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io/이모트

덤프버전 : (♥ 0)

분류

1. 개요
2. 얼굴
3. 음식
4. 사물
5. 벙커 및 기호
6. 국기
7. 기타
7.1. 핑




1. 개요[편집]


Surviv.io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모트들을 모아 놓은 문서. 게임 할 때 이모트는 4개[1]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모트 커스터마이즈 창에서 원하는 이모트를 사용할 수 있고 승리, 사망 시 자동으로 이모트가 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2] 참고로 이모트를 짧은 시간에 많이 사용하면 한동안 못 쓴다. 물론 팀 핑 까지.
기입 방법[3]

템플릿:
이름한글 이름(영어 이름)
사진파일:Emote-이름.png
등급한글(영어)
기타 설명.

2. 얼굴[편집]


이름행복한 얼굴(Happy Face)
사진파일:Emote-happy-face.png
등급기본(Stock)
기본으로 지급되는 이모트. 주로 따봉과 함께 계정이 없는 사람들이 인성질할 때 쓴다. 기절한 상태에서 적이 좋은 아이템을 떨어뜨리면서 이걸 날리면 은근히 화난다.

이름슬픈 얼굴(Sad Face)
사진파일:Emote-sad-face.png
등급기본(Stock)
기본으로 지급되는 이모트. 기분이 나쁠 때 쓰며, 계정이 없는 유저들은 화가 났을 때도 쓴다.

이름외계인 얼굴(Alien Face)
사진파일:Emote-alien-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화난 얼굴(Angry Face)
사진파일:Emote-angry-face.png
등급기본(Stock)
유저들이 자주 쓰는 이모트. 화가 났을 때 자주 쓴다. 간혹 이득을 본 후 인성질할 때 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팀원과 함께 대저택을 털러 갔으나 팀원이 디글 탄약을 먹고 아무리 요청을 해도 안 줄 때 항상 이게 나온다.

이름붕대 감은 얼굴(Bandaged Face)
사진파일:Face-bandaged.png
등급일반(Commmon)

이름(Dab Face)
사진파일:Emote-dab-face.png
등급기본(Stock)
유저들이 적을 처치하거나 승리할 때 자주 쓴다.

이름속상한 얼굴(Disappoint Face)
사진파일:Emote-disappoint-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헤드샷!(Headshot!)
사진파일:Emote-headshot-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하트 페이스(Heart Face)
사진파일:Emote-heart-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악마 얼굴(Imp Face)
사진파일:Emote-imp-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즐거워하는 얼굴(Joyful Face)
사진파일:Emote-joy-face.png
등급기본(Stock)
인성질에 최적화 된 이모티콘 1.
주로 초보들이 어쩌다 킬을 했을때 쓰는 이모티콘이며 이것도 주로 처치 후에 아이템을 주우면서 많이 쓴다. 상대를 기절시키고 총구를 막 흔들며 이걸 쓰면 기절한 상대에게 트롤 페이스 못지 않은 분노를 안겨준다[4]. 모신 나강 같은 희귀 총을 먹고 버렸다 주웠다를 반복하고 이걸 출력해도 좋다. 상대를 화나게 만들고 싶은데, 트롤 페이스가 없다면 이걸 쓰자. 게다가 트롤 페이스와 달리 기본 지급 이모트라 트롤 페이스보다 훨씬 많이 사용된다.

이름단안경 얼굴(Monocle Face)
사진파일:Emote-monocle-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피카소 얼굴(Picasso Face)
사진파일:Face-picasso.png
등급희귀(Rare)
팀원에게 뭔가를 지시할 때 쓰는 이모트이다. 근데 많이 안 쓰인다. 지금은 팀전에서, 특히 50v50에서 팀원이 리더가 쏜 보급을 못 먹고 직후에 와서 이모티콘 도배를 하거나 펀치질을 할때 주변 유저들이 조롱하는 목적으로 쓰인다.

