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1주/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1주

Rank Decision
순위 결정전
(2/5~2/7)
Weekly Series
1주
WS / WF / B16
(2/8~2/14)
2주
WS / WF / B16
(2/16~2/21)
3주
WS / WF / B16
(2/23~2/28)
Survival
Tornament
서바이벌 토너먼트
(3/5~3/7)
Weekly Series
4주
WS / WF / B16
(3/9~3/14)
5주
WS / WF / B16
(3/16~3/21)
6주
WS / WF
(3/23~3/28)
결산


1. 개요
2. 사전 예상
3. 경기 진행
3.1. 1일차
3.1.1. 1경기
3.1.2. 2경기
3.1.3. 3경기
3.1.4. 4경기
3.1.5. 1일차 총평
3.2. 2일차
3.2.1. 5경기
3.2.2. 6경기
3.2.3. 7경기
3.2.4. 8경기
3.2.5. 2일차 총평
4. 1주차 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총평


1. 개요[편집]



2. 사전 예상[편집]




3. 경기 진행[편집]


파일:PGC white.png 1주차 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경기별 우승팀
날짜
1경기
2경기
3경기
4경기
1일차파일:ENCE_2020.pngENCE파일:ENCE_2020.pngENCE파일:MCG_logo.pngMCG파일:DetonatioN_Gaming_White.pngDGW
2일차파일:Digital_Athletics_logo_notext.pngDA파일:ELEMENT36JP_Logo.pngE36파일:DWG KIA 엠블럼.svgKIA파일:ELEMENT36JP_Logo.pngE36

중계진
일차1일차2일차
캐스터박한얼
해설가김동연
고수진


3.1. 1일차[편집]






3.1.1. 1경기[편집]


경기 요약
미라마
Match 1
파일:Miramar_Minimap.png
1위파일:ENCE_2020.png ENCE
2위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3위파일:divine_LG_only_logo.png LG Divine


3.1.2. 2경기[편집]


경기 요약
미라마
Match 2
파일:Miramar_Minimap.png
1위파일:ENCE_2020.png ENCE
2위파일:Global Esports Xsset_only.png Global Esports Xsset
3위파일:DivisionX_Gaming_logo.png DivisionX Gaming


3.1.3. 3경기[편집]




3.1.4. 4경기[편집]




3.1.5. 1일차 총평[편집]



파일:PGC white.png 1주차 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1일차 순위표 (2021. 2. 13)
순위팀명총점총합1경기
미라마
2경기
미라마
3경기
에란겔
4경기
에란겔
비고
순위 점수킬 점수순위순위순위순위
1파일:DetonatioN_Gaming_White.pngDGW4319244th28th14th8
1st
13
2파일:ENCE_2020.pngENCE422022
1st
8
1st
811th413th2
3파일:Daytrade_logo.pngDAY3210228th36th9
2nd
78th3
4파일: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로고.svgBRU3213199th64th35th1
2nd
9
5파일:DivisionX_Gaming_logo.pngDXG30102015th3
3rd
6
3rd
109th1
6파일:MCG_logo.pngMCG25111410th17th4
1st
815th1
7파일:Zenith_logo_only.pngZEN244206th410th49th86th4
8파일:Global Esports Xsset_only.pngGEX2261614th4
2nd
1015th216th0
9파일:DWG KIA 엠블럼.svgKIA221012
2nd
65th28th410th0
10파일:Tianba esports_logo.pngTian208125th313th17th14th7
11파일:Meta Gaming_logo.pngMETA1811712th514th314th37th6
12파일:divine_LG_only_logo.pngLGDV1358
3rd
712th013th114th0
13파일:Petrichor_Road_logo.pngPeRo1201213th415th416th111th3
14파일:T1 LoL 로고.svgT111387th29th16th112th4
15파일:ELEMENT36JP_Logo.pngE36115616th111th112th0
3rd
4
16파일:Digital_Athletics_logo_notext.pngDA73411th016th110th05th3

위클리 서바이벌에서 졸업 룰을 채택하고 16경기를 치른 탓인지 누적점수제인 Bottom16도 초반에는 중앙으로 헤쳐모여 형태로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2경기 막바지를 기점으로 본인들의 전투력을 믿고 킬을 쓸어담는 팀들이 나오면서 예상하지 못했던 팀들이 두각을 많이 나타냈다.

