Gold Series Team Championship 2020
Spring | Fall
World Team League 2021
Summer | Winter
World Team League 2022
Summer(승강전) | Winter(승강전)
World Team League 2023
Summer(승강전) | Winter(승강전)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대회 기간2022년 9월 30일 ~ 2023년 2월 19일
주최/주관SCBoy
참가 팀총 12팀
중 계
[ 펼치기 · 접기 ]
플랫폼
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도유 아이콘.png
파일:글로벌 아이콘.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중계진중계 / 해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재원(CranK), 인투더티비(iNu)
파일:중국 국기.svgSCBoy
파일:글로벌 아이콘.svg조나톤 워드(Wardi)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승강전 예선9월 9일 ~ 9월 11일
승강전 본선9월 12일 ~ 9월 18일
정규 시즌9월 30일 ~ 1월 1일
플레이오프1월 13일 ~ 1월 15일
사 용 맵
[ 펼치기 · 접기 ]
코스믹 사파이어, 데이터-C, 인사이드 앤 아웃, 문댄스, 스타게이저스, 트로피컬 새크리파이스, 워터폴
상 금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 ¥ 300,000
상금우승¥ 80,000
준우승¥ 60,000
3위¥ 40,000
4위¥ 30,000
5위¥ 20,000
6위¥ 16,000
7위¥ 14,000
8위¥ 12,000
9위¥ 10,000
10위¥ 7,000
11위¥ 6,000
12위¥ 5,000
결 과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대회 방식
3. 참가 팀
4. 정규 시즌
5. 2:2 팀 대항 토너먼트
6. 플레이오프
6.1. 1라운드
6.2. 2라운드
6.3. 3라운드
6.4. 준준결승
6.5. 준결승
6.6. 결승
7. 결산



1. 개요[편집]


파일:WTL_2022_S2.jpg
중국의 SCBoy가 개최하는 스타크래프트 2 팀리그.


2. 대회 방식[편집]


  • 승강전
    • 지난 시즌 하위 두 팀은 승강전에 자동으로 진출하고, WTL 참가를 희망하는 모든 팀들은 승강전에 참가할 수 있다.
    • 자세한 방식과 결과는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승강전 문서 참고.
  • 정규 시즌
    • 각 선수는 두 세트의 경기를 치른다. 팀이 4점 이상 획득하는 경우 그 팀의 승리가 된다. 한 팀이 먼저 4점을 획득해도 6경기 모두 끝까지 진행한다.
    • 만약 3:3 동점이 나올 경우 단판으로 에이스 결정전을 진행한다.
    • 각 경기의 1세트 맵과 에이스 결정전 맵은 미리 정해져 있다. 각 경기의 2세트 맵은 1세트 패자가 선택한다.
    • 승점은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 에이스 결정전 없이 승리한 경우[1] : 3점
      • 에이스 결정전에서 승리한 경우[2] : 2점
      • 에이스 결정전에서 패배한 경우[3] : 1점
      • 에이스 결정전 없이 패배한 경우[4] : 0점
    • 순위는 승점, 세트 득실(득실차), 승패 순으로 결정된다. 만약 이 세 가지가 모두 같게 된다면,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치르게 된다.

  • 플레이오프
    • 상위 7위 팀까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정규시즌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계단형 방식으로 진행된다.
    • 각 팀은 경기 시작 전 맵 하나를 금지할 수 있다. 각 대결에서 1세트 맵은 밴과 무관하게 미리 정해져 있으며, 2세트 맵은 1세트 패자가 선택한다. 단, 상대팀이 금지한 맵은 선택할 수 없으며, 본인의 팀이 금지한 맵은 선택할 수 있다.
    • 플레이오프 경기의 각 매치는 2전제의 승자 연전 방식으로 진행되며, 2전제의 점수가 1 : 1일 시에는 연속 출전하는 선수 없이 양 팀에서 새로운 선수가 출전한다. 한 팀에서 최대 3명이 출전할 수 있으며 3명 모두 패배하면 팀원 중 한 명이 마지막 에이스 자격으로 출전한다.
    • 에이스로 출전한 선수[5]는 한 세트만 패배해도 최종 패배가 확정되지만, 에이스 간의 경기는 승패 상관없이 두 세트 모두 진행한다. 에이스 대결에서 두 세트를 모두 승리한 팀이 최종 승리팀으로 확정되며, 에이스 대결 결과가 1 : 1인 경우에는 선수를 교체하여 에이스 결정전을 진행하고 단판 경기로 최종 승리팀을 결정한다.


