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가요 프로그램 1위 경력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S.E.S.

파일:S.E.S. 로고 화이트.svg



[ 음반 목록 ]
파일:S.E.S._S.E.S..jpg
파일:S.E.S._S.E.S. 2.jpg
파일:S.E.S._Love.jpg
파일:S.E.S._A Letter From Green Land.jpg
데뷔 정규 1집

S.E.S.
(1997.11.24)
정규 2집

Sea & Eugene & Shoo
(1998.11.23)
정규 3집

Love
(1999.10.29)
정규 4집

A letter from Greenland
(2000.12.23)
파일:S.E.S._Surprise.jpg
파일:S.E.S._Choose My Life-U.jpg
파일:S.E.S._Remixed.jpg
파일:S.E.S._Friend.jpg
스페셜 4.5집

Surprise
(2001.07.11)
정규 5집

Choose My Life-U
(2002.02.14)
리믹스 싱글

Remixed
(2002.08.28)
스페셜 5.5집

FRIEND
(2002.11.21)
파일:S.E.S._Love [story].jpg
파일:S.E.S._Remember.jpg
디지털 싱글

Love [story]
(2016.11.28)
스페셜 20주년 기념

REMEMBER
(2017.01.02)




1. 개요
2. 시상식
3. 가요 프로그램 1위
3.1. 상세
3.2. 지상파 음악 방송
3.3. 케이블 음악 방송
3.4. 케이블 순위 프로
4. TV 프로그램
5. 기록
5.1. 시상식
5.2. 음악 방송 1위
6. 불공정 수상 논란
6.1. 상세
6.2. 시상식
6.3. 가요 프로그램 1위
7. 여담



1. 개요[편집]


S.E.S.의 수상 내역을 정리하는 문서다.


2. 시상식[편집]


  • 총 29회의 상을 수상했다. 가요 시상식에서 18회, 연예 시상식에서 4회, 기타 권위 기관에서 7회.
파일:S.E.S. 로고 화이트.svg
시상식 수상
날짜시상식명수상 부문비고작품
1998년
6월 10일자녀 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운동본부감사패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월 5일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SKC[1] 신인 가수상정규 1집
정규 2집
12월 6일KMTV 가요대전인기 가수상[2]
12월 18일서울가요대상본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월 27일SBS 가요대전10대 가수상
12월 30일KBS 가요대상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3]
12월 31일MBC 가요제전[4]30세 미만의 국민이 뽑은 인기 가수상[5]
1999년
2월 25일파일:일본 국기.svg VAP 레코드감사패
3월 16일대한민국 연예예술상여자 부문 청소년 중창 가수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정규 2집
5월 18일파일:대만 국기.svg Rock 레코드골든 디스크상
12월 7일코리아 베스트 드레서 시상식여자 가수 부문 베스트 드레서상정규 3집
12월 11일KMTV 가요대전본상[6][7]
12월 13일문화관광부 장관선행 연예인 부문 표창
12월 16일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본상정규 3집
12월 30일KBS 가요대상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8]
12월 31일MBC 10대 가수 가요제30세 미만의 국민이 뽑은 10대 가수상
2000년
3월 8일대한민국 영상대전여자 가수 부문 포토제닉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정규 3집
10월 8일전국 연예 예술인 노조감사패
2001년
6월 21일파일:대만 국기.svg Avex 레코드골든 디스크상
11월 26일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여자 그룹 부문 최우수 뮤직비디오상꿈을 모아서
11월 30일한국 최고 인기 연예대상청소년 부문 인기 가수상정규 4집
스페셜 4.5집
12월 14일골든 디스크파브 PDP[9] 인기 가수상
12월 19일KMTV 가요대전본상[10]
12월 29일SBS 가요대전본상
12월 30일KBS 가요대상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11]
12월 31일MBC 10대 가수 가요제30세 미만의 국민이 뽑은 10대 가수상
2002년
3월 2일수원지방검찰청공로패[12]
11월 29일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여자 그룹 부문 최우수 뮤직비디오상U
2005년
11월 27일M.net·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PD 선정 특별상[13]
합계29회

3.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3.1. 상세[편집]


  • 지상파와 케이블을 합산하여 작성되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가수들과 다르게, 지상파와 케이블을 별도로 분류하여 작성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 S.E.S.가 활동한 1997년 11월 28일에서 2002년 12월까지의 시기는 인터넷 보급률이 지금보다 낮았던 상태라 남아있는 당시 문헌이 현저히 적다.
    • 지금과 같이 매주 1위 수상 정보가 인터넷 기사를 통해 보도되는 체계가 없었다.
    • 지금과 같이 방송 종영 후 방송사가 공식 플랫폼에 1위 수상 영상을 올려주는 체계가 없었다.

