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2/디스코그래피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U2




1. 정규 앨범
1.1. Boy (1980)
1.2. October (1981)
1.3. War (1983)
1.6. Rattle and Hum (1988)
1.8. Zooropa (1993)
1.9. Pop (1997)
1.12. No Line on the Horizon (2009)
1.13. Songs of Innocence (2014)
1.14. Songs of Experience (2017)
2. 컴필레이션 앨범
2.1. The Best of 1980–1990 (1998)
2.2. The Best of 1990–2000 (2002)
2.3. U218 Singles (2006)
3. 싱글
3.1. 빌보드차트 성적



1. 정규 앨범[편집]



1.1. Boy (1980)[편집]


파일:U2 1집.jpg
Boy
(1980.10.20)
미국1,000,000+ (Platinum)
영국100,000+ (Gold)
캐나다100,000+ (Platinum)
프랑스100,000+ (Gold)
호주35,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oy(U2)#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October (1981)[편집]


파일:U2 2집.jpg
October
(1981.10.12)
미국1,000,000+ (Platinum)
영국300,000+ (Platinum)
프랑스100,000+ (Gold)
호주35,000+ (Gold)
수록곡

  1. Gloria
  2. I Fall Down
  3. I Threw a Brick Through a Window
  4. Rejoice
  5. Fire
  6. Tomorrow
  7. October
  8. With a Shout (Jerusalem)
  9. Stranger in a Strange Land
  10. Scarlet
  11. Is That All?

두 번째 앨범. U2의 앨범들 중에서는 가장 덜 알려진 앨범으로 평은 그럭저럭 받은 편. 다만 NME에서는 보노의 목소리가 애처롭다며 까기도 했다. 그러나 싱글 Gloria로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 앨범을 시작으로 밴드는 라이브 퍼포먼스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전세계 판매량은 200만 장 정도.


1.3. War (1983)[편집]


파일:U2 3집.jpg
War
(1983.02.28)
미국4,000,000+ (4× Platinum)
영국600,000+ (2× Platinum)
호주140,000+ (2× Platinum)
캐나다300,000+ (3× Platinum)
프랑스600,000+ (2× Platinum)
벨기에50,000+ (Platinum)
뉴질랜드15,000+ (Platinum)
독일250,000+ (Gold)
네덜란드50,000+ (Gold)
스페인50,000+ (Gold)
스위스25,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War(음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The Unforgettable Fire (1984)[편집]


파일:U2 4집.jpg
The Unforgettable Fire
(1984.10.01)
미국3,000,000+ (3× Platinum)
영국600,000+ (2× Platinum)
캐나다300,000+ (3× Platinum)
뉴질랜드15,000+ (Platinum)
프랑스100,000+ (Gold)
네덜란드50,000+ (Gold)
스위스25,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The Unforgettable Fir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The Joshua Tree (1987)[편집]


파일:U2 5집.jpg
The Joshua Tree
(1987.03.09)
미국10,000,000+ (Diamond)
영국2,880,000+ (9× Platinum)
캐나다1,000,000+ (Diamond)
호주350,000+ (5× Platinum)
프랑스600,000+ (2× Platinum)
아르헨티나60,000+ (Platinum)
뉴질랜드210,000+ (14× Platinum)
스페인300,000+ (3× Platinum)
독일1,000,000+ (2× Platinum)
네덜란드100,000+ (Platinum)
스웨덴100,000+ (Platinum)
덴마크80,000+ (Platinum)
스위스50,000+ (Platinum)
홍콩20,000+ (Platinum)
오스트리아75,000+ (3× Gold)
멕시코100,000+ (Gold)
핀란드27,965 (Gold)
노르웨이25,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The Joshua Tre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Rattle and Hum (1988)[편집]


파일:U2 6집.jpg
Rattle and Hum
(1988.10.10)
미국5,000,000+ (5× Platinum)
영국1,200,000+ (4× Platinum)
캐나다700,000+ (7× Platinum)
호주490,000+ (7× Platinum)
프랑스300,000+ (Platinum)
뉴질랜드15,000+ (Platinum)
스페인100,000+ (Platinum)
독일500,000+ (Platinum)
네덜란드100,000+ (Platinum)
스위스100,000+ (2× Platinum)
포르투갈40,000+ (Platinum)
스웨덴50,000+ (Gold)
덴마크50,000+ (Gold)
아르헨티나30,000+ (Gold)
홍콩10,000+ (Gold)
브라질100,000+ (Gold)
핀란드28,632 (Gold)
노르웨이25,000+ (Gold)

