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오버워치

덤프버전 : (♥ 0)




파일:T1 로고.svg
티원
T1
창단2020년 1월 14일
해체2022년 12월 27일
팀명퓨전 유니버시티(2018~2019)
T1(2020~2022)
구단주조 마쉬
약칭T1
파일:T1 로고.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파일:T1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 개요[편집]


T1
파일:T1 Overwatch 2021 S1.jpg
#T1WIN

필라델피아 퓨전 산하 아카데미 팀이자, T1오버워치 프로게임단이다.

컴캐스트 단독 소유의 필라델피아 퓨전 산하 아카데미 팀이었던 퓨전 유니버시티를 전신으로 두고있다. 퓨전 유니버시티는 북미 2018 컨텐더스 시즌 1, 2, 3과 2019 시즌 1, 초대 아틀란틱 쇼다운을 전부 우승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퓨전에서 에이스로 맹활약중인 Alarm 등을 배출한 명실상부 북미 최강팀이었다.

2020 오프시즌 시기에 T1오버워치 팀 창단 발표와 함께 컨텐더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팀명이 T1으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었다. #

한국시각으로 2020년 1월 15일, T1의 로스터가 발표되면서, 퓨전 유니버시티는 공식적으로 T1이 되었음을 트위터를 통해 발표했다.# 종전에 e스포츠 언론에서 'T1이 퓨전대의 시드를 양도받았다'며 새로운 팀이 창단되는 것처럼 느껴졌던 뉘앙스로 작성한 기사와는 다르게, 팀을 리브랜딩하는 개념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퓨전대의 커리어는 T1 오버워치 팀이 그대로 이어받는다.[1] 이후 2021년 T1과 합병한것으로 알려졌던 퓨전 유니버시티가 다시 컨텐더스 유럽 지역에서 활동하는것으로 알려졌으며 T1과는 별개의 팀으로 활동중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2]

2022년 12월 27일, 같은달에 열린 2022 퍼시픽 쇼다운을 끝으로 공식 SNS를 통해 팀 해체를 발표했다.

2. 우승[편집]


수상 기록
2020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준우승
RunAwayT1미정

3. 역사[편집]


Fusion University
파일:phi_univ_logo.png파일:FUN_logo_nofont.png
20182019
T1
파일:T1 로고.svg
2020
T1Fusion University
파일:T1 로고.svg파일:FUN_logo_nofont.png
20212021

3.1. 2018~2019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퓨전 유니버시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2020년[편집]



3.2.1.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편집]



스토브리그가 시작되자 Spazzo 감독이 계약 종료되는걸 시작으로 상당수 팀원들이 리그로 이적하거나 방출되었다.

또한 2020 시즌부터 OWL 아카데미 팀이 타 지역의 컨텐더스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의미있는 지역 인프라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조항이 신설되며 퓨전 유니버시티는 한국에서 철수해야만 하는 상황이 오자, 퓨전 유니버시티는 T1으로 팀명을 변경하며 위기를 모면했다. 퓨전의 모기업인 컴캐스트와 SKT가 합작하여 T1이라는 이스포츠 브랜드를 운영중인 것은 유명한 이야기기에 규정이 변경될 때부터 이를 예측한 유저도 있다.[3]

2019년 12월 3일 T1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에 도전하게 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코치 및 선수진을 모집한다는 트윗이 게시되었고, 2020년 1월 15일 로스터가 공개되었다. T1 리브랜딩으로 인해 앞으로는 순수 컨텐더스 코리아 팀으로 남을 것이란 예측과 달리 여전히 외국인 선수를 섞어놓은 로스터이다. 휴스턴 아웃로즈 출신 리거인 정원협이 코치로 영입되었고, 기존 멤버 중에선 Na1st 선수만을 남기고 물갈이 됐다. 한편 리그에 가기 위해 러너웨이를 떠났던 QoQ가 로스터에서 얼굴을 비췄다. 결국 리그행은 불발이 난 듯. 그리고 새로 영입된 비 한국인 선수인 지로셔스와 식스핏 중 지로셔스는 APEX 레전드 프로 출신이라는 특이사항이 있다. 그간 오버워치 출신 프로가 APEX 레전드나 배틀그라운드로 종목을 변경하는 경우는 있었어도 그 반대의 경우는 찾기 힘들었는데, 유일하다시피하는 그 반대의 경우 중에서 또 한국의 리그에 참가하는 경우도 또 유일하기 때문에 정말 희소한 케이스가 될 것 같다.