  • 수상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참고 문헌은 아래와 같다.
    • 당시 언론 매체(기사·잡지 등)을 통해 남아있는 문헌.
    • 지상파 3사가 자사 공식 플랫폼(홈페이지 무료, 유료·유튜브·네이버 TV·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등)에 공개한 영상 자료.
    • 당시 주요 음악 케이블 방송사인 M.net[14]이 2020년대 이후 공식 계정에 공개한 영상 자료.
    • 당시 팬 커뮤니티에 녹덕들이 공유한 영상 자료 속 문헌.

  • '케이블 가요 순위 프로그램 1위' 내역이 별도로 분리되어 작성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 가요 프로그램 중에서도 통상 '음악 방송'이라 일컬어 지는 프로그램은 가수들이 출연하여 세트에서 무대를 펼치고 각 프로그램마다 정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위제를 시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M.net 《가요 베스트 27》, KMTV 《결정 인기가요 43》 등의 프로그램은 당시 각 프로그램마다 정한 일정한 순위 집계 기준에 따라 순위제를 시행했다는 점음 음악 방송과 공통적이나 진행 방식이 다소 달랐다. 진행자가 사전에 조사된 순위를 발표하고 중간에 뮤직 비디오를 보여주거나 가수들이 출연하여 담화를 나누는 방식이었다. 즉, 가수들이 출연하여 세트에서 무대를 펼치는 형식이 아니라는 점이 '음악 방송'이라 통칭 되는 가요 프로그램과 포맷 특성상의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 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에서 1위를 한 내역도 꽤 중요도가 크기에 별도로 '케이블 가요 순위 프로그램 1위'로 분류되어 작성되었다.

3.2. 지상파 음악 방송[편집]


파일:S.E.S. 로고 화이트.svg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수상
날짜프로그램활동곡비고
1998년
2월 21일MBC 젊은 그대I'm Your Girl
(4회)
통산 1주
2월 22일SBS 인기가요통산 1주
2월 28일MBC 젊은 그대통산 2주
연속 2주
3월 1일SBS 인기가요통산 2주
연속 2주
4월 12일Oh My Love
(1회)
통산 1주
12월 8일KBS2 뮤직뱅크Dreams Come True
(1회)
MVP
통산 1주
1999년
1월 5일KBS 뮤직뱅크Dreams Come True
(5회)
MVP
통산 2주
1월 10일SBS 인기가요통산 1주
1월 19일KBS 뮤직뱅크MVP
통산 3주
1월 13일MBC 음악캠프캠프 차트
통산 1주
스타 청백전 특집 MVP[15]
통산 1주 2회
1월 31일SBS 인기가요너를 사랑해
(6회)
통산 1주
2월 9일KBS 뮤직뱅크통산 1주
2월 28일SBS 인기가요통산 2주
3월 2일KBS 뮤직뱅크통산 2주
3월 7일SBS 인기가요통산 3주
3월 16일KBS 뮤직뱅크통산 3주
2000년
1월 23일SBS 인기가요Twilight Zone
(1회)
통산 1주
2001년
2월 8일KBS 뮤직뱅크감싸 안으며
(8회)
통산 1주
2월 10일MBC 음악캠프통산 1주
2월 15일KBS 뮤직뱅크통산 2주
연속 2주
2월 17일MBC 음악캠프통산 2주
연속 2주
2월 18일SBS 인기가요통산 1주
2월 22일KBS 뮤직뱅크통산 2주
연속 3주
골든컵
2월 24일MBC 음악캠프통산 3주
연속 3주
King of the Camp[16]
2월 25일SBS 인기가요통산 2주
연속 2주
9월 2일꿈을 모아서
(1회)
통산 1주
2002년
3월 10일SBS 인기가요U
(5회)
통산 1주
3월 17일통산 2주
연속 2주
3월 23일MBC 음악캠프통산 1주
3월 24일SBS 인기가요통산 2주
연속 3주
왕중왕
3월 30일MBC 음악캠프통산 2주
연속 2주[17]
합계32회

