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peakerboxxx/The Love Below

덤프버전 :


파일:outkast logo.png

[ 디스코그래피 ]
1집2집3집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vCcdQ-R6L._SL1500_.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fb1342044850ff4bc9e461a3d2d880a9.953x953x1.jpg
파일:external/static.vibe.com/what-millennials-should-know-about-outkast-aquemini.png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
(1994)
ATLiens
(1996)
Aquemini
(1998)
4집
5
6집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1LC0q9ZSL._SL1113_.jpg
파일:external/static.stereogum.com/Speakerboxxx-The-Love-Below.jpg
파일:external/s3.amazonaws.com/1371761179_outkast_idlewild_cdcov.jpg
Stankonia
(2000)
Idlewild
(2006)



Speakerboxxx/The Love Below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2000년~2019년)|{{{#b69858 Grammy Award for Album of the Year
(2000~2019)}}}]]'''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90위
2020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20년 290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298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003002000004.jpg
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 대 음반



















Speakerboxxx/The Love Below
파일:external/static.stereogum.com/Speakerboxxx-The-Love-Below.jpg
발매일2003년 9월 23일
녹음2002년 3월
장르서던 힙합 • 프로그레시브 랩 • 펑크(Funk)
재즈어밴트-소울
재생 시간134분 44초
프로듀서André 3000, Big Boi, L.A. Reid
레이블LaFace, Arista

1. 개요
2. 상세
3. 트랙 리스트



1. 개요[편집]


힙합 앨범중 몇 안되는 다이아몬드 앨범 중 하나. 2003년 발매된 힙합 듀오 아웃캐스트의 5집 정규 앨범이다.


2. 상세[편집]


두 멤버의 솔로 앨범을 합친 형식의 더블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빅 보이의 서던 힙합 앨범인 Speakerboxxx와 안드레 3000의 사이키델릭, , Funk, 일렉트로재즈 스타일이 녹아 있는 The Love Below로 이루어져 있다.[1]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그래미 어워드에서 힙합 앨범으로는 두번째로 올해의 앨범상에 수상되었다. 하지만 수상의 이유가 랩 앨범인 1번 디스크가 아닌 보컬 앨범인 2번 디스크로 인하여 받았다는 평이 대부분. The Love Below는 힙합과 거리가 많이 먼 앨범이라 이 앨범을 힙합으로 분류해야 할지 말지 논란도 있었다.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힙합 앨범이라는 기록을 보유했다. 물론 전세계까지 대상으로 하면 에미넴의 The Marshall Mathers LPThe Eminem Show가 각각 3000만장에 육박하는 넘사벽 판매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 앨범이 미국 내에서 얼마나 절대적인 지지를 받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2]

파일:RIAA 다이아몬드.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Diamond Certification
(11x Platinum)

@노래@

미국 내 판매량 11,000,000 단위 이상



3.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 리스트
트랙
길이
Speakerboxxx
1Intro1:29
2Ghetto Musick[3]3:56
3Unhappy3:19
4Bowtie
(feat. Sleepy Brown and Jazze Pha)
3:56
5The Way You Move[4]
(feat. Sleepy Brown)
3:54
6The Rooster3:57
7Bust
(feat. Killer Mike)
3:08
8War2:43
9Church3:27
10Bamboo (Interlude)2:09
11Tomb of the Boom
(feat. Konkrete, Big Gipp and Ludacris)
4:46
12E-Mac (Interlude)0:24
13Knowing
(feat. André 3000)
3:32
14Flip Flop Rock
(feat. Killer Mike and Jay Z)
4:35
15Interlude1:15
16Reset
(feat. Khujo and CeeLo Green)
4:35
17D-Boi (Interlude)0:40
18Last Call
(feat. Slimm Calhoun, Lil Jon & the East Side Boyz and Mello)
3:57
19Bowtie (Postlude)0:34
The Love Below
1The Love Below (Intro)1:27
2Love Hater2:49
3God (Interlude)2:20
4Happy Valentine's Day5:23
5Spread3:51
6Where Are My Panties?1:54
7Prototype5:26
8She Lives in My Lap[5]
(feat. Rosario Dawson)
4:27
9Hey Ya![6]3:55
10Roses[7]6:09
11Good Day, Good Sir1:24
12Behold a Lady4:37
13Pink & Blue5:04
14Love in War3:25
15She's Alive4:06
16Dracula's Wedding
(feat. Kelis)
2:32
17My Favorite Things[8]5:14
18Take Off Your Cool
(feat. Norah Jones)
2:38
19Vibrate[9]6:38
20A Life in the Day of Benjamin André (Incomplete)[10]5:1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19:14:35에 나무위키 Speakerboxxx/The Love Below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발매 당시 프린스의 새 앨범이 아니냐 라는 소리도 있었다(...)[2] 더블앨범이라 한 장 팔릴 때마다 두장 판매로 기록된다는 점도 있다. 투팍의 All Eyez on Me, 비기의 Life After Death역시 같은 경우다.[3]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싱글컷 된 곡. 안드레가 프로듀싱하고 피쳐링도 했다. 농구게임 NBA 라이브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이기도 하다.[4] 앨범의 리드 싱글. 아웃캐스트의 3번째 빌보드 핫 100 1위 곡.[5] 리드보컬은 피처링을 맡은 여성의 목소리가 아니라 안드레3000 본인 목소리의 피치를 올린 것이다. Idlewind 수록 버전과 라이브에선 당연히 피치를 안올린 자신의 생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6] 앨범의 리드 싱글. Funk, 힙합의 영향을 받은 곡이다. André 3000이 1인 다역을 맡은 뮤직 비디오는 비틀즈가 에드 설리번 쇼에서 1964년에 공연한 것을 따라하고 있다. 평론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웃캐스트의 2번째 빌보드 핫 100 1위 곡. 무려 9주 연속 1위를 했다.[7] 세 번째로 싱글컷된 곡. 이 디스크에서 빅 보이가 참여한 유일한 곡이다. 폴라 압둘이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8] 사운드 오브 뮤직의 OST를 커버한 연주곡. 미칠듯한 속도의 드럼패턴과 비교적 잔잔한 재즈 피아노와 색소폰 연주가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9] 자위를 찬양하는 곡이다.(...)[10] 자신의 일대기를 미친 듯한 랩으로 구구절절 늘어 놓는 곡이다. 녹음 일정 막바지에 작업한 곡이라 완성이 되지 못한 채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