시즌 1 시드 결정전에서는 Gen.G와 Meta Athena에게 연거푸 3:0 패배를 당하면서 트라이얼 강등을 확정지었다. 로스터 발표 시점부터 APEX 레전드를 하다가 다시 돌아온 외국인 2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서 많은 우려를 낳았고, 실제 스크림 성적도 매우 좋지 않았다고 한다.[4] 스크림 관련 소식은 신뢰도가 떨어지기 마련이지만, 소문뿐이 아닌 실제 경기에서도 T1의 이름값에 어울리지 않게 부산에게마저 스윕을 당하면서 시드 결정전 무득세트 전패를 기록했다. 트라이얼에서는 8등 안에만 들면 컨텐더스 진출을 할 수 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을 바라보는 팀이라면 미래를 바라보는 리빌딩이 필요해보인다.

트라이얼 1주차 8강에서는 오픈 디비전 우승 팀 OZ Gaming을 상대로 3:0으로 격파했으며, 비록 다음 상대인 Meta Athena와의 4강전 경기에서는 풀세트 접전 끝에 패배했다. 앞에서 언급했던 5:0 스크림 루머의 상대가 오즈 게이밍이라는 점, 시드 결정전에서는 속절없이 패배했던 메타 아테나를 상대로 일방적으로 밀리지 않고 분전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매우 희망적인 결과가 나온 셈이다.

컨텐더스 1주차에 7시드로 참여하여 12강에서 부산과의 재대결에서 3:0으로 완승을 거두며 1주차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강팀 O2 Blast를 꺾고 4강에 진출했다. 지난 시드 결정전에서 무력했던 모습은 팀합이 아직 맞지 않아서였는지, 시간이 지나자 점점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강에서는 LCK에서도 T1과 상위권을 다투는 Gen.G와 만나게 되었다. T1은 사실상 신생팀이고, Gen.G는 컨텐에서 꾸준한 성적을 낸 강호라 Gen. G의 우세로 점쳐졌지만, T1이 3대0 셧아웃하면서 1주차 결승에 진출하였다.

그리고 결승에서 WGS를 만나 시종일관 압도하면서 3대0으로 1주차 우승을 차지했다. 1주차의 T1은 시드 결정전에서 자신들을 0대3으로 패배시킨 팀을 거의 만나 역으로 되갚아주는 그림이 많았다. 장지수 해설은 경기 내내 T1의 완벽한 기량에 감탄을 금치 못하였다.

한중 초청 이벤트 대회인 NetEase Esports X Tournament에 엘미와 함께 출전하였다. 티원으로 리브랜딩 후 첫 우승을 거머쥘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엘미와 LTG를 모두 3대0으로 제압하고 파죽지세로 승자결승에 진출하여 중국 컨텐 최강팀 Team CC와 맞붙게 되었다. Team CC에게 패배하였지만 패자 결승에서 엘미를 3:0으로 제압하고 다시 최종 결승에서 Team CC를 만났다. 하지만 승승패승패패패로 역전패를 당하며 아쉽게도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플레이오프에서는 1일차 8강 경기부터 러너웨이에게 충격적인 C9 패배를 당하면서 패자조로 떨어졌다. 기세를 회복하지 못했는지 패자조에서도 젠지에게 5꽉까지 가는 혈전 끝에 2:3으로 패배하며 플레이오프 7-8위를 차지, 용두사미로 시즌을 마감했다.


3.2.2.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편집]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에서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3연패를 기록, A조에서 가장 먼저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를 기록했다.


3.2.3.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한국 시드 선발전[편집]




3.3. 2021년[편집]



3.3.1. 오프시즌[편집]


2020년 10월 27일, ArHan 감독과 SAND 코치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2020년 12월 12일, Na1st가 토론토 디파이언트로 이적했다.

2020년 12월 15일, 은퇴후 코치로 전향한 Chara가 코치로 합류했다.

2021년 1월 2일, 은퇴 후 코치로 전향한 RoKy가 코치로 합류했다.

2021년 1월 8일, 모든 선수단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2021년 1월 11일, Clestyn, Kadalis, MN3, Krillin, Unique, ZEST, Belosrea를 영입하면서 리빌딩을 완료했다.

이와는 별개로 T1과 합병한것으로 알려졌던 퓨전 유니버시티가 다시 컨텐더스 유럽지역에서 활동하는것으로 알려졌으며 T1과는 별개의 팀으로 활동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3.2.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편집]




3.3.3.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편집]



2021년 9월 27일 4강전을 앞두고 기권선언을 하였다. T1 사옥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의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어 자가격리 중 선수 4명이 확진되었고, 선수의 건강을 위해 기권하였다고 한다.


3.4. 2022년[편집]



3.4.1.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편집]




3.4.2.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RUN IT BACK[편집]


시즌 전 10월 28일 RpEN을 영입하였다.

