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A Conflict/부품/약탈자 무기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VEGA Conflict/부품

1. 개요
2. 보이드 무기
2.1. 보이드 진동 캐논
2.2. 보이드 폭격 격퇴포
2.3. 보이드 이클립스 드라이버
2.4. 보이드 트윈파이어 레이저
2.5. 보이드 시커 미사일
2.6. 보이드 리디머 미사일
2.7. 보이드 엡실론 ECHO 캐논
2.8. 보이드 Sai 미사일
2.9. 보이드 랜서 드라이버
2.10. 보이드 서지 레이저
2.11. 보이드 사이클로트론 레이저
2.12. 보이드 넷 파열 격퇴포
2.13. 보이드 노바 캐논
2.14. 보이드 노바 미사일
2.15. 보이드 하보크 캐논




1. 개요[편집]


약탈자 세력의 무기를 설명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보이드 속성 밖에 없으며 함선, 무기, 장갑, 특수부품 모두 기존 세력들의 부품을 보이드 속성으로만 바꾼 것 뿐이고 설명에서도 기존 부품을 약탈해 개조했다고 나온다. 그렇기에 원형이 되는 함선과 부품이 티어가 맞지 않아 장착이 불가능했던 것이 약탈자에서는 가능하다. 그래서 한때 서프레서가 원형인 타이런트에 스커지 연료(사거리 +50%)와 보이드 리디머 미사일을 달고 뉴비 올드비 가릴 것 없이 학살을 하고 다녔던 미친 조합도 나오곤 했다.[1]

모든 NPC 함대는 보이드 속성에 저항을 가지고 있는데, 저항이 매우 강하므로 파밍할 때 약탈자 함대를 챙기고 가는 헛수고는 하지 말자. 모든 약탈자 무기는 기존의 원형이 되는 무기들의 대미지보다 높다.


2. 보이드 무기[편집]



2.1. 보이드 진동 캐논[편집]


단계[2] 파일:PulseCannon3-VO.png
중량1,536톤
DPS298 파일:Vo.png
사거리0~3,250m
탄속5,000m/s
확산력5도
관통량2
제한순양함 / 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5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9,105,988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6,823,566
진동 캐논의 보이드 버전. 버서커, 불한당 순양함만 장착 가능하며 DPS는 298로 제노 진동 캐논Ⅰ(DPS:278) 보다 더 높다. 게다가 보이드 속성이라 약탈자 함선을 제외한 모든 함선의 속성 저항을 무시하는 것도 덤. 일반 진동 캐논과 같이 관통 효과도 보장되어 있어 DPS도 2배 올릴 수 있다. 거기에다 약탈자 전용 특수 부품인 보이드 이온화 부품으로 사정거리, 방어막 피해 증가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그러나 NPC 함선[3]들에겐 보이드 저항이 적용되어 있고, 저항력이 꽤 높으므로 파밍에 쓰기는 힘들다. 약탈자 세력을 제외한 보이드 속성 저항이 없는 다른 함선들을 공격하기 위한 PvP 대용으로 쓰기도 한다.


2.2. 보이드 폭격 격퇴포[편집]


단계V 파일:BombardmentTorpedo3-VO.png
중량2,725톤
DPS353 파일:Vo.png
사거리1,000m~4,000m
탄속2,000m/s
확산력10도
교전 반경500m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5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9,105,988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6,823,566
약탈자 버전의 폭격 격퇴포. 기존보다 DPS가 더 강력해졌다. 약탈자 특수부품인 보이드 탄두를 조합하면 많이 늘어나는 교전 반경을 볼 수 있다. 기본 교전 반경이 넓으므로 비행 중대 제거에 탁월하고 최소 사거리가 작어 카이팅에 잘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넓은 확산각으로 모여있는 함선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다만 기존의 폭격 격퇴포처럼 똑같은 단점이 존재하는데, 단일 목표 대상 공격에 취약하다는 것. 넓은 확산각 때문에 포탄을 함선에 맞추기도 힘들다는 것이다. 발사 패턴도 한꺼번에 발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순서대로 발사하는 형식이라 체감 DPS는 작은 편이다.