서바이벌에서 많은 경기를 치르고 온 팀들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부진이 길어졌다. 특히 16경기를 모두 치른 T1, Digital Athletics, LG Divine은 일주일 전 순위결정전의 모습조차 보여주지 못하고 완전히 무너졌으며 그나마 담원과 Tianba만 한경기씩 좋은 모습을 보여줬을 뿐 하위권으로 쳐지고 말았다. 그렇지만, 서바이벌에서도 남다른 전투력으로 상대팀을 때려잡았던 ENCE와 Buriram United Esports는 그 전투력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최상위권 한켠을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오히려, 서바이벌에서 경기를 별로 치르지 않은 팀들은 인상깊은 모습을 많이 남겼다. MCG는 중국 3팀 중에서 가장 괜찮은 모습을 보여줬으며, DIvisionX Gaming은 담원과 티원을 쓸어버리고 수많은 킬을 챙겨가는 등 굉장한 모습을 보여줬다. Detonation Gaming White는 꾸준히 상위권을 먹는 것은 물론이고 과감하게 달려들어서 스쿼드를 깨끗하게 닦고는 장거리 샷으로 다른 팀을 견제하고 킬을 뺴먹는 등 완전히 환골탈태했다.

전체적으로는 ENCE와 Detonation Gaming White를 제외하면 동남아 팀들이 약진했고, 기존 강팀들의 부진이 길어지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경기 내적인 내용과는 별개로, 해설진 측에서 준비가 조금 부족한게 아니냐는 말이 일부 나왔다. ENTER FORCE.36를 이전 명칭인 Element.36라고 4경기 내내 계속 말했으며[1], Petrichor Road는 페로(PeRo)라고만 말해고 단 한번도 제대로 이름을 말하지 못하는 등 진출 팀들의 이름조차 계속 헷갈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갑작스럽게 호출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쉬운 부분.


3.2. 2일차[편집]






3.2.1. 5경기[편집]




3.2.2. 6경기[편집]


경기 요약
미라마
Match 6
파일:Miramar_Minimap.png
1위파일:ELEMENT36JP_Logo.png ENTER FORCE.36
2위파일:T1 LoL 로고.svg T1
3위파일:ENCE_2020.png ENCE


3.2.3. 7경기[편집]




3.2.4. 8경기[편집]




3.2.5. 2일차 총평[편집]



파일:PGC white.png 1주차 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2일차 순위표 (2021. 2. 14)
순위팀명총점총합5경기
미라마
6경기
미라마
7경기
에란겔
8경기
에란겔
비고
순위 점수킬 점수순위순위순위순위
1파일:DWG KIA 엠블럼.svgKIA3916234th18th6
1st
107th6
2파일:Petrichor_Road_logo.pngPeRo387315th1314th34th1215th3
3파일:MCG_logo.pngMCG341519
2nd
7
3rd
311th1
2nd
8
4파일:ELEMENT36JP_Logo.pngE3632201210th0
1st
810th0
1st
4
5파일:Zenith_logo_only.pngZEN29101915th44th68th2
3rd
7
6파일:Tianba esports_logo.pngTian256198th612th2
3rd
99th2
7파일:DetonatioN_Gaming_White.pngDGW2391411th26th5
2nd
78th0
8파일: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로고.svgBRU224187th715th213th15th8
9파일:Daytrade_logo.pngDAY22913
3rd
79th315th04th3
10파일:Digital_Athletics_logo_notext.pngDA221012
1st
713th19th212th2
11파일:ENCE_2020.pngENCE207136th5
3rd
716th011th1
12파일:T1 LoL 로고.svgT1208129th0
2nd
612th36th3
13파일:divine_LG_only_logo.pngLGDV1641216th17th35th616th2
14파일:Meta Gaming_logo.pngMETA1511413th016th07th713th7
15파일:Global Esports Xsset_only.pngGEX72512th111th16th110th2
16파일:DivisionX_Gaming_logo.pngDXG60614th010th414th014th2

서바이벌 막바지부터 크게 고전하던 담원과 중국팀이 부활했다. 담원은 드디어 강력한 교전능력이 빛을 되찾았고 중국팀들도 망가졌던 교전 능력이 다시 돌아왔다. 특히 Petrichor Road는 오로지 무력만으로 점수를 뜯어내 상위권으로 올라왔다. 다만, 중국은 Tianba가 여전히 불안불안한 자기장 진입을 보여주면서 제 컨디션을 찾지 못했고, T1은 LG Divine과 Digital Athletics와 함께 끝없는 부진에 휘말려서 졸전을 펼치다 겨우 살아남았다.

1일차에 동남아가 강세를 보였다면 2일차에는 일본팀들이 강세를 보였다. DetonatioN은 전체적인 교전 능력 자체가 한 클래스 상승하면서 2일차 최강의 전투력을 자랑하던 Petrichor Road를 잠재우는 등 괜찮은 모습을 이어가면서 2일차 7위, 전체 1위를 차지했고 ENTER FORCE.36는 신들린 자기장 운영과 엄청난 방어전 능력을 과시하면서 2치킨을 가져갔다.