4. 성적[편집]


파일:T1 로고.svg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팀획득 상금
2020년 4월 16일준우승2020 오버워치 NeXT Cup - Spring3:4파일:Team_CC_logo.png Team CC$7,049[5]
2020년 5월 29일7-8위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2:3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Esports$15,562.5[6]
2021년 9월 24일9-10위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0/4풀 리그$5,000
2019년 10월 12일5-6위2020 오버워치 후야 스타컵0:3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Esports₩0
2020년 11월 26일7-8위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아시아 한국 시드 선발전0:3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Esports-
2021년 5월 10일4위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1:4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15,250
2021년 5월 10일3위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기권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17,500
2021년 11월 7일3위2021 오버워치 NeXT Cup - Winter4:0파일:BLG_Overwatch_logo.png Dire Wolves¥15,000
2021년 11월 26일승리TEN 2021 오버워치 한중전 1차전3:0파일:T1w Esports Club_Logo.png The One Winner₩2,500,000
2022년 3월 18일3-4위TEN 2022 오버워치 스페셜 매치 1차전2:3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0


5. 구성원[편집]



5.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Na1st이호성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FUN_logo_nofont.png 퓨전 유니버시티2020년 1월 15일2020년 12월 12일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2022년 2월 10일2022년 10월 17일파일:PANTHERA 2022.png PANTHERA
Zeerocious주하이르 탈렙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Tempo_Storm_new_logo.png Tempo Storm
[Apex]
2020년 1월 15일2020년 3월 20일Last Hope
ION임지헌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800px-GC_Busan_WAVE.png GC BUSAN WAVE2021년 1월 8일파일:UP Academy 2021.png 울트라 프라임 아카데미
QoQ유성준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Runawaylogo.png RunAway2020년 6월 19일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SixFeet로빈 시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N/A[7]2020년 3월 20일파일:업라이징 아카데미.png 업라이징 아카데미
Physics김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WiE esports.png White Whale
Incheon eSports
2021년 1월 8일파일:T1w Esports Club_Logo.pngThe One Winner
Perfact안예승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ATL_Academy_logo.png ATL 아카데미2020년 3월 20일은퇴
FiXa권영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Academy파일:업라이징 아카데미.png 업라이징 아카데미
Sven홍은택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800px-GC_Busan_WAVE.png GC BUSAN WAVE2020년 8월 14일은퇴
TTACKER한민규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167px-Zenith_logo.png Zenith파일:SLT 로고.svg Starlight Gaming
Belosrea황규태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2020 Like This Player.png Like This Player2021년 1월 11일2022년 4월 25일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Clestyn조건희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런던 스핏파이어2022년 12월 27일은퇴
MN3윤재희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 Element Mystic2021년 10월 27일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Kadalis라영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OZ_Gaming_no_text.png OZ Gaming2021년 12월 1일은퇴
ZEST김현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1년 10월 28일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Krillin정영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런던 스핏파이어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Unique유동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Team_Diamond_S2_Logo.png Team Diamond2021년 11월 1일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2022년 8월 12일2022년 12월 27일파일:NT overwatch logo.png NT 매니저
A1IEN한유빈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T1 로고.svg T1 Rookies2022년 2월 10일2022년 12월 27일파일:PANTHERA 2022.png PANTHERA
Ap3ach김환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IncendiaEvolution.png Incendia Evolution파일:PANTHERA 2022.png PANTHERA
FRONG석기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22년 5월 19일은퇴
DADA정찬영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T1 로고.svg T1 Rookies2022년 5월 19일2022년 8월 12일파일:905px-Ground_Zero_Gaming_2019.png Ground Zero Gaming
DD1NGKoNG이진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2년 6월 20일2022년 11월 11일은퇴
RpEN이승현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PANTHERA 2022.png PANTHERA2022년 10월 28일2022년 12월 27일파일:NT overwatch logo.png NT


5.2. 스태프 연혁[편집]


스태프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ArHaN정원협감독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2020년 1월 15일2020년 10월 27일
SAND함정민코치N/A2020년 3월 20일2020년 10월 27일파일:World Game Star 2020.png WGS Phoenix
J1N조효진감독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2020년 11월 25일2021년 10월 12일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Chara김정연코치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2020년 12월 15일2021년 10월 15일
RoKy박주성코치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2021년 1월 1일2021년 12월 1일은퇴
paJion황지섭감독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2021년 12월 1일2022년 12월 27일
BiaNcA김동욱코치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2022년 1월 13일


6. T1 Rookies[편집]


파일:T1 로고.svg
티원 루키즈
T1 Rookies
창단2021년 7월 9일[8]
약칭T1_R
코치함정민
SAND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기찬
SeoKic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준하
JUNHA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형
WYVER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희성
Goblin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섭
CHANGSU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혁
Crescent


2021년 2월경부터 Rookies로 창단하여 활동한 T1 오버워치팀의 산하 아카데미팀.