3. 참가 팀[편집]


||


Team NV의 해체와 광동 프릭스의 시드 포기로 인한 불참으로 이번 시즌에는 4개의 팀이 승강전에서 승격된다. 자세한 내용은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승강전 문서 참고.


4. 정규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정규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순위표
순위세트 득실득실차승점
1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DPG9249-17+3227
2파일:PSISTORM_Gaming.pngPSIS9246-20+2627
3파일:ONSYDE_Gaming_Logo_small.pngOSG10146-23+2327
4파일:Shopify Rebellion 아이콘.svgSR8343-25+1824
5파일:Alpha_X_logo_std.pngαX8342-26+1622
6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KZG6537-30+719
7파일:Team_GP_logo_std.pngGP5634-34017
8파일:Team_Liquid_2020.pngTL5635-35015
9파일:GG_gaming_logo.jpgGGG2925-37-148
10파일:SSLT_Logo.pngSSLT2927-41-217
11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iG2913-54-415
12파일:CranKy_Ducklings_2019_logo.pngCranKy01110-56-460
보라색: 결승 직행 | 하늘색: 준결승 진출 | 초록색: 준준결승 진출
연두색: PO 3R 진출 | 노란색: PO 2R 진출 | 주황색: PO 1R 진출
분홍색: PO 진출 실패 | 빨간색: 승강전 진출


5. 2:2 팀 대항 토너먼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팀전 토너먼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플레이오프[편집]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플레이오프 사용 맵
파일:Altitude SC2.jpg
파일:Ancient Cistern.jpg
파일:Babylon SC2.jpg
파일:Dragon Scales.jpg
파일:Gresvan.jpg
파일:Neohumanity.jpg
파일:Royal Blood.jpg
앨티튜드 에인션트 시스턴바빌론 드래곤 스케일스 그레스번 네오휴머니티 로얄 블러드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사용 맵이 전부 교체되었다.


6.1. 1라운드[편집]


1라운드
2월 17일 19시 00분
KaiZi Gaming Team GP
[ 결과 보기 · 닫기 ]
종족선수선수종족
파일:저그아이콘.png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에인션트 시스턴크리스티안 슈체스니
Krystianer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바빌론
파일:저그아이콘.png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드래곤 스케일스파블로 블랑코
Cham
파일:저그아이콘.png
그레스번
파일:저그아이콘.png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바빌론이동녕
Leenock
파일:저그아이콘.png
로얄 블러드
파일:테란아이콘.png피오트르 발루키비치
Spirit
로얄 블러드파블로 블랑코
Cham
파일:저그아이콘.png
2라운드 진출결과탈락

6.2. 2라운드[편집]


2라운드
2월 17일 22시 00분
Alpha XKaiZi Gaming
[ 결과 보기 · 닫기 ]
종족선수선수종족
파일:저그아이콘.png신희범
RagnaroK
앨티튜드피오트르 발루키비치
Spirit
파일:테란아이콘.png
에인션트 시스턴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박한솔
Zoun
네오휴머니티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로얄 블러드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맥스 엔젤
Astrea
그레스번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드래곤 스케일스
파일:저그아이콘.png신희범
RagnaroK
바빌론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탈락결과3라운드 진출

6.3. 3라운드[편집]


3라운드
2월 18일 19시 00분
Shopify RebellionKaiZi Gaming
[ 결과 보기 · 닫기 ]
종족선수선수종족
파일:테란아이콘.png변현우
ByuN
에인션트 시스턴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그레스번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케빈 드 코닝
Harstem
드래곤 스케일스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네오휴머니티
파일:저그아이콘.png율리안 브로지히
Lambo
앨티튜드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에인션트 시스턴
파일:저그아이콘.png율리안 브로지히
Lambo
네오휴머니티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탈락결과준준결승 진출


6.4. 준준결승[편집]