수록곡(라이브 트랙은 진한 글씨로 표기)

  1. Helter Skelter[1]
  2. Van Diemen's Land
  3. Desire
  4. Hawkmoon 269
  5. All Along the Watchtower[2]
  6.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with The New Voices of Freedom)
  7. Freedom for My People[3]
  8. Silver and Gold
  9. Pride (In the Name of Love)
  10. Angel of Harlem
  11. Love Rescue Me (with 밥 딜런)
  12. When Love Comes to Town (with 비비 킹)
  13. Heartland
  14. God Part II 번역
  15. The Star Spangled Banner [4]
  16. Bullet the Blue Sky
  17. All I Want Is You

여섯 번째 앨범. The Joshua Tree 앨범 발매 뒤 투어를 다니며 한 공연 일부와 스튜디오 녹음을 섞어 발매한 앨범으로 풀 스튜디오 앨범인 다른 앨범들과는 다소 동떨어진 성격의 앨범이다. 동명의 흑백 다큐멘터리가 함께 발매되기도 했다. 보노의 전성기 시절 카랑카랑하고 시원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멜빵 배바지는 덤.

이 앨범에서 대표곡을 꼽는다면 단연 All I Want Is You를 꼽을 수 있다. 잔잔한 초반 전개와 중반부의 샤우팅과 기타 솔로, 그리고 후반의 장엄한 현악 연주까지 매우 잘 짜여진 곡으로 평가받는다. 그 외에 Desire, Angel of Harlem도 꽤 유명하다.

The Joshua Tree 앨범의 성공 덕분에 이 앨범 역시 1500만 장이라는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1.7. Achtung Baby (1991)[편집]


파일:U2 7집.jpg
Achtung Baby
(1991.11.18)
미국8,000,000+ (8× Platinum)
영국1,200,000+ (4× Platinum)
캐나다1,000,000+ (Diamond)
호주350,000+ (5× Platinum)
프랑스600,000+ (2× Platinum)
뉴질랜드75,000+ (5× Platinum)
스페인100,000+ (Platinum)
독일500,000+ (Platinum)
네덜란드100,000+ (Platinum)
스웨덴100,000+ (Platinum)
덴마크40,000+ (2× Platinum)
아르헨티나60,000+ (Platinum)
오스트리아50,000+ (Platinum)
노르웨이50,000+ (Platinum)
일본100,000+ (Gold)
브라질100,000+ (Gold)
이탈리아25,000+ (Gold)
스위스25,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chtung Baby#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Zooropa (1993)[편집]


파일:U2 8집.jpg

(1993.07.05)
미국2,000,000+ (2× Platinum)
영국300,000+ (Platinum)
캐나다400,000+ (4× Platinum)
호주210,000+ (3× Platinum)
프랑스300,000+ (Platinum)
뉴질랜드60,000+ (4× Platinum)
스페인100,000+ (Platinum)
독일250,000+ (Gold)
스웨덴50,000+ (Gold)
아르헨티나60,000+ (Platinum)
일본100,000+ (Gold)
오스트리아25,000+ (Gold)
노르웨이25,000+ (Gold)
브라질100,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Zooropa#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Pop (1997)[편집]


파일:U2 9집.jpg
Pop
(1997.03.03)
미국1,500,000+ (Platinum)
영국300,000+ (Platinum)
캐나다300,000+ (3× Platinum)
이탈리아300,000+ (3× Platinum)
프랑스300,000+ (Platinum)
일본200,000+ (Platinum)
스페인100,000+ (Platinum)
호주70,000+ (Platinum)
스위스50,000+ (Platinum)
아르헨티나60,000+ (Platinum)
벨기에50,000+ (Platinum)
오스트리아50,000+ (Platinum)
노르웨이50,000+ (Platinum)
뉴질랜드30,000+ (2× Platinum)
홍콩20,000+ (Platinum)
독일250,000+ (Gold)
브라질100,000+ (Gold)
네덜란드50,000+ (Gold)
폴란드50,000+ (Gold)
스웨덴40,000+ (Gold)
핀란드32,952 (Gold)

수록곡

  1. Discothèque
  2. Do You Feel Loved
  3. Mofo
  4. If God Will Send His Angels
  5. Staring at the Sun
  6. Last Night on Earth
  7. Gone
  8. Miami
  9. The Playboy Mansion
  10. If You Wear That Velvet Dress
  11. Please
  12. Wake Up Dead Man
  13. Holy Joe[5]