동남아는 기세가 한풀 꺾였다. Buriram United Esports와 Daytrade Gaming은 강력한 전투력으로 상위권에서 주도권 다툼을 했지만 부활한 한국과 중국의 막강한 전투력에 어제만큼의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LG Divine은 끝까지 제 모습을 찾지 못하고 간신히 생존하는데 그쳤으며, DivisionX Gaming은 어제의 날카로운 전투력이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는지 부딪힐 때마다 꺾이면서 2일차 꼴찌로 하위권으로 내려가고 말았다.

유럽은 체면을 크게 구겼다. ENCE도 어제의 그 모습과는 달리 위험한 위치에서 싸먹히면서 오래 버티지 못하는 장면이 많이 나왔고, Digital Athletics는 치킨을 한번 가져가긴 했어도 결국 부진을 극복하지 못하고 1주일을 쉬게 되었다.

북미의 Zenith는 꾸준한 점수를 가져가긴 했지만 2일차 경기 내내 한 끗발이 부족했고, 대만과 중남미는 객관적으로 약체라는 평가를 뒤집지 못하고 2일차 최하위권을 차지하면서 1주차와 별로 다를 바가 없는 출발이 확정되었다. 특히, META GAMING은 WICK2D 개인 기량은 괜찮았지만 팀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으면서 언어상의 장벽으로 인한 오더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 상태다.


4. 1주차 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총평[편집]



파일:PGC white.png 1주차 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순위표
순위팀명총점총합1일차2일차비고
치킨순위 점수킬 점수순위 점수킬 점수순위 점수킬 점수
1파일:DetonatioN_Gaming_White.pngDGW661283843192423914
2파일:ENCE_2020.pngENCE622273542202220713
3파일:DWG KIA 엠블럼.svgKIA6112635221012391623
4파일:MCG_logo.pngMCG5912633251114341519
5파일: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로고.svgBRU540173732131922418
6파일:Daytrade_logo.pngDAY540193532102222913
7파일:Zenith_logo_only.pngZEN530143924420291019
8파일:Petrichor_Road_logo.pngPeRo5007431201238731
9파일:Tianba esports_logo.pngTian45014312081225619
10파일:ELEMENT36JP_Logo.pngE3643225181156322012
11파일:DivisionX_Gaming_logo.pngDXG3601026301020606
12파일:Meta Gaming_logo.pngMETA3302311811715114
13파일:T1 LoL 로고.svgT13101120113820812
14파일:Global Esports Xsset_only.pngGEX29082122616725
15파일:divine_LG_only_logo.pngLGDV290920135816412
16파일:Digital_Athletics_logo_notext.pngDA2911316734221012

전체적으로 일본 팀의 엄청난 강세가 나타났다. 하위 팀 1위인 17위를 배출하는 데 성공했고, 8게임 중 무려 3게임에서 치킨을 먹었는데, 자기장을 제대로 받으면 일본 팀 특유의 강한 버티기, 방어적 스탠스에서 나오는 유리함이 그대로 맞아떨어졌다. 그 중 DetonatioN Gaming White와 Enter Force.36이 치킨 구도를 펼쳤던 4번째 경기와 불리한 상황에서의 순위방어가 두드러진 7번째 경기. 그리고 후반 라운드에서 효율적인 전투로 2치킨을 가져가는 데 성공한 Enter Force.36의 모습은 일본팀들의 현재 폼을 어느 정도 보여주는 라운드였다. 특히, PWS부터 거북이의 대명사로 불린 존버의 화신 DetonatioN Gaming White는 과감한 적극성과 근거리 인파이팅 능력이 엄청나게 향상된데다가 장거리 샷 적중률도 크게 좋아지면서 견제,킬 스틸도 많이 늘어나자 기존의 방어전 능력과 운영, 뛰어난 투척무기의 활용까지 합쳐지면서 Bottom16 기준으로는 아예 다른 팀으로 나타났다. 다만 E36 팀은 적극성이 부족해서 2치킨을 가져가고도 하위권이었다는 것은 좀 곱씹어봐야 할 문제.

한국에서는 담원 기아가 첫날의 나사 빠진 모습에서 벗어나 7경기에서 치킨을 먹는 등 둘째날 데이 포인트 1위를 기록하면서 최종 19위로 13경기를 치를 수 있게 되었다. 문제는 T1이었다. 개인 기량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곤 했던 T1은 역시 첫날에는 Starlord 선수가 자주 짤리는 모습이 연출되었고 둘째날에는 Aqua5 선수가 자주 짤렸다. 최하위가 예상되었으나, 마지막에 Aqua5의 개인 기량으로 정말 힘들게 3개의 코인을 얻어냈다.