3.3. 케이블 음악 방송[편집]


  • 작성 대상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
    • KMTV 《쇼뮤직탱크》. (방영 기간 : 1995년 3월 11일 ~ 2008년 5월 29일)#
    • M.net 《쇼킹엠》. (방영 기간 : 2000년 9월 ~ 종영일 2005년 경 추정)
    • iTV 《Hot3 Big10》. (방영 기간 : 2001년 2월 5일 ~ 2002년 4월 7일)[18][19]
    • NTV《 N-TOP 인기가요》. (방영 기간 : 2000년 후반 ~ 2001년 중반)[20]

  • 이보다 더 누락 된 1위 내역이 다수 존재하기에 정확한 수치는 아니다.
파일:S.E.S. 로고 화이트.svg
케이블 음악 방송 1위
날짜프로그램활동곡비고
1998년
1월 17일KMTV 쇼 뮤직탱크('Cause)I'm Your Girl
(5회)
통산 1주
1월 24일통산, 연속 2주
1월 31일통산, 연속 3주
2월 7일통산, 연속 4주
2월 14일통산, 연속 5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9년
11월 27일KMTV 쇼 뮤직탱크Love
(2회)
팬덤 아카이브
12월 4일팬덤 아카이브
12월 18일Twilight Zo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0년
01월 22일KMTV 쇼 뮤직탱크Twilight Zone
(1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1년
1월 26일NTV N-TOP 인기가요감싸 안으며
(6회)
통산 1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월 2일통산, 연속 2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월 10일KMTV 쇼 뮤직탱크통산 1주
2월 16일NTV N-TOP 인기가요통산 3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월[21]iTV Hot3 Big10
2월 17일KMTV 쇼 뮤직탱크통산 2주
연속 2주
8월 17일꿈을 모아서
(3회)
8월 31일[22]M.net 쇼킹M후기글
9월 2일iTV Hot3 Big10
2002년
3월 17일[23]iTV Hog3 Big10U
(1회)
통산 1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합계19회

3.4. 케이블 순위 프로[편집]


  • 작성 대상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
    • M.net 《가요 베스트 27》.
    • KMTV 《결정 인기가요 43》.
파일:S.E.S. 로고 화이트.svg
케이블 가요 순위 프로그램 1위
날짜프로그램활동곡비고
1998년
KMTV 결정 인기가요 43I'm Your Girl
1999년
1월 2일M.net 가요 베스트 27Dreams Come True
1월 9일
1월 16일
1월 23일
2월 2주KMTV 결정 인기가요 43너를 사랑해
2월 3주
2월 20일M.net 가요 베스트 27
2월 27일
3월 1주KMTV 결정 인기가요 43
3월 6일M.net 가요 베스트 27
3월 2주KMTV 결정 인기가요 43
3월 13일M.net 가요 베스트 27
11월 27일Love
12월 1주KMTV 결정 인기가요 43
12월 4일M.net 가요 베스트 27
12월 2주KMTV 결정 인기가요 43
12월 18일M.net 가요 베스트 27
12월 25일
12월 4주KMTV 결정 인기가요 43Twilight Zone
2000년
1월 1일M.net 가요 베스트 27Love
2월 5일M.net 가요 베스트 27Twilight Zone
2001년
1월 28일M.net 가요 베스트 27감싸 안으며
2월 9일KMTV 결정 인기가요 43
2월 16일
8월 11일M.net 가요 베스트 27꿈을 모아서
8월 17일KMTV 결정 인기가요 43
2002년
3월 9일M.net 가요 베스트 27U
3월 16일
3월 22일KMTV 결정 인기가요 43
3월 23일M.net 가요 베스트 27
3월 30일