아홉 번째 앨범. Zooropa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실험적 요소를 가미한 앨범이다. Zooropa 때부터 슬슬 브라이언 이노와 거리를 두더니 이번엔 아예 이노와 결별했다. 앨범을 준비하던 무렵 드러머 래리가 허리 부상을 겪었고 이는 앨범 색깔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발매 전부터 큰 관심을 얻어 발매 직후 35개국 차트에서 1위를 했지만 이후 판매량은 좋지 못했다. 평단의 반응도 엇갈렸으나 호평이 비교적 많았다. 하지만 팬들의 반응은 호와 불호가 어느정도 균형을 이루던 Zooropa에 비해 이번에는 불호쪽으로 꽤나 쏠렸으며 결국 실험은 이 앨범에서 끝난다. Zooropa와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는 곡은 없지만 시티 오브 엔젤의 OST로 쓰인 If God Will Send His Angels가 그나마 유명한 편.


1.10.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2000)[편집]


파일:U2 10집.jpg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2000.10.30)
미국4,400,000+ (4× Platinum)
영국1,200,000+ (4× Platinum)
캐나다500,000+ (5× Platinum)
호주350,000+ (5× Platinum)
프랑스550,000+ (Platinum)
뉴질랜드45,000+ (3× Platinum)
스페인300,000+ (3× Platinum)
네덜란드160,000+ (2× Platinum)
남아공150,000+ (3× Platinum)
멕시코150,000+ (Platinum)
스웨덴80,000+ (Platinum)
덴마크100,000+ (2× Platinum)
벨기에100,000+ (Platinum)
아르헨티나60,000+ (Platinum)
오스트리아50,000+ (Platinum)
노르웨이50,000+ (Platinum)
일본200,000+ (Platinum)
브라질250,000+ (Platinum)
스위스100,000+ (Platinum)
독일450,000+ (3× Gold)
폴란드50,000+ (Gold)
핀란드27,312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2004)[편집]


파일:U2 11집.jpg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2004.11.22)
미국3,300,000+ (3× Platinum)
영국1,200,000+ (4× Platinum)
캐나다500,000+ (5× Platinum)
호주280,000+ (4× Platinum)
프랑스300,000+ (Platinum)
브라질250,000+ (2× Platinum)
일본250,000+ (Platinum)
스페인200,000+ (2× Platinum)
아일랜드150,000+ (10× Platinum)
포르투갈120,000+ (3× Platinum)
아르헨티나120,000+ (3× Platinum)
멕시코100,000+ (Platinum)
스웨덴60,000+ (Platinum)
덴마크80,000+ (4× Platinum)
벨기에50,000+ (Platinum)
뉴질랜드45,000+ (3× Platinum)
오스트리아30,000+ (Platinum)
그리스20,000+ (Platinum)
독일300,000+ (3× Gold)
네덜란드40,000+ (Gold)
폴란드20,000+ (Gold)
핀란드21,348 (Gold)
러시아10,000+ (Gold)
헝가리10,000+ (Go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No Line on the Horizon (2009)[편집]


파일:U2 12집.jpg
No Line on the Horizon
(2009.02.27)
미국1,200,000+ (Platinum)
영국300,000+ (Platinum)
이탈리아210,000+ (3× Platinum)
독일200,000+ (Platinum)
캐나다160,000+ (2× Platinum)
네덜란드120,000+ (2× Platinum)
호주70,000+ (Platinum)
브라질60,000+ (Platinum)
스페인80,000+ (Platinum)
아일랜드60,000+ (4× Platinum)
스웨덴40,000+ (Platinum)
덴마크60,000+ (2× Platinum)
벨기에30,000+ (Platinum)
스위스30,000+ (Platinum)
러시아20,000+ (Platinum)
포르투갈20,000+ (Platinum)
뉴질랜드15,000+ (Platinum)
그리스15,000+ (Platinum)
헝가리6,000+ (Platinum)
GCC3,000+ (Platinum)
일본100,000+ (Gold)
멕시코40,000+ (Gold)
아르헨티나20,000+ (Gold)
핀란드17,019 (Gold)

수록곡

  1. No Line on the Horizon
  2. Magnificent
  3. Moment of Surrender
  4. Unknown Caller
  5. I'll Go Crazy If I Don't Go Crazy Tonight
  6. Get on Your Boots
  7. Stand Up Comedy
  8. Fez – Being Born
  9. White as Snow
  10. Breathe
  11. Cedars of Lebanon
  12. No Line on the Horizon 2[6]