이름똥 얼굴(Poo Face)
사진파일:Face-poo.png
등급신화(Mythic)
게임 중 똥이 마려워 화장실에 가야 하는 상황에서 쓰는 이모트인듯 하다. 그래서 대다수의 유저들이 엄폐물에 숨은 뒤 이걸 사용한 후 아무것도 안하는 듯 하다, 그런가 하면 소수의 유저들이 안 좋은 아이템이 나왔거나 아이템을 스틸당한 유저들을 보며 날린다.

이름우는 얼굴(Sobbing Face)
사진파일:Emote-sob-face.png
등급기본(Stock)
주로 팀원이 탄약이나 의료품을 요청하는 데 나도 없을 때 자주 쓰인다. 총알 없다고 화내는건 팀원에게 예의가 아니다

이름선글라스 얼굴(Sunglasses Face)
사진파일:Emote-sunglass-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생각하는 얼굴(Thonk)
사진파일:Emote-thinking-face.png
등급기본(Stock)
알 수 없는 상황에 ?와 같이 쓰인다.[5]

이름거꾸로 된 얼굴(Upside Down Face)
사진파일:Emote-upsidedown-face.png
등급기본(Stock)

이름놀란 얼굴(Shock & Awe)
사진파일:Emote-shock.png
등급희귀(Rare)

이름해골 얼굴(To Be, Or Not?)
사진파일:Emote-skullface.png
등급영웅(Epic)
사망 시 많이 사용한다.

이름트롤 페이스(Troll Face)
사진파일:Emote-trollface.png
등급신화(Mythic)
이거 띄우면서 트롤링하는 팀원 보면 진짜 빡친다(...). 그러니까 이거 얻으면 꼭 세팅하자. 상점에 가장 싸게 750감자에 구할 수 있다[6]!
인성질에 최적화 된 이모티콘 2.
기절했거나 죽었는데 상대가 이거 띄우면 죽도록 화난다(...).
50v50에서 리더가 부른 보급 못 가지고 보급 넉넉히 가진 팀원에게 화낼 때 옆에서 트롤페이스 날리면 제일 빡친다(......).50v50에서 리더나 메딕이 일부러 기절하고 살려주지 못하게 하면서[7] 트롤페이스 날리면 미치도록 빡친다(.........). 그리고 팀원이 아이템 다 먹고 이걸 날리는 경우도 있는데, 오히려 기절했을 때 원하는 것을 줘도 안 살려주고 펀치 날리면서 이걸로 복수하면서 죽은 뒤 먹고 튀면 제대로 빡친다(............). 이건 팀원들에게도 마찬가지.

이름땀 흘리는 얼굴(Sweaty)
사진파일:Emote-sweaty.png
등급희귀(Rare)

이름상기된 얼굴(Flushed)
사진파일:Emote-flushed.png
등급희귀(Rare)

이름탐욕스러운 얼굴(Greedy Face)
사진파일:Emote-greedy.png
등급일반(Commmon)
주로 중고수들이 인성질할 때 많이 쓴다.

이름피노키오 얼굴(Lies)
사진파일:Emote-lies.png
등급희귀(Rare)

이름죽은 얼굴(Dead Face)
사진파일:Emote-deadface.png
등급영웅(Epic)
사망 시 많이 사용한다.

이름뚝배기(Panned)
사진파일:Emote-panned.png
등급영웅(Epic)
사망 시 많이 사용한다.

이름보피(Boffy)
사진파일:Emote-boffy.png
등급희귀(Rare)
웃는 얼굴 이모트를 발로 그린 듯한 이모티콘이다. 시즌 4 2레벨에서 얻을 수 있었기에, 한 때 가장 많이 보이던 긍정의 이모트였다.

이름안심해하는 얼굴(Phew)
사진파일:Emote-phew.png
등급희귀(Rare)
안심하기보단 자신만만해보이는 얼굴이다. 주로 적을 처치하거나 승리할 때 많이 쓰인다.