4. TV 프로그램[편집]


파일:S.E.S. 로고 화이트.svg
TV 프로그램 수상
날짜방송사프로그램수상 부문비고
1999년
1월 1일SBS뉴스타 대행진MVP
3월 10일머리가 좋아지는 TV우등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0년
10월 8일SBS인기가요상반기 1위 수상자 특별 트로피
합계3회

5. 기록[편집]




5.1. 시상식[편집]


  • 역대 아이돌 그룹 최초로 활동 종료 후 메이저 연말 가요 시상식 수상[24][25]
  • 역대 걸그룹 유일 활동 종료 후 메이저 연말 가요 시상식 수상[26]

5.2. 음악 방송 1위[편집]


  • 작성 기준: 중요도가 큰 순서. 그리고 그 안에서는 기록 달성이 빠른 순서.


  • 역대 가수
    • 역대 가수 최초·유일 1회차 음방에서 1위 2회 수상[27]


  • 역대 걸그룹
    • 역대 걸그룹 최초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역대 걸그룹 최초로 한 해에 3곡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역대 걸그룹 최초로 1990년대, 2000년대를 통틀어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역대 걸그룹 최초로 한 주 지상파 3사 음악 방송 1위 올킬[28]
- 13년간 역대 걸그룹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29][30][31]


  • 1세대 걸그룹
    • 1세대 걸그룹 한 앨범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32]
    • 1세대 걸그룹 단일곡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33]
    • 1세대 걸그룹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트리플 크라운[34][35] 달성
    • 1세대 걸그룹 유일 지상파 3사 음악 방송 트리플 크라운[36] 달성[37]
    • 1세대 걸그룹 모든곡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38]
    • 1세대 걸그룹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수상곡[39]


  • 데뷔곡
    • 역대 걸그룹 데뷔곡 최초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역대 아이돌 데뷔곡 최초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1세대 6대 천왕 아이돌[40] 데뷔곡 최초·유일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역대 SM엔터테인먼트 가수 데뷔곡 최초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 자체 활동
    • 2집 정규 앨범 S.E.S.2: S.E.S. 역대 앨범 중 총 12회로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수상.
    • 4집 타이틀곡 감싸안으며: S.E.S. 역대 단일곡 중 총 8회로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수상곡. 1주일 지상파와 케이블 8개 가요 순위 프로그램 1위 올킬. 지상파와 케이블 7개 가요 순위 프로그램 3주 1위 트리플 크라운 달성.

6. 불공정 수상 논란[편집]



6.1. 상세[편집]


불공정 수상 논란이라고 하지만, S.E.S.가 한참 못 미치는 성적임에도 상을 타서 논란이 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되려, 반대로 성적에 비해 시상식 측의 불합리한 불공정한 결과로 상을 놓치기 일수였다. 1990년대 여러 인기 가수 중 가장 상복이 없던 팀이기도 하였다. 이보다 상복이 없었던 팀은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남긴 성적과 인기에 비해 상복이 없었다. 만약 지표에 의한 정당한 결과대로 상을 탔다면 수상 횟수는 이보다 훨씬 더 많았을 것이다. 세월이 지나면 결국 잊혀지고 남는 건 결과라지만 그 당시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S.E.S. 팬들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든 불합리한 결과를 많이 맞닥뜨렸고, 아직도 아쉬움으로 남는 대목이다.

6.2. 시상식[편집]


  • 가요 프로그램에서는 1위를 많이 수상하고 여러 상을 휩쓴 S.E.S.는 1세대 아이돌 6대 천왕(혹은 4대 천왕) 중에서는 유일하게 연말 가요대상과는 인연이 없는데, 주로 연말에 컴백해서 해를 넘겨 활동하다 보니 시상식에서 손해를 많이 보는 편이었다. 대표적인 게 신인상인데, 당시 음반 판매량이나 인기로 봤을 때 당연히 전 시상식에서 신인상을 석권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정규 2집을 발표한 지 얼마 안 됐다는 이유로 후보에서 제외가 되는 등 이래저래 피해가 많았다.