열두 번째 앨범. 앨범 발매 전, 보노는 U2가 가진 정체성이 각자 다른 두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경계'이며 그 사이를 오고 가는 앨범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브라이언 이노(Brian Eno)와 함께 프로듀싱을 맡은 다니엘 라노이스(Daniel Lanois)는 인터뷰를 통해 이번 신보가 <Achtung Baby> 풍의 음악을 담을 것이며, '혁신적인' 앨범이 될 것이라 밝혔다. 그렇게 첫번째 싱글로 발표된 곡 Get On Your Boots는 랩이 가미된 퍼즈톤의 하드-얼터너티브 록 장르로, 그 주장을 충분히 뒷받침했다.

지난 두 앨범들의 스타일을 이어가면서 약간의 실험성을 가미한 앨범이다. 평가가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대표곡인 Moment of Surrender는 느리고 투박하면서도 장엄한 대곡으로 롤링 스톤에게서 극찬을 받았다.[7] 또한 팬들에게는 No Line on the Horizon과 Magnificent도 괜찮은 반응을 얻고 있지만, 전작들에 비하면 현저히 떨어지는 대중적 성과를 거뒀다. 물론 빌보드 1위는 찍었다.

전체적으로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까지의 U2 음악의 완성형 노선에서 다시 궤도를 이탈시켜 이미 '전설'의 위상에 오른 밴드가 음악적 도전을 멈추지 않은 값진 시도의 앨범으로 평가되었다. 롤링 스톤은 2000년대 앨범 중 36위에 랭크시키며 '10년 동안 얻게된 새로운 초점으로 현기증나는 열린 마음의 앨범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1.13. Songs of Innocence (2014)[편집]


파일:U2 13집.jpg
Songs of Innocence
(2014.09.09)
영국60,000+ (Silver)
이탈리아100,000+ (2× Platinum)
폴란드40,000+ (2× Platinum)
네덜란드40,000+ (Platinum)
오스트리아15,000+ (Platinum)
싱가포르10,000+ (Platinum)
브라질20,000+ (Gold)
스페인20,000+ (Gold)
포르투갈7,500+ (Gold)

수록곡

  1. The Miracle (of Joey Ramone)
  2. Every Breaking Wave
  3. California (There Is No End to Love)
  4. Song for Someone
  5. Iris (Hold Me Close)
  6. Volcano
  7. Raised by Wolves
  8. Cedarwood Road
  9. Sleep Like a Baby Tonight
  10. This Is Where You Can Reach Me Now
  11. The Troubles

한국시각으로 2014년 9월 10일에 있었던 아이폰 6 공개행사에 나와서 10월 13일 까지 아이튠즈를 통해서만 무료배포를 하겠다는 대인배적인 발언을 하였다.대신 애플이 U2에 음악 사용료로 1억불을 지불했다고 했다.챙길건 다 챙기자 다만 공개 시 받았던 스포트라이트에 비하면 음악적으로는 그리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 못하다. 게다가 아이폰 유저들의 아이튠즈에 강매를 해버리는 베포 방식이 U2에 관심없는 사람들에게 크나큰 분노를 안겨주었다 (...)

아이튠즈 기준으로 앨범커버가 위처럼 바뀌었다.[8]





1.14. Songs of Experience (2017)[편집]


빌보드 200 역대 1위 앨범
reputation
Taylor Swift
Songs of Experience
Various Artists
What Makes You Country
Luke Bryan

파일:U2 14집.jpg
Songs of Experience
(2017.12.01)
영국100,000+ (Gold)
이탈리아100,000+ (2× Platinum)
프랑스100,000+ (Platinum)
독일100,000+ (Gold)
캐나다40,000+ (Gold)
스페인20,000+ (Gold)
덴마크10,000+ (Gold)
폴란드10,000+ (Gold)
벨기에10,000+ (Gold)
포르투갈7,500+ (Gold)
오스트리아7,500+ (Gold)

2017년 8월 31일, 'The Blackout'라는 곡을 선공개하였고, 1주일 후에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라는 곡을 싱글로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선공개된 The Blackout는 음원 버전이 아닌 라이브 버전이었고, 페이스북 라이브로 공개가 되었다.