2.3. 보이드 이클립스 드라이버[편집]


단계V 파일:EclipseDriver4-VO.png
중량3,398톤
DPS444 파일:Vo.png
사거리1,000m~5,250m
발사체 사정거리6,030m
탄속2,250m/s
방어막 우회+20%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5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9,887,597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5,682,170
약탈자 버전의 이클립스 드라이버. 전용 특수부품인 보이드 페이징 자성체를 달면 3티어 기준으로 무기 속도가 4,050m/s나 되어 제노 이클립스 드라이버보다 더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된다. 기존 이클립스 드라이버처럼 함선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면서 사격하고 드라이버 무기인데도 불구하고 적을 잘 맞추는 편이다. 사거리도 길고 최소 사거리도 짧은 편이라 카이팅에 잘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무게가 3,398톤으로 마크업을 좀 해야 장착할 수 있고 이것은 무기 질량 감소가 적용되는 전함과 공성에 적절한 구축함에 한정되며, NPC 함대는 보이드에 강력한 저항을 지녀서 PvP 외에는 쓸모없는 부품이다.


2.4. 보이드 트윈파이어 레이저[편집]


단계V 파일:TwinfireBeam4-VO.png
중량2,659톤
DPS383 파일:Vo.png
사거리0~3,000m
탄속3,000m/s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5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22,449,536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6,705,706
보이드 버전의 트윈파이어 레이저. 기존보다 DPS가 더 흉악해졌고 선딜이 필요한 레이저 특성상 빠르게 돌진할 수 있는 쾌속정에게 어울리는 부품이다. 전용 특수부품인 보이드 이온화 부품을 붙이면 사정거리 증가+방어막 피해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기존 트윈파이어 레이저와 함께 부각되는 단점이 있는데, 사거리가 짧고 레이저의 선딜 때문에 쾌속정이 아니라면 피해를 주기 힘들다는 것. 보이드 이온화 3티어 부품을 붙이면 무기 사정거리는 4,500m가 되니 사정거리가 짧은 편은 아니지만 그보다 더 높은 사거리를 가진 무기들이 많아 결코 길다고는 할 수 없다. 정 쓰고 싶다면 라바저 쾌속정에 보이드 트윈파이어 레이저를 달아보자.


2.5. 보이드 시커 미사일[편집]


단계파일:SeekerMissile7-VO.png
중량1,453톤
DPS284 파일:Vo.png
사거리0~3,500m
탄속2,500m/s
교전 반경50m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5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2,555,715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4,484,183
보이드 버전의 시커 미사일. 중량 효율이 뛰어나고 DPS도 늘어났기에 대 비행 중대 함선인 타이런트가 주로 쓰는 부품이다.[4] 함선보다는 비행 중대를 상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기로 타이런트가 이걸 달면 웬만한 비행 중대는 상대할 수 있다.

하지맘 DPS가 낮고 교전반경이 작기 때문에 비행 중대 제거용 외에는 거의 쓸모가 없다. 함대 PvP에도 쓰이는 일이 거의 없으니 기지전이 아니라면 별로 쓰일 일이 없다.


2.6. 보이드 리디머 미사일[편집]


단계V 파일:RedeemerMissile4-VO.png
중량2,866톤
DPS322 파일:Vo.png
사거리2,500~4,600m
탄속2,500m/s
확산력8도
교전 반경350m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5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21,835,414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9,552,994
보이드 버전의 리디머 미사일. 기존 리디머 미사일과 똑같이 유도 기능이 있다. 기존보다 특수부품(스커지 연료, 보이드 탄두 등)의 버프를 많이 받는지라 제노 리디머 미사일보다 쓸만하다. Sai 미사일처럼 3갈래로 퍼져서 공격을 하는데, 만일 미사일을 적에 명중시키지 못한다면 2차 공격을 시도한다.[5] 2차 공격에서 나온 미사일은 최소 3,000m의 거리를 이동하며, 대부분 명중시킬 수 있기에 파마콘 함선이 아니라면 거의 100% 딜을 가할 수 있다. 장착하고 싶다면 타이런트에 스커지 연료+보이드 리디머 미사일 조합으로 적 함선에 짤짤이를 넣어보자.

