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1 철모

덤프버전 :


🎩 모자 👒
[ 펼치기 · 접기 ]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실크 햇 · 스텟슨 햇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파일:rs=w_600,h_600.jpg
[1]

1. 개요
2. 상세
3. 사용 국가
3.1. 프랑스
3.2. 서독
3.3. 대한민국
3.4. 일본
4. 매체에서


1. 개요[편집]


M1 Helmet

미군이 1941년부터 1985년까지 사용한 철모.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등 미군이 참전한 굵직한 전쟁에서 활약하였으며 미군 이외에도 이 M1 철모 및 M1 철모의 형상은 2차 대전 이후부터 현재까지 무려 반백년 동안 전 세계 서방권 군대의 사실상 표준 전투장비 레퍼런스로 군림했다.


2. 상세[편집]


미군은 1차대전에 참전하면서 철모를 도입하고자 하였고, 영국제 브로디 헬멧을 카피하여 M1917/A1 브로디 패턴 철모를 개발했다. 원판과 비교했을때 챙이 더 평평해지고 넓어졌다는 차이점이 있으나 원판보다 여러모로 떨어진다는 악평을 대차게 들었다. 그래서 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새로운 철모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독일제 슈탈헬름과 비슷한 철모가 개발되지만 방호력이 기존의 브로디 헬멧보다 부족하다는 점 때문에 채택되지 못했다.

결국 미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초기에도 이 M1917/A1 철모를 착용하게된다. 그러나 극악의 착용감과 쓰레기같은 턱끈 덕분에 모든 장병들이 턱끈을 안 조이면 철모가 벗겨지지만 "차라리 그게 더 낫다", "쓰고 있으면 오히려 더 위험하다"며 마구 까댔다. 결국 미군은 M1 철모를 새로 개발하게 된다. 다만 최후방 부대는 종전때까지도 여전히 이 헬멧에 1차 대전 최악의 군장인 M1910 하버색을 사용하고 있었다.

파일:m1helmet.jpg
M1 철모는 이전의 철모들과는 다르게 강철제 외피(shell)와 합성수지제 내피(liner) 2중구조로 만들어졌고, 부유대는 내피에 달려있다.[2]

따라서 외피 내부엔 어떠한 부유대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피만 갖고서는 착용이 불가하지만, 그 부유대가 없는 점 덕에 외피를 뒤집어 냄비로 쓰는 것은 일상이었고, 삽이 없을 때 대신 철모 외피로 땅을 파거나, 심지어는 내피가 외피와 머리의 접촉을 아예 차단해 준다는 것을 이용해 변기가 없거나 사용이 불가할 때 간이 화장실로 쓴 사례가 있다. 베트남 전쟁이 끝난 뒤에 베트남에선 이 철모가 민간에 많이 퍼져 한때는 바가지로 쓰인 적도 있다! 카더라도 아니라 90년대 초에 베트남을 여행간 한국 여행가가 본 책자에서 사진이 올라온 바 있다.

이 내피는 그 자체로도 튼튼한 작업모 역할을 할 수 있어 비전투 상황 혹은 그다지 큰 전투가 아닐 때는 내피만 착용하고, 전투 상황이 되면 외피까지 쓴 후 내피의 턱끈을 외피 앞 챙에 묶어 고정하고 외피의 턱끈을 턱끈으로 착용하는 방식이다. 외피 턱끈도 착용하고 싶지 않을때는 뒷 챙에 묶어서 고정했다. 때문에 M1 헬멧을 처음 보게 되면 '어? 턱끈을 2개 묶어놨네?' 하고 어리둥절해하는 사람이 많다. 헌병 등 평소에도 위압감 조성을 위해 상시 방탄모를 착용하는 인원들은, 최일선에 투입되는 게 아닌 이상 내피에 헌병, 위병 표시를 도색해 근무시에 외피 없이 착용하여 피로감을 줄였다.[3]

일부러 외피와 내피의 이중구조로 만든 이유는 내탄성과 방어력을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도, 외부에서 큰 충격이 왔을 때 외피와 내피의 공간이 완충역할을 해 주므로 착용자가 받는 상해와 충격을 줄일 수 있기 때문. 철모의 외부가 심하게 찌그러지거나 철판이 뚫릴 정도의 큰 타격을 받아도 최종방어선인 내피까지 총탄에 한꺼번에 뚫리지 않는 한 착용자의 머리는 보호된다. 그밖에도 파손, 오염이나 부식 등으로 겉부분의 철모가 망가져도 합성수지 내피만 무사하면 철모 바깥쪽만 바꿔주면 된다는 기능적인 측면도 있다.


3. 사용 국가[편집]



3.1. 프랑스[편집]


파일:CamScanner 2023-09-10 05.27_1.jpg
원래 프랑스는 2차 대전 직전까지 세계적 표준이었던[4] 아드리안 철모의 원산지로, 당연히 해당 철모를 사용했었다.

그러나 프랑스 본토가 6주만에 항복하고, 겨우 영국으로 망명한 자유 프랑스의 군대는 정규적인 보급체계를 갖추지 못했다. 때문에 미국에서 공여 받은 미국제 M1 철모를 사용했으며[5], 너무 많이 받아서 전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까지 제식으로 쓰고 다녔다.


3.2. 서독[편집]


파일:attachment/군복/독일군/변천사.jpg
패전 이후, 새로 창설된 독일연방군이 도입해 80년대 중반까지 사용했었다. 아예 자체적으로 라이센스 생산하기도 했는데, 이는 독일 제국군국방군의 상징이었던 슈탈헬름을 하루 빨리 퇴출하기 위함이었다.[6]

서독제 M1 철모는 원래 슈탈헬름을 생산하던 설비로 만든 탓에 부유대의 형태가 슈탈헬름의 그것과 똑같다는 것이 특징이다.


3.3.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국군은 창설 초창기부터 M1 철모를 미군에게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허나 한국전 초기에는 철모 보급률이 상당히 낮았기 때문에[7] 구일본군의 90식 철모나 노획한 소련제 철모가 혼용되었으며, 그냥 전투모만 쓰고 전투에 임한 병력들이 많았다.# 이후 본격적으로 UN군의 지원을 받기 시작하면서 M1 철모는 한국군 전 병력에게 지급된다.

파일:external/pds24.egloos.com/d0109178_4fb38d46a9730.jpg
M1 철모는 서양인에 맞춰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한국인 두상에 안 맞고, 강철제 재질이 너무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1970년대부터 모양을 조금 고치고 재질을 나일론 섬유로 바꾼 방탄모를 채택하게 된다. 신교대에서는 보통 "하이바"(...)라고 부르는데 이게 강화섬유 "파이버(Fiber)"를 그 시절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

현재에는 신형 방탄모로 교체되었지만 훈련소에서도 훈련병들에게 보급되거나 예비군들에게 지급되는 방탄모는 여전히 이 형태이므로 군필자들에게도 매우 익숙한 형상일 것이다. 21세기 들어와서는 후두부 보호가 중요시되면서 대체로 더 이상 잘 쓰이지 않는 형상이지만, 2022년 현재까지도 2작사나 해공군 예하 후방/비전투부대나 신병교육 훈련소, 예비군 지원부대에 가면 여전히 이 형상의 방탄모를 사용하고 있다.

이 일명 "하이바"는 제3세계 국가들에 꽤 수출되었는데, 사담 후세인 집권 이후 이라크군의 근대화를 위해 도입하여, 이란-이라크 전쟁 부터 이라크 전쟁까지 사용했다.[8] 그 외 칠레군방글라데