준준결승
2월 18일 22시 00분
ONSYDE GamingKaiZi Gaming
[ 결과 보기 · 닫기 ]
종족선수선수종족
파일:테란아이콘.png조성주
Maru
그레스번피오트르 발루키비치
Spirit
파일:테란아이콘.png
로얄 블러드
파일:저그아이콘.png강민수
Solar
네오휴머니티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바빌론
파일:저그아이콘.png강민수
Solar
앨티튜드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그레스번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알렉스 선더하프트
Neeb
바빌론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에인션트 시스턴
파일:저그아이콘.png강민수
Solar
로얄 블러드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앨티튜드
에이스 결정전
파일:테란아이콘.png조성주
Maru
드래곤 스케일스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탈락결과준결승 진출

6.5. 준결승[편집]


준결승
2월 19일 19시 00분
PSISTORM GamingKaiZi Gaming
[ 결과 보기 · 닫기 ]
종족선수선수종족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맥스 C.
MaxPax
네오휴머니티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에인션트 시스턴
파일:테란아이콘.png고병재
GuMiho
앨티튜드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에인션트 시스턴
파일:테란아이콘.png고병재
GuMiho
그레스번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네오휴머니티
파일:테란아이콘.png후안 로페즈
SpeCial
로얄 블러드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에인션트 시스턴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맥스 C.
MaxPax
에인션트 시스턴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탈락결과결승 진출


6.6. 결승[편집]


결승
2월 19일 22시 00분
Dragon Phoenix GamingKaiZi Gaming
[ 결과 보기 · 닫기 ]
종족선수선수종족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김준호
herO
네오휴머니티피오트르 발루키비치
Spirit
파일:테란아이콘.png
바빌론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김준호
herO
그레스번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드래곤 스케일스
파일:테란아이콘.png김도욱
Cure
로얄 블러드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앨티튜드
파일:테란아이콘.png김도욱
Cure
에인션트 시스턴리페이난
Oliveira
파일:테란아이콘.png
바빌론
파일:테란아이콘.png김도욱
Cure
바빌론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저그아이콘.png
우승결과준우승


7. 결산[편집]


순위상금
우승¥ 80,000파일:DPG logo.jpg
Dragon Phoenix Gaming
준우승¥ 60,000파일:KaiZi_Gaming_logo1.png
KaiZi Gaming
3위¥ 40,000파일:PSISTORM_Gaming.png
PSISTORM Gaming
4위¥ 30,000파일:ONSYDE_Gaming_Logo_small.png
ONSYDE Gaming
5위¥ 20,000파일:Shopify Rebellion 아이콘.svg
Shopify Rebellion
6위¥ 16,000파일:Alpha_X_logo_dec_2020.png
Alpha X
7위¥ 14,000파일:Team_GP_logo.png
Team GP
8위¥ 12,000파일:Team_Liquid_2020.png
Team Liquid
9위¥ 10,000파일:GG_gaming_logo.jpg
Good Game Gaming
10위¥ 7,000파일:SSLT_Logo.png
SSLT
11위¥ 6,000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
Invictus Gaming
12위¥ 5,000파일:CranKy_Ducklings_2019_logo.png
CranKy Ducklings

정규시즌 통합 MVP정규시즌 테란 MVP정규시즌 저그 MVP정규시즌 프로토스 MVP포스트시즌 통합 MVP
파일:저그아이콘.png 박령우파일:테란아이콘.png 리페이난파일:저그아이콘.png 박령우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맥스 엔젤파일:테란아이콘.png 김도욱

정규시즌 다승왕 순위
순위선수승률
1위박령우
Dark
18290%
2위변현우
ByuN
578%
3위맥스 엔젤
Astrea
17676%
4위조성주
Maru
16480%
5위강민수
Solar
770%
6위김준호
herO
15575%
맥스 C.
MaxPax
8위리페이난
Oliveira
865%
9위클레망 데플란케
Clem
1158%
10위쉐타오
Firefly
141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2:53:50에 나무위키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0, 5-1, 4-2 승[2] 4-3 승[3] 3-4 패[4] 0-6, 1-5, 2-4 패[5] 에이스로 출전한 선수는 볼드체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