이름괜찮아(ITS OK)
사진파일:Emote-its-ok.png
등급영웅(Epic)

이름두리번거리는 얼굴(Shur)
사진
등급전설(Legend)
최초의 gif 형식의 얼굴 이모트이다.

이름좌절한 얼굴(Frustration)
사진파일:Emote-frustration.png
등급희귀(Rare)
Survivr pass 5에서 처음으로 얻을 수 있는 이모트이다. 주로 기절하거나 사망할 때 많이 쓰인다.

이름토하는 얼굴(Puke)
사진파일:Emote-puke.png
등급영웅(Epic)
팀원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주로 쓰인다. 고수들의 경우, 뉴비들에게 트롤링하거나 자신이 부순 물체의 아이템을 뺐어갈때 쓰기도 한다.

이름너무 가까워!(Too Close)
사진파일:Emote-tooclose.png
등급영웅(Epic)
사망 시 많이 사용한다. 이모티콘 이름 그대로 근접핵들이 다가올 때 쓰기도 한다. 자신이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무언가 해냈을 때 쓰기도 한다.

3. 음식[편집]


이름도토리(Acorn)
사진파일:Acorn.png
등급일반(Stock)

이름바게트(Baguette)
사진파일:Baguette.png
등급기본(Stock)

이름캔디콘(Candy Corn)
사진파일:Candy-corn.png
등급기본(Stock)
대다수의 플레이어들은 보급 아이템을 여럿이서 같이 나눠 가졌을때 만족이 되면 이 이모트를 쓴다. 캔디콘 이모티콘이 여러 색으로 나뉘어 있어서 그런 듯 하다. 그러면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아진다.나눠서 그런건가

이름이겼닭! 오늘 저녁은 치킨이닭!(Chicken Dinner)
사진파일:Chicken-dinner.png
등급기본(Stock)
승리했을때 많이 사용한다.

이름코코넛(Coconut)
사진파일:Coconut_Surviv.png
등급기본(Stock)

이름컵케이크(Cupcake)
사진파일:Cupcake.png
등급기본(Stock)

이름도넛(Donut)
사진파일:Donut.png
등급기본(Stock)
보통 다수의 플레이어가 아이템을 나눠 가졌을때 쓴다면, 이 도넛은 2명 정도의 적은 플레이어의 팀이 동등하게 나눠 가졌을때 쓰인다.

이름가지(Eggplant)
사진파일:Eggplant_Surviv.png
등급기본(Stock)

이름아이스크림(Ice Cream)
사진파일:Ice-cream.png
등급기본(Stock)

이름부추(Leek)
사진파일:Leek.png
등급기본(Stock)

이름호박(Pumpkin)
사진파일:Emote-pumpkin.png
등급기본(Stock)

이름스시 롤(Sushi Roll)
사진파일:Emote-sushi.png
등급전설(Legend)

4. 사물[편집]




5. 벙커 및 기호[편집]


이름서밥 로고(Surviv Logo)
사진파일:Emote-surviv.png
등급기본(Stock)

이름파르마 로고(PARMA)
사진파일:Emote-parma.png
등급기본(Stock)

이름국화 벙커 로고(The Chrysanthemum)
사진파일:Emote-chrysanthemum.png
등급기본(Stock)

이름구름 벙커 로고(The Cloud)
사진파일:Emote-cloud.png
등급기본(Stock)

이름소라 벙커 로고(The Conch)
사진파일:Emote-conch.png
등급기본(Stock)

이름크로싱 벙커 로고(The Crossing)
사진파일:Emote-crossing.png
등급기본(Stock)

이름달걀 벙커 로고(The Egg)
사진파일:Emote-egg.png
등급기본(Stock)

이름도끼 벙커 로고(The Hatchet)
사진파일:Emote-hatchet.png
등급기본(Stock)