하지만 최소 사정거리가 2,500m로 꽤 넓은 편인데, 달려오는 쾌속정이나 비행 중대를 상대하기에는 부적절한 무기다. 카이팅 당하기 쉬우며, 보이드 리디머 미사일과 다른 약탈자 무기를 섞어 단점을 보완하는 것도 좋다.


2.7. 보이드 엡실론 ECHO 캐논[편집]


단계파일:EpsilonECHOCannon1-VO.png파일:EpsilonECHOCannon2-VO.png파일:EpsilonECHOCannon3-VO.png
중량1,751톤2,048톤2,447톤
DPS285 파일:Vo.png356 파일:Vo.png428 파일:Vo.png
최대 연속 DPS742 파일:Vo.png1,005 파일:Vo.png1,251 파일:Vo.png
연속579
사거리0~3,500m
탄속3,000m/s
제한순양함 / 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4시간 48분9시간 36분14시간 2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6,014,20620,984,13225,954,058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10,277,77413,467,42816,657,082
엡실론 ECHO 캐논의 보이드 버전. 3티어 무기는 작업장에서 조각을 모아서 만들어야 한다. 공격 패턴과 무기 특성은 기존의 엡실론 ECHO 캐논과 똑같지만 DPS가 더 강력해졌다. 캐논 사정거리 증가 보정이 있는 불한당 순양함에게 어울리는 무기. 사정거리는 3,500m로 짧지만 특수부품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다. 티어가 오를수록 연속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높은 티어의 무기를 달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연속 무기 특성상 탄환이 함선을 튕길수록 DPS가 점점 줄어들고, 연속 카운터가 있는 함선들은 연속 횟수 자체를 경감시키는지라 다용도로 쓰기에는 제약이 있다.


2.8. 보이드 Sai 미사일[편집]


단계파일:VoidSaiMissile1.png파일:voidSaiMissile2.png파일:VoidSaiMissile3.png파일:VoidSaiMissile4.png
중량1,724톤2,135톤2,534톤3,710톤
DPS253 파일:Vo.png315 파일:Vo.png379 파일:Vo.png506 파일:Vo.png
관통량3579
사거리2,750~4,750m
탄속1,900m/s
확산력12도
교전 반경450m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7시간 30분11시간 15분16시간 12분1일 4시간 48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1,538,80016,154,32020,769,84025,385,360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4,121,0005,769,4007,417,8009,066,200
Sai 미사일의 보이드 버전. 장착 제한이 약탈자 함선 뿐인걸 제외하면 기존 Sai 미사일과 특징이 같다. 교전 반경과 무기 속도가 증가하는 킹핀 전함에 어울리는 부품이다. 킹핀 전함에 이걸 달면 미사일 속도 +25%, 내구력 피해 +25%가 적용되니 그만큼 이득이다.[6]

기존 Sai 미사일과 단점을 공유하는데, 탄이 3갈래로 퍼져서 맞추기는 쉽지만 그만큼 DPS는 줄어든다는 것이다. 제노 Sai 미사일은 제노 탄약 부품으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이쪽은 미사일의 확산력을 줄여줄 수 있는 특수부품이 없다. PvP에서는 함선들이 서로 뭉쳐있는 경우가 드물어서 DPS를 제대로 못 주는 경우도 생긴다.