  • 1999년 11월 정규 3집 타이틀곡 Love로 MBC 음악캠프에서 먼저 컴백하였다는 이유로 SBS 인기가요에서는 방송 금지를 당하는 부당 갑질의 피해자가 되었다. 실제로 상위권에 올라갈 때 쯤이면 매번 3위에만 묶어놓는 역대급 치졸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런 부당 갑질에 SM 엔터테인먼트 측은 S.E.S. 뿐만 아니라 SM 모든 가수들을 SBS 모든 프로그램에 출연을 거부하는 것으로 맞대응을 펼쳤으며, 동 시간대 MBC에서 H.O.T.를 주축으로 SM 사단 가수들을 총출동 시켜 제작한 프로그램 Log In H.O.T.를 방송하며 방송국과 거대 소속사 간의 힘겨루기가 극에 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사건의 여파로, 연말 SBS 자사가 주최하는 SBS 가요대전에 SM 소속 가수인 S.E.S, H.O.T, 신화는 부당하게 수상을 불발당하는 피해까지 떠안아야만 했다. 실제로 이 세 팀은 1999년 괄목할 만한 성과도 많이 냈다. 특히 S.E.S.와 H.O.T.는 1999년 한 해 음반 판매량 성적, 음악 방송 1위 성적, 대중적 인기도, 팬덤 화력 등 여러 지표에서 연말 시상식 본상에 들어가고도 남는 성과를 내고도 남을 정도였다. 실제로 당시 SBS는 DSP 엔터테인먼트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1999년 치뤄진 SBS 가요대전에서도 DSP 소속의 핑클에게 대상을 안겨주는 식으로 맞대응을 펼쳤다.


6.3.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 1999년 11월 정규 3집 타이틀곡 Love는 밑에 서술할 SBS 인기가요의 부당한 방송 금지 갑질과 KBS2 뮤직뱅크의 노란색 탈색 머리로 인한 방송 금지 처분으로 S.E.S. 역대 타이틀 곡 중 유일하게 지상파 1위 수상에 실패한 곡으로 남았다. 만약 지상파 방송사의 이러한 부당 갑질 및 시대에 뒤떨어진 사유로 방송 금지를 당하지 않았다면, 역대 걸그룹 최초로 모든 활동 타이틀곡 지상파 1위 달성이라는 기록을 쓸 수 있었다.

  • 1999년 11월 발매한 정규 3집 앨범은 한국음반산업협회 집계 기준, 760,475장의 음반 판매량을 올리며 역대 걸그룹 단일 앨범 최다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위에 서술한 SBS와 KBS의 부당한 처사로 1위 수상을 부득이하게 저지당하기 일수였다. 그 결과 당시 남긴 기록과 파급력, 화제성, 인기에 비하면 터무니 없는 횟수인 1회만 기록하게 되었다. 이는 S.E.S. 역대 앨범 중 최저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수상 횟수다.



7. 여담[편집]