2017년 9월 6일,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 싱글이 발매되었다. 보노의 아들과 디 에지의 딸이 앨범 커버의 모델이 되었다. 이후 한동안 신곡이나 싱글에 대한 소식이 뜸하다가 The Joshua Tree 투어가 끝나자 마자 앨범의 발매 날짜와 투어 일정을 발표했다. 동시에 'Get Out Of Your Own Way '도 싱글로 발매되었다. 발매일은 12월 1일.

차트 성적은 전작보다 훨씬 좋아졌다. 빌보드 1위를 차지하였다. 반면 평단의 평가는 전작만큼 나쁘다. 원숙한 밴드가 애들이나 들을 팝송을 내놨다며 신나게 까이는 중(...)

수록곡
  1. Love Is All We Have Left
  2. Lights of Home
  3.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
  4. Get Out of Your Own Way
  5. American Soul
  6. Summer of love
  7. Red Flag Day
  8. The Showman (Little More Better)
  9. The Little Things That Give You Away
  10. Landlady
  11. The Blackout
  12. Love Is Bigger Than Anything in Its Way
  13. 13 (There is a Light)

디럭스 버전에서는 다음의 보너스 트랙이 딸려온다
  1. #14 Ordinary Love (Extraordinary Mix)
  2. Book Of Your Heart
  3. Lights of Home (St Peter's String Version)
  4.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 (U2 vs Kygo)


2. 컴필레이션 앨범[편집]



2.1. The Best of 1980–1990 (1998)[편집]



2.2. The Best of 1990–2000 (2002)[편집]



2.3. U218 Singles (2006)[편집]


파일:U218 Singles.jpg

수록곡
  1. Beautiful Day
  2.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3. Pride (In the Name of Love)
  4. With or Without You
  5. Vertigo
  6. New Year's Day
  7. Mysterious Ways
  8. Stuck in a Moment You Can't Get Out Of
  9. Where the Streets Have No Name
  10. Sweetest Thing
  11. Sunday Bloody Sunday
  12. One
  13. Desire
  14. Walk On
  15. Elevation
  16. Sometimes You Can't Make It on Your Own
  17. The Saints Are Coming[9]
  18. Window in the Skies

3. 싱글[편집]



3.1. 빌보드차트 성적[편집]


U2 Billboard HOT 100 차트인 목록
년도곡명최고 순위수록앨범
1983년New Year's Day53위War
1984년I Will Follow81위Boy
(Pride) In The Name Of Love33위The Unforgettable Fire
1987년With or Without You3주연속 1위The Joshua Tree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2주연속 1위
Where the Streets Have No Name13위
1988년In God's Country44위
Desire3위Rattle and Hum
1989년Angel Of Harlem14위
When Love Comes To Town[10]68위
All I Want Is You83위
1991년The Fly61위Achtung Baby
1992년Mysterious Ways9위
One10위
Even Better Than The Real Thing32위
Who's Gonna Ride Your Wild Horses35위
1994년Stay (Faraway, So Close!)61위Zooropa
1995년Hold Me, Thrill Me, Kiss Me, Kill Me16위배트맨 포에버 OST
1997년Discothèque10위POP
Staring At The Sun26위
Last Night On Earth57위
1998년Sweetest Thing63위
2001년Beautiful Day21위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Stuck In A Moment You Can't Get Out Of52위
2002년Electrical Storm77위
2004년Vertigo31위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2005년Sometimes You Can't Make It on Your Own97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48위폴 매카트니와 합작
2006년One86위Mary J. Blige와 합작
The Saints Are Coming51위그린데이와 합작
2009년Get On Your Boots37위No Line On The Horizon
Magnificent79위
2014년Ordinary Love84위
2017년XXX.33위켄드릭 라마의 싱글을 피쳐링

[1] The Beatles에 수록된 비틀즈의 노래를 불렀다.[2] 원래는 밥 딜런의 곡.[3] Sterling Magee and Adam Gussow의 곡을 그대로 수록했다.[4] 지미 헨드릭스의 곡을 그대로 수록했다.[5] 일본판 앨범에만 들어있는 보너스 트랙[6] 호주와 일본판 앨범에 수록돼있는 보너스 트랙.아이튠즈에도 있다.[7]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도 올라와 있다. 그런데 순위가 U2의 다른 대표곡들인 Pride (In the Name of Love), Sunday Bloody Sunday, New Year's Day, Beautiful Day보다도 높다. 롤링 스톤이 얼마나 이 곡을 높게 평가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8] 밑의 남자는 래리, 위의 남자는 그의 아들이라고 한다.[9] 그린 데이와 듀엣[10] 비비 킹과 합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6:51:25에 나무위키 U2/디스코그래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