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Over The Radio/역대 변천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Over The Radio






1. 개요[편집]


Over The Radio의 역대 운영과 진행, 그리고 이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됐다.


2. 2014년[편집]



  • 8월 25일, 오더라 공식 블로그에 DJ가 공개됐다.

  • 9월 1일, 첫 방송인 프롤로그 공개와 함께 오더라가 공식적으로 시작했다.[1]





3. 2015년[편집]


  • 1월 27일, 기존의 격주 수요일 밤 10시 방송에서 매월 둘째, 넷째주 수요일 밤 10시 방송으로 방송 일정이 변경됐다. 이에따라 2월 4일 방송은 하지않게 됐다.

  • 2월 27일, 오더라를 기존 채널인 유튜브와 아프리카TV에서 뿐만 아니라 Apple Podcasts팟빵에서도 들을 수 있게 됐다.








4. 2016년[편집]


  • 9월 7일, 48회부터 한 달에 한 번,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밤 9시에 본방송을 진행하는 것으로 개편됐다.

  • 10월 19일, 49회방송 분량이 너무 길어져, 한 달에 한 번 방송 개편에도 불구하고 49회를 둘로 나누어 49회 첫번째 방송은 10월 12일에, 49회 두번째 방송은 10월 19일에 방송했고, 이후 재방송은 하나로 합쳐져서 업로드됐다.[2]


  • 11월 9일, 아프리카TV의 서버 오류로 인해 50회 본방송이 지연되어, 9시 시작 예정이었던 방송이 9시 23분에 방송이 오픈됐다.

  • 11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오더라 네이버 블로그에서 연말맞이 Over The Radio 앙케이트!Over The Raido 인기 투표[3]를 진행했다.




5. 2017년[편집]





  • 9월 3일, 보라보이스[4] 채널에 홍쉡의 고급진 식탁♡ - 식당 X 오더라 컬래버 영상을 업로드했다.[5]




6. 2018년[편집]


  • 1월 9일, 63회도 49회와 마찬가지로 분량문제로 인하여 1부 2부로 나누어 방송하는 것이 공지됐다.[6]


  • 1월 24일, 연기되었던 63회 2부가 방송됐다.


  • 4월 4일, 66회부터 기존의 월 1회 오후 9시 방송에서, 매월 줄째 주와 넷째 주 수요일 오후 10시로 방송 일정 및 시간이 변경됐다.#


  • 7월 11일, 72회 본방송이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지연됐다.




  • 10월 27일, 이미테이션 쇼케이스가 진행됐다.





7. 2019년[편집]


  • 2월, 이미테이션 오디오 드라마 CD가 발매되었다.

  • 3월 9일, 이미테이션:Hear the stage 오디오 드라마 공연을 진행했다.

  • 4월 8일, 유튜브 채널을 현재의 유튜브 채널로 이전했다.

  • 4월 10일, 현재 유튜브 채널로 이전 이후의 첫 방송인 89회가 방송됐다.

  • 4월 14일, 현재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영상 및 음성의 재편집을 금지했다.

  • 5월 8일, 90회에서 공약한 구독자 1만명 돌파 공약 이행 예고편이 업로드 됐다.





  • 9월 16일, 기존의 유튜브 채널이 유튜브 정책에 따라 유지가 어려워져 삭제됐다.

  • 9월 18일, 99회가 9월 둘째주가 아니라 9월 셋째주에 방송됐으며, 9월 방송은 99회 한회만 방송했다.

  • 9월 21일, 세번째 오더라 공개방송이 진행됐다.[7]






  • 12월 25일, 104회 본방송에서 "크리스마스 특집! Over The Radio 본방사수 이벤트"를 진행했다.




8. 2020년[편집]



  • 3월 25일, 110회가 유튜브 구독자수 3만명 달성 공약으로 오더라 역사상 두번째 생방송으로 진행됐으며, 생방송 사수 이벤트도 진행했다.


  • 4월 6일, 네이버 오디오클립 런칭 및 111회 기념으로 "네이버 오디오 클립 구독하고 빼빼로 받자!" 이벤트를 진행했다.




  • 6월 24일, 116회가 유튜브 구독자수 4만명 달성 공약으로 오더라 사상 세번째 생방송으로 진행됐으며, 생방송 사수 이벤트도 진행했다.

  • 6월 25일, 현재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영상 및 음성의 재편집[8]허용했다.







9. 2021년[편집]


  • 2021년 1월 6일에 현재 유튜브 채널의 누적 조회수 100만회를 넘겼다.