그러나 탄이 3갈래로 퍼지는 것을 뒤집어서 보면, 미사일이 3갈래로 퍼져서 적이 탄을 피하기 힘들다는 것도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제로 보이드 Sai 미사일은 탄당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사격하는 게 아니라 약간 불규칙하게 벌어지면서 사격한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적 함선에 짤짤이를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9. 보이드 랜서 드라이버[편집]


단계파일:LancerDriver1-VO.png파일:LancerDriver2-VO.png파일:LancerDriver3-VO.png파일:LancerDriver4-VO.png
중량2,526톤3,128톤3,482톤5,096톤
DPS283 파일:Vo.png354 파일:Vo.png424 파일:Vo.png567 파일:Vo.png
관통량2
사거리3,000~5,200m
발사체 사정거리6,500m
탄속1,100m/s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7시간 30분11시간 15분16시간 12분1일 4시간 48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1,538,80016,500,48421,462,16826,423,852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3,296,8004,714,4246,132,0487,549,672
랜서 드라이버의 보이드 버전. 기존 랜서 드라이버와 다를 게 없지만 DPS가 더 강력해진데다 전용 특수부품이 강력해서 기존의 랜서 드라이버보다 더 많이 쓰인다. 약탈자 특수부품 중에 플럭스 코일이라는 부품이 있는데 발사체 사정거리를 늘리는 동시에 무기 속도, 방어막 우회력을 제공해주는 혜자 부품이다.[7]

하지만 탄속이 1,100m/s로 느리며 특수부품을 장착해도 최대 3,000m/s의 속도가 나온다. 3,000m/s가 느린 속도는 아니지만 그보다 탄속이 더 빠른 드라이버 무기들을 비교하면 결코 높지는 않다. 적을 명중시키기 힘들기 때문에 기지전에 좋은 부품이다.


2.10. 보이드 서지 레이저[편집]


단계파일:Surgebeam1-VO.png파일:Surgebeam2-VO.png파일:Surgebeam3-VO.png파일:Surgebeam4-VO.png
DPS300 파일:Vo.png375 파일:Vo.png450 파일:Vo.png601 파일:Vo.png
중량1,686톤2,303톤2,509톤3,821톤
사거리0~2,000m
탄속3,000m/s
과충전 DPS+5%
최대 과충전 DPS+10%
과충전 시간2초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7시간 30분11시간 15분16시간 12분1일 4시간 48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8,404,38616,500,48424,116,09229,827,798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10,384,92015,058,13419,731,34824,404,562
보이드 버전의 서지 레이저. 특징 역시 기존의 서지 레이저와 같으며 4티어는 DPS가 601이므로 사이클로트론 레이저 만큼의 딜을 자랑한다. 이 역시 추가 과충전 시간을 제공해주는 암살 쾌속정에게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과충전 시스템도 이 무기의 효율을 높여주는데, DPS뿐만 아니라 레이저가 끊기지 않는 한 과충전 시간이 많아서 몇초간 상대를 공격할 수 있다. 다만 사거리가 짧아서 기습이나 맹공격에 적합한 쾌속정에 유리하다.


2.11. 보이드 사이클로트론 레이저[편집]


단계파일:Cyclotronbeam1-VO.png파일:Cyclotronbeam2-VO.png파일:Cyclotronbeam3-VO.png
DPS690 파일:Vo.png761 파일:Vo.png830 파일:Vo.png
중량2,393톤3,112톤5,793톤
사거리0~8,000m
탄속3,000m/s
과충전 DPS+25%
최대 과충전 DPS+50%
과충전 시간5초
제한항공모함 / 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12시간 34분 48초21시간 54분1일 2시간
헬륨-3 파일:VCHelium-3.png33,462,52043,847,44054,232,360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15,058,13419,731,34824,404,562


2.12. 보이드 넷 파열 격퇴포[편집]


단계파일:NETburstTorpedo1-VO.png파일:NETburstTorpedo2-VO.png파일:NETburstTorpedo3-VO.png파일:NETburstTorpedo4-VO.png
DPS74 파일:Vo.png87 파일:Vo.png92 파일:Vo.png121 파일:Vo.png
중량1,320톤1,806톤1,914톤2,915톤
사거리2,500~4,500m
발사체 사정거리3,000m[8]
탄속1,900m/s
교전 반경600m
확산력8도
감속 시간5초
감속률15%30%45%60%
관통량3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3시간 36분7시간 12분10시간 48분14시간 2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2,692,22517,769,11522,846,00527,922,895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9,972,46313,961,44817,950,43321,939,419