  • 2001년 3월 4일 SBS 인기가요에서 4집 타이틀곡 감싸안으며로 3주 연속 1위 왕중왕[41]을 노렸지만, 아쉽게 포지션의 《I Love You》에게 1위 자리를 내줘야만 했다. 만약 이날 1위를 달성했다면 역대 한국 가수 최초로 지상파 3사 음악방송 트리플 크라운이라는 대기록을 쓸 수 있었다.한국 가수 최초 3사 음악방송 트리플 크라운 수상자는 H.O.T.이다. 이 이후로도 god, 스티브 유가 3사 음악방송 트리플 크리운을 차지했고, 만약 이 날 S.E.S.가 1위를 했다면 4번째 3사 음악방송 트리플 크라운 수상자가 되었을 것이다. SM측은 사전 점수가 3,000점 가량 앞섰기에 무리 없이 1위를 차지할 거라고 생각했으나, 수상에 실패하자 순위제의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S.E.S.뿐만 아니라 SM 모든 가수가 SBS 모든 프로그램에 출연을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여전히 갑의 위치에 있는 방송사와 여러 대형 가수를 보유하며 힘을 키우고 있는 연예 기획사의 첨예한 힘겨루기로 일어난 사태였다. 이 사이에서 정작 아무런 죄 없는 S.E.S.와 모든 SM 소속 가수들은 방송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불이익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했다. 해당 사태의 여파로 인하여 한국연예제작자협회와 SBS가 공동 주최하는 2001 드림콘서트에도 참가하지 못 했고, 4.5집 컴백 이후에도 몇 주가 훌쩍 지난 후에서야 SBS 측과 화해하고 방송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 NRG와 함께 KBS2 가요톱텐의 숨은 마지막 1위 후보다. 가요톱텐은 당시 IMF 경제불황 사태로 1998년 2월 11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그런데 폐지가 안 됐다면 그 다음 주에 1위 후보에 올랐을 가수가 바로 S.E.S.와 NRG라는 것이다. 천명훈이 라디오스타와 불후의 명곡을 통해서 밝힌 내용이며, 이미 가수 당사자들한테도 해당 내용이 전달된 상태였다고 한다. 즉, S.E.S.와 NRG는 당시 다음 주 1위 후보인 것을 미리 통보 받았고, 그 이후에 프로그램 폐지가 결정난 것으로 타임라인이 정리된다. 1998년 활동 당시 S.E.S.의 활동 내역을 정리한 팬 커뮤니티인 천리안 라페 아카이브에 따르면 종영 후 다음 주에 결정난 1위 수상자와 노래는 홈페이지에 결과가 올라왔다는 내용[42]이 있긴 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기록하는 문화도 없었고, 웨이백 머신을 통해 당시 가요톱텐 PC 통신 홈페이지를 조회해도 마지막 방송날 전체 순위까지만 뜨고 해당 1위 안내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워낙 오래된 일이기에 누구의 말이 맞는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지만, KBS에서도 1위를 할 수 있었는데 아쉽게 됐다. 사실 지금 와서 확인할 수 있는 경로도 아예 존재하지 않고 여러 정황상 가능성도 낮아 보이지만, 만약 맞다면 역대 걸그룹 데뷔곡 최초 지상파 3사 음악방송 1위 올킬 기록은 ITZY에서 S.E.S.로 변하게 되며,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횟수도 32회에서 33회로 변하게 된다. 거듭 강조하자면 가능성은 정말 현저히 낮다. 이렇게 1위 횟수와 역대급 기록이 날아가고.. 당시 IMF 사태 때문에 순위제에서 피해를 봐도 너무 많이 봤다.. 참고로 NRG도 이 때 1위를 놓치고 난 이후 6년이 지난 2003년에 첫 1위를 수상했다. NRG 정규 1집은 1997년에 발매된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 여기서 이야기하는 1위 후보는 1998년 2월 이야기이다. NRG의 첫 1위 수상은 2003년이기때문에 사실상 5년으로 봐야한다.

  • 1998년 12월 19일, M.net 《가요 베스트 27 - 98 좋은 뮤직비디오 우리가 뽑는다》에서 여자 신인 부문 뮤직 비디오상을 수상했다는 정보가 있다. PC 통신 나우누리가 존재하였을 때 남겨진 글들을 통해서 정리된 내역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시 아날로그 시대적 상황상 남겨진 문헌이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주제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언론 기사는 남아있으나, 실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언론 기사나 당시 잡지, 영상 등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물론 아날로그 시대적 상황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당시에 크게 다뤄진 수상 내역이고 확실히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신빙성이 더해지겠지만, 해당 수상 기록은 활동 당시에도 크게 다뤄지지 않은 부분이며 당시 팬들이 거의 인지하지 못 했던 내용이다. 사실 케이블 가요 프로그램에서 다뤄진 내용이기에 큰 권위나 중요도를 가진다고 보기도 힘들며, 해당 부문에 선정 되었어도 실물 트로피를 수여하는지 여부 또한 알 수 없다. 만약 별도의 트로피를 받은 게 아니라면 수상 내역이라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다. M.net은 지상파나 종편과 다르게 개인에게 영상 판매를 하는 시스템도 없고, 다시보기도 있을 리가 만무하고 일반 팬이 해당 사실을 이제 와서 정확하게 입증하는 것도 아예 불가능한 상황이다. 결국 사실인지 아닌지는 M.net 측에서 영상을 공개하기 전까지는 그 누구도 확실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아예 불확실하다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실제로 해당 주제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언론 기사는 분명하게 남아있으며, 동시대 보이그룹 신화도 해당 프로에서 수상했다는 정보가 있다.