  • 129회[9] 부터 새로운 오프닝 멘트와 클로징 멘트가 추가되었다.
▼새로 추가된 오프닝ㆍ클로징 멘트 [ 펼치기 · 접기 ]▼

둘째 주 수요일 밤의 확!실한 즐거움~
Over The Radio~
구독과 좋아요 잊지 마세요~
- 129회
수요일 밤의 소확행
Over The Radio~
구독과 좋아요 잊지 마세요~
- 130회
한달에 두 번 여러분의 수요일 밤을 책임지는~
Over The Radio~
구독과 좋아요 잊지 말아요~
- 131회
홍범기 : 한달에 몇 번? 두 번! 언제? 수요일 밤~
신용우 : 꺟하핳ㅎㅎ하핳ㅎ하핳ㅎㅎ하핳핳
홍범기 : 다시하자 안되겠닿ㅎㅎ 어우 때문에 자꾸 깨졌어 ㅜㅜ
신용우 : 왜 이거 써 그냥 ㅋㅋㅋ 좋구만 왜
홍범기 : 끝까지 얘기 못했잖아 ㅠㅠ ... 한달에 몇 번?
신용우&홍범기 : 꺟하핳ㅎㅎ하핳ㅎ하핳ㅎㅎ하핳핳
신용우 : 여러분의 수요일 밤을 책임진답니닿ㅎ Over The Radio! 구독과 좋아요 잊지 마세요~
- 132회[1]

[1] 오프닝 멘트가 저렇게(...) 되는 바람에, 클로징 멘트는 결국 131회 오프닝 멘트를 가져다 썼다.
같은 내용의 멘트를 회차마다 조금씩 변형시키며, 동일한 멘트를 오프닝때는 홍범기 성우가, 클로징때는 신용우 성우가 멘트를 친다. 미리 준비된 멘트를 돌려쓰기도 하고, 새로운 멘트를 만들어서 쓴다.

  • 2월 4일, 현재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 5만명을 넘겼다. 109회에서 유튜브 구독자 수 5만명 달성시 오프라인 사인회를 개최한다는 공약을 걸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개최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결국 2021년 2월 8일에 오프라인 사인회 개최는 포기하고 다른 방법으로 이벤트를 준비할 예정임을 공지했다.













10. 2022년[편집]








  • 8월, 8월 10일에 165회가 방송 예정이었으나, 내부사정에 의해 휴방[10]하게 되어 165회는 8월 24일에 방송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매월 둘째주 방송은 홀수 회차, 넷째주 방송은 짝수 회차였던 것이 서로 바뀌게 되었다.





  • 12월 21일, 오더라 사상 일곱번째 생방송인 173회를 진행했으며, 173회에서 6만명 달성시[11] 오프라인 행사(공개방송)를 고려해보겠다고 했다.(사실 6만명은 핑계이고, 그동안 오프라인 행사를 코로나 19로 인해 하지 못한 것이 아쉬워 코로나로 인한 행사 제한이 완화되면서부터 오프라인 행사를 하고 싶었다고 한다.)


11. 2023년[편집]


  • 2023년 1월 25일에 현재 유튜브 채널의 누적 조회수 200만회를 넘겼다.


  • 4월 10일, 유튜브 채널 이전 전의 마지막 회차인 88회가 업로드 되면서 채널 이전 작업이 모두 끝나게 되었다. 2019년 4월 8일에 현재의 유튜브 채널로 이전 후 4년 2일(1464일) 만이다. 이에 따라 오더라의 프롤로그부터 최신 회차까지 모두 현재 유튜브 채널에서 들을 수 있게 되었다.[12]

[1] 프로필에 적혀있듯 오더라 46회 공지사항에서 프롤로그 공개일이 오더라 공식 시작일의 기준임을 밝혔다.[2] 49회 방송의 길이는 무려 3시간 25분이다.(...)[3] 오더라에 등장하는 홍범기 성우와 신용우 성우의 부캐들에 대한 인기투표이다.[4] 당시 오더라 유튜브 채널이 아니라 보라보이스 채널에 업로드 된 덕분에 현재 유튜브 채널로의 이전 이후에도 살아남은 영상이 될 수 있었다. 이후 해당 영상은 이후 2022년 4월 27일에 오더라 유튜브 채널에도 업로드 됐다.[5] 59회에서 밝히길, 신용우 성우가 기획하기는 했지만 만약 돈을 받았다면 내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할 정도로 결과물이 딱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6] 63회는 49회의 기존 기록인 3시간 25분을 넘은 3시간 41분 분량이다.[7] 공개방송 2부가 오더라의 100회 방송이 됐다.[8] 2019년 4월 14일부터 금지됐었다.[9] 2021년 첫 방송[10] 8월 방송 녹음이 8월 8일에 잡혀있었는데, 홍범기 성우가 코로나에 확진되어 8월 8일까지 자가격리를 하게 됨에 따라 녹음을 진행할 수 없었다고 한다. 출처(20분 50초부터) 참고로 신용우 성우는 홍범기 성우의 확진 한참 이전에 이미 코로나를 거쳤다고 한다.[11] 173회 생방송 당시 구독자 수는 약 57,500명이었다.[12] 2023년 4월 10일 이전까지는 올라오지 않은 회차를 팟빵이나 애플 팟캐스트앱에서 들어야만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4:32:42에 나무위키 Over The Radio/역대 변천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