이름유성우 벙커 로고(The Meteor)
사진파일:Emote-meteor.png
등급기본(Stock)

이름스톰 벙커 로고(The Storm)
사진파일:Emote-storm.png
등급기본(Stock)

이름돼지 벙커 로고(The Swine)
사진파일:Emote-swine.png
등급기본(Stock)

이름쌍둥이 벙커 로고(The Twins)
사진파일:Emote-twins.png
등급기본(Stock)
팀원들끼리 친목질을 하거나 동정을 표할때 쓰인다. 가끔 티밍을 하는 유저들이 쓰기도 한다.[8]

이름크로싱 벙커 로고(The Crossing)
사진파일:Emote-crossing.png
등급기본(Stock)

이름눈 벙커 로고(The Eye)
사진파일:Emote-eye.png
등급일반(Common)


6. 국기[편집]


이름한국 국기
사진파일:Emote-korea.png
등급기본(Stock)

당연히 여러 국기가 존재한다. 팀원과 같은 국기 이모트를 사용하면 왠지 모를 친밀감이 느껴진다. 하지만 한 플레이어가 태극기를 날렸으나 상대는 일장기를 날리면 태극기를 날린 플레이어가 분노의 이모트를 쓰고 서로 싸우는 웃픈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보통 뉴비들이 이 이모티콘을 날리며 티밍을 걸어오거나 체력이 없을 때 살려달라고 이 이모지를 쓰는데 아무리 한국인이더라도 게임은 게임이므로 유쾌하게 쏴주자. 살려달라고 이모티콘을 쓰는 쪽은 십중팔구 체력을 회복하면 바로 돌변하여 나를 죽이려 든다


7. 기타[편집]


이름근육(Flex)
사진파일:Emote-flex.png
등급기본(Stock)

이름하트(Heart)
사진파일:Emote-heart.png
등급기본(Stock)

이름무지개(Rainbow)
사진파일:Emote-rainbow.png
등급희귀(Rare)

이름버섯구름(Shroomcloud)
사진파일:Emote-shroomcloud.png
등급신화(Mythic)

이름묘비(RIP)
사진파일:Emote-rip.png
등급신화(Mythic)

이름QQ(QQ)
사진파일:Emote-qq.png
등급일반(Common)

7.1. 핑[편집]


핑은 이모트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맵에 표시하는 것이다. 집합, 경고, 탄약 및 치유 요청, 아이템 등의 핑을 사용할 수 있다.
C키를 꾹 누른 상태로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뜬다.
이름집합
사진파일:Ping-coming.png
등급X

이름경고
사진파일:Ping-danger.png
등급X

이름선물(아이템 등)
사진파일:Ping-help.png
등급X

이름탄약 요청[9] [10]
사진파일:Loot-ammo-box.png
등급X

이름치유 아이템 요청
사진파일:Loot-heal.png
등급X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23:46:22에 나무위키 Surviv.io/이모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행복한 얼굴, 슬픈 얼굴, 따봉, surviv.io 로고[2] 그러나 이제 로그인을 해야지만 다른 이모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3] 색깔 = 일반 → gray, 희귀 → 7CFC00, 영웅 → skyblue, 신화 → violet, 전설 → red [4] 상대가 죽은 직후에 쓸 수도 있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죽은 직후에 게임을 나간다.[5] 예를 들어 팀원이 이미 다 털린 집에 들어간다거나 할 때.[6] 현재는 구하기 어려워졌다.[7] 부활 시간 0.1초 남았을 때 취소하는 등.[8] 티밍은 게임을 망치는 행위이니 하지 말자.[9] 자신이 들고 있는 총의 탄약 색으로 변한다. 근접, 투척 무기를 든 상태에서 이 핑을 쓰면 흑백으로 나온다.[10] 특히 코발트에서 척탄병에게 수류탄을 들고 탄약 요청을 해서 무슨 말인지 알아들으면 수류탄을 떨궈줄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