2.13. 보이드 노바 캐논[편집]


단계파일:NovaCannon1-VO.png파일:NovaCannon2-VO.png파일:NovaCannon3-VO.png
DPS292 파일:Vo.png366 파일:Vo.png438 파일:Vo.png
중량1,795톤2,099톤2,509톤
사거리0~3,300m
탄속4,000m/s
제한순양함 / 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4시간 48분9시간 36분14시간 2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2,692,22518,403,72624,115,228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4,532,9386,572,7608,612,582


2.14. 보이드 노바 미사일[편집]


단계파일:NovaMissile1-VO.png파일:NovaMissile2-VO.png파일:NovaMissile3-VO.png파일:NovaMissile4-VO.png
중량1,860톤2,304톤2,735톤4,001톤
DPS273 파일:Vo.png340 파일:Vo.png409 파일:Vo.png545 파일:Vo.png
사거리2,750~4,750m
탄속1,900m/s
확산력5도
교전 반경450m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4시간 30분6시간 45분9시간 34분 12초17시간 16분 48초
헬륨-3 파일:VCHelium-3.png12,692,22517,769,11522,846,00527,922,895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4,532,9386,346,1138,159,2889,972,464


2.15. 보이드 하보크 캐논[편집]


단계파일:HavocCannon1-VO.png파일:HavocCannon2-VO.png파일:HavocCannon3-VO.png파일:HavocCannon4-VO.png
중량1,885톤2,304톤2,735톤4,001톤
DPS307 파일:Vo.png384 파일:Vo.png460 파일:Vo.png767 파일:Vo.png
사거리0~3,000m
탄속2,500m/s
관통량2346
제한약탈자
장착 파일:ModuleRefit.png
장착시간 파일:Timevegaconflict.png3시간 45분5시간 33분8시간 6분14시간 24분
헬륨-3 파일:VCHelium-3.png13,236,17819,192,45825,148,73831,105,018
반물질 파일:Antimatter(1).png7,071,38310,253,50513,435,62816,617,750

[1] 스커지 연료의 원형인 피에리안 연료는 A.X.I.S 전문가 함선인 페가수스에만 달린다. 하지만 타이런트는 공격 범위가 360도 전 범위인데다 함선 속도마저 빨라 도망가면서 공격이 가능했던 것.[2] 특이하게도 티어 4 부품만 존재하며, 몇몇 약탈자 무기들은 무기 단계 순서 없이 무기 한 종류만 존재하거나 기존 세력의 최고 티어 무기 부품보다 한 단계 더 높다.[3] 플레이어 함대를 제외한, AI에 의해 조종되며 처치 시 여러 보상을 드롭하는 함대.[4] 다만 타이런트는 부품 티어 제한이 없는 약탈자 특성상 스커지 연료+보이드 리디머 미사일 조합을 더 많이 쓰는 편이다.[5] 미사일이 폭발한 자리에 미사일이 하나 더 생기고 유도 특성이 있다.[6] 보이드 노바 미사일도 적용이 되지만 관통량 옵션이 없기 때문에 보이드 Sai 미사일을 장착하는 것을 추천한다.[7] 방어 우회 솔레노이드+탄도 축사기라 생각하면 된다. 플럭스 코일의 방어 우회 증가는 솔레노이드보다 낮지만 발사체 사정거리를 엄청나게 늘려준다. 무기 사거리도 별로 깎아먹지 않는다.[8] 사실상 보이드 넷 파열 격퇴포가 착탄 지점에서 3갈래로 갈라지면서 공격하니 3,000m가 맞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VEGA Conflict/부품 문서의 r3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VEGA Conflict/부품 문서의 r3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05:41:44에 나무위키 VEGA Conflict/부품/약탈자 무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