메인힐이 자주 바뀌는데 창단맴버인 Aiden 선수는 Team CC로 이적하였고
그 후임으로 들어온 AlBam선수는 WGS Phoenix로 한달도 안되어 이적하였다.

2022년 5월 2일 새로운 로스터를 발표하였다.

로스터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A1IEN한유빈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190px-Team_VCP_logo.png VCP2021년 2월 9일2022년 2월 10일파일:T1 로고.svg T1
Knife이선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2년 3월 8일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
Mino이민호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N/A2022년 2월
GR4CE박찬형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Team BM.png BM Academy2022년 4월 15일파일:World Game Star 2020.png WGS Phoenix
Aiden이승준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JNGK Logo.png JNGK2021년 6월 22일파일:Team_CC_logo.png Team CC
MINJUNE박민준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167px-First_Fabulous_Fighter_logo.png First Fabulous Fighter2022년 2월
AlBam김현기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SLT 로고.svg Starlight Gaming2021년 7월 9일2021년 7월 26일파일:World Game Star 2020.png WGS Phoenix
YangJun양준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WGS_esports.png WGS2021년 7월2022년 2월
HASELY권성곤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N/A2021년 7월2022년 2월은퇴
SeoKichan서기찬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JNGK Logo.png JNGK Academy2022년 5월 2일
DD1NGKoNG이진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JNGK Logo.png JNGK2022년 6월 20일파일:T1 로고.svg T1
Goblin이희성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N/A
DADA정찬영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Team BM.png BM Hawks2022년 5월 19일파일:T1 로고.svg T1
Crescent최은혁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N/A
CHANGSUB이창섭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N/A2022년 6월 3일
JUNHA박준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Intro_Wave.jpg_Logo.jpg INTRO WAVE2022년 7월 14일
WYVERN이주형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N/A

스태프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RoKy박주성코치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2021년 1월 1일2021년 12월 1일은퇴
SAND함정민코치파일:UP Academy 2021.png Ultra Prime Academy2022년 2월 10일2022년 12월 27일


7. 기타[편집]


  • T1의 오버워치 컨텐더스 참가 소식에 그동안 국내 대기업 오버워치 팀에 목말라하던 사람들이 쌍수들고 환영했다. 오버워치는 그 인기가 절정에 달했던 2017년도에도 유난히 대기업 스폰의 게임단과는 연이 없었고, 리그가 시작된 2018년 이후에도 국내 기업들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서울을 연고지로 하는 팀인 서울 다이너스티의 모기업인 젠지도 중국계 미국인 케빈 추에 의해 설립된 다국적 회사인 실정이기 때문에[9] 한국 이스포츠 태동기부터 함께한 T1이라는 브랜드에 오버워치 이스포츠 시청자층이 열광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한편으로는 T1 측에서 현재 구단이 주력하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 분야에 비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지니고 있는 오버워치를 뒤늦게 주목하게 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8. 관련 문서[편집]



9. 둘러보기[편집]


||


[1] Gen.G 롤팀을 생각하면 이해가 좀 더 쉬울 것이다. Gen.G 롤팀은 구 삼성 갤럭시 시절의 우승 경력을 그대로 이어받았다.[2] 이번에 유럽 컨텐더스에 참가하는 퓨전 유니버시티는 취업비자를 따지 못한 필라델피아 퓨전 소속 비 한국인 선수들이 경기 감각 유지를 위해 소속되었고, 당연히도 컨텐더스를 폭격했다. 현역 1부 리거들이 2부리그로 와서 양학을 하는 꼴이니..[3] 퓨전대의 T1 리브랜딩이 어쩌면 한국에 남기위한 결정일수도 있다.[4] 오즈 게이밍에게 아득한 클래스 차이를 보이며 5:0으로 털렸다고 한다.[5] 위안화 元50,000[6] 플레이오프+정규 시즌 주간 상금 합산[Apex] Apex Legands에서 전향[7] 오픈디비전 출신[8] 약 2021년 2월부터 Rookies로 계속 활동해왔다.[9] 물론 팀 자체는 한국 FPS e스포츠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루나틱 하이를 모태로 하고 있기는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퓨전 유니버시티 문서의 r24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퓨전 유니버시티 문서의 r2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23:46:44에 나무위키 T1/오버워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