최악의 지역은 유럽 지역이었다. 2주차에 호텔에서 TV로 이 모습을 지켜보게 된 팀이 무려 유럽에서 나왔다. 그 팀은 바로 Digital Athletics. Digital Athletics는 순간 교전력과 한번씩 번뜩이는 오더로 초반에는 많은 시선을 끌며 자신의 플레이를 어필하였으나, 위크 서바이벌에서 치킨을 먹지 못하고 굴러떨어지면서 완전히 일그러지고 말았다. 특히 해외 채팅창에서는 'DA DA DA' 의 조롱 섞인 웃음이 쏟아졌는데 기본적으로 뇌절플레이를 할 때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부진을 겪고 후반에 가면 특히 부진해진다는 PCS 시절의 모습이 해결되지 못했다. 심지어 이번 1주차 하위 순위결정전에서 치킨을 한 번 먹는데 성공하고도 나머지 매치에서 처참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치킨 먹고 최하위라는 역대급 조롱을 듣게 되었다. 그 외의 유럽 팀 역시 ENCE는 초반 2치킨으로 기세를 올렸으나, 생각보다 나머지 6라운드에서는 점수를 많이 올리지 못했다. 그래도 첫날 2위에 이어 둘째날에도 중상위권 팀들이 ENCE의 점수를 넘보지 못하며 최종 18위, 14게임을 치를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지역은 첫 주 최악의 기량을 보이며 모습을 보이지 못한 Multi Circle Gaming이 피드백을 제대로 해 온 듯 날카로운 경기력을 보이면서 20위, 다음 주 위크 서바이벌에서 12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그리고 Petrichor Road 역시 후반 4경기에서 Mamu 선수가 한 경기 10킬을 찍는 등 많은 킬수를 기록한 두 판을 바탕으로 순위를 크게 끌어올렸다. 반면 Tianba는 여전히 정신 못 차리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첫날에 점수를 어느정도 쌓아둬서 망정이지 둘째날 부진으로 생각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교전에서도 기습에서는 좋은 모습이 많이 나왔으나, 전면전에서는 밀리는 경우가 많았다.

동남아 지역은 초반 경기에서는 DivisionX Gaming, 후반에는 Buriram United Esports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비교적 꾸준했던 Daytrade Gaming, Buriram United Esports는 각각 21,22위의 상위권에 위치하면서 다음 주 위크 파이널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그러나 첫날 좋은 성적을 거뒀으나 전체적인 수준은 이 두 팀보다 낮다고 평가받는 DivisionX Gaming은 둘째날 6점에 그치며 하위권으로 치고들어갔다. 의외의 부진은 LG Divine에서 나왔다. 위크 서바이벌에서의 탈락이 꽤 충격이 컸던 모양이다. 자리를 먼저 선점하는 경우가 드물었고, 자리를 선점해놓고도 6경기에서 담원 기아와의 싸움에서 대부분이 쓸려나가는 등 제대로 자리를 지키지도 못했다. 7경기에서 DGW가 먹던 집단지 자리를 뺏어내지 못했으면 최하위는 LG Divine이 되었을 것이다.

나머지 지역들에서 북미 Zenith는 전체적으로 고른 점수를 가져가면서 중상위권에 위치했으나, 차이니즈 타이페이/홍콩/마카오의 Global Esports Xsset, 라틴 아메리카 팀 META GAMING은 하위권을 찍을 것이란 예상대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타이밍 늦은 진입속도, 교전에서는 무너지는 특징이 여전한 모습이었다.

LG Divine, T1, Digital Athletics, Tianba Esports, 그리고 첫날의 담원까지 포함해서 서바이벌에서 16경기를 치른 팀의 부진이 길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서로 다른 룰로 인한 적응 문제와 그 많은 경기를 치르고도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했다는 멘탈의 문제가 상당히 크게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2주차에 서바이벌을 치르는 팀들은 이에 대한 고려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해설들에 대한 평가는 첫째날보다는 피드백을 개선해 온 것인지 조금 더 듣기 좋아졌다는 평. 첫째날에 잔실수도 전체적으로 많았고 조금 경직된 듯한 모습이었던 저스티스, 고수진 해설이 중간중간 특유의 콩트를 던져가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20:01:15에 나무위키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1주/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김동준 해설도 이것에 대해서는 자주 착각을 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팀명 전체가 바뀐 것이 아니라 그런지, Enter Force라는 명칭이 익숙하지 않은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