[1] 당시,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시상식은 특정 기업과 협업하여 해당 기업의 이름을 상 명칭 앞에 붙이는 식이었다.[2]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인기 가수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다.[3]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올해의 가수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4] 원래 시상식 명칭은 《10대 가수 가요제》이지만, 1998년에는 《가요제전》이라는 명칭으로 바꿔서 개최하였다.[5]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인기 가수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6] 정확한 상 명칭은 '가요대상'이나, 당시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가요대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상'보다 위 급의 상으로 오해될 소지가 다분하기에, 부득이하게 상의 본래 의미에 맞는 명칭으로 수정하여 기재하였다. S.E.S. 외에도 당시 이 상을 받은 가수들 팬들 모두 이러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 모두 '본상'이라고 자체적으로 수정하여 정리한다.[7] 이러한 상 명칭은 2000년, 2001년 시상식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때, 2000년 시상식에서는 아예 수상자들이 소감을 말 할 때 '가요대상'이라고 자막을 띄우기까지 하는데, 이를 근거로 딱 한 팬덤만 해당 상은 대상이라고 끝까지 우기며 S.E.S. 팬덤에게 수년간 분란을 부추기고 있다.[8]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올해의 가수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9] 당시, 《골든 디스크》 시상식은 특정 기업과 협업하여 해당 기업의 이름을 상 명칭 앞에 붙이는 식이었다.[10] 정확한 상 명칭은 '가요대상'이나, 당시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가요대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상'보다 위 급의 상으로 오해될 소지가 다분하기에, 부득이하게 상의 본래 의미에 맞는 명칭으로 수정하여 기재하였다. S.E.S. 외에도 당시 이 상을 받은 가수들 팬들 모두 이러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 모두 '본상'이라고 자체적으로 수정하여 정리한다.[11] '본상'에 준하는 상의 명칭을 '올해의 가수상'이라고 지칭하여 준 것이다.[12] 청소년 범죄 근절에 이바지한 점을 높이 사 수상하였다.[13] '공로상'에 준하는 상이다. 걸그룹의 시대를 연 장본인들로 가요계에 큰 이바지를 한 공헌과 당시로써는 M.net 개국 이후 최다 수상자라는 점을 높이 사 수상하였다.[14] KMTV는 폐국 후 M.net에 합병 되었다.[15] 당일 스타 청백전 MVP로 진행된 ARS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고 트로피를 받음. 당시 MBC 음캠은 이런 식으로 특정한 날 특집을 정해서 MVP 1위 트로피를 준 적이 5번 있었다.[16] 코요태의 정규 3집 후속곡 "파란"을 KBS뮤직뱅크에서 2번, MBC음악캠프에서 2번으로 총 4주 연속으로 이긴 날이다.[17] 핑클의 정규 4집 타이틀곡 "영원"을 이기고 1위를 수상했다.[18] 한국어 위키피디아 정보 참고. 정확한 언론 문헌은 남아있지 않다.[19] 당시 지역 민방 중 유일한 음악 방송이다.[20] 지금은 폐국 된 방송사로 정확한 방영일 정보를 찾을 수 없다.[21] 정확한 일자는 확인 불가.[22] 팬 커뮤니티에 남겨져 있는 당시 방송 후기글 문헌 참고하여 작성. 재방송일 확률도 있으므로 날짜는 틀릴 수 있다.[23] 날짜는 정확하지 않다. 한국어 위키백과에 최초로 기여한 사용자의 내용에 따라 작성 된 것. 14년만에 희귀 영상이 공개되었는데 어쨌든 그동안 흙오이로 묻힐 뻔 한 소중한 기록 영상이 발굴되었다는 거 자체에 의의를.[24] 2005년 11월 27일 M.net·KM 뮤직 비디오 페스티벌 'PD 선정 특별상'.[25] 2008년 11월 15일 보이그룹 H.O.T.M.net·KM 뮤직 비디오 페스티벌에서 'MKMF 10주년 기념 리멤버 1999상'을 수상함으로써, S.E.S.가 아이돌 그룹으로서 3년간 유일하게 가지고 있던 기록에서 남녀 그룹으로서 함께 나눠 가지게 되었다.[26] 2005년 11월 27일 M.net·KM 뮤직 비디오 페스티벌 'PD 선정 특별상'.[27] 1999년 1월 13일 MBC 음악캠프에서 캠프 차트 1위와 스타 청백전 특집 MVP 1위를 두 번 수상하였다.
MBC 음악캠프 1기는(방송 기간: 1998.04.25 ~ 1999.01.23) 1998년 8월 15일부터 1999년 1월 23일까지 '캠프 차트'라는 정식 순위제를 시행하였다. 캠프 차트는 PC 통신을 통해 사전 인기투표를 진행한 결과를 매주 방송마다 발표하였고, 3주 연속 1위를 차지한 가수는 요즘 트리플 크라운 제도와 똑같은 Best of Best를 차지하고 다음 차트부터는 순위에 반영하지 않는 형식이었다.
또한, 당시 MBC 음악캠프 1기와 2기(순위제 부활 전 기간: 1998.05.15 ~ 2000.05.13)의 총 5회 방송분(1기 27회: 1998.10.31 BIG 4 스페셜 MVP 수상 H.O.T. 빛, 1기 33회: 1998.12.26 아듀 1998 송년특집 BEST 10 스페셜 MVP 수상 H.O.T. 빛, 1기 36회 마지막: 1999.01.23 스타 청백대결 MVP 수상 S.E.S. Dreams Come True, 2기 7회: 1999.06.26 특집 상반기 가요계 결산 MVP 수상 신화 T.O.P, 2기 20회: 1999.09.25 추석 특집 인기가수 청백대결MVP 수상 박지윤 아무 것도 몰라요)은 그날 다양한 특집 타이틀을 내세워 생방송 출연 가수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전화 투표를 진행하여 가장 많은 득표수를 얻은 MVP 가수에게는 1위 트로피를 주었다.
이 기록은 IMF 이후 음방 순위제가 들쑥날쑥 한 시기였고, 시기와 타이밍도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 생긴 기록이다.
[28] 2001.2.18 SBS 인기가요, 2001.2.22 KBS 뮤직뱅크, 2001.2.24 MBC 음악캠프.[29] 2022년 9월 4일 기준으로 5위 기록. 기준 날짜는 S.E.S 횟수를 경신하고, 그로 인해 순위 변동이 생기는 날짜를 기준으로 작성함.[30] 2010년 4월 4일 SM 직속 후배 걸그룹인 소녀시대SBS 인기가요에서 Run Devil Run으로 1위를 차지하며 해당 기록을 경신하였다.[31] 이후, K-Pop이 세계적으로 뻗어나가며 광범위한 성장을 이뤄내고 아이돌 그룹 수명이 늘어남으로 인해서 해당 기록은 계속 경신 중이다.[32] 2집 S.E.S. 2의 타이틀곡 Dream Come True 6회, 후속곡 너를 사랑해 6회, 총 12회.[33] 4집 타이틀곡 감싸안으며 총 8회.[34] 이때나 지금이나 통산 3주를 트리플 크라운으로 보고있다.[35] 총 6번. Dreams Come True KBS 뮤직뱅크, 너를 사랑해 KBS 뮤직뱅크, SBS 인기가요, 감싸안으며 KBS 뮤직뱅크, MBC 음악캠프, U SBS인기가요[36] 3주 연속 1위[37] 당시 지상파 음악 방송에서는 3주 연속 1위를 해야 트리플 크라운 기록으로 쳤는데, 지금과 같이 연속이 아니라 통산 3주 1위 기준으로 잡아도 S.E.S.가 유일하다.[38] 총 32회. 2위는 핑클 30회.[39] 총 8곡. 핑클도 8곡으로 동일 기록을 가지고 있다.[40] H.O.T, 젝스키스, S.E.S, 핑클, 신화, god 이렇게 총 6팀을 1세대 6대 천왕 아이돌로 일컫는다.[41] 요즘으로 치면 트리플 크라운[42] 지금 KBS2 뮤직뱅크 처럼 종영 주 1위 수상 가수와 노래를 공식 홈페이지에 발표하는 것을 생각하면 더 이해하기 쉬울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S.E.S. 문서의 r23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S.E.S. 문서의 r23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2:23:10에 나무위키 S.E.S./가요 프로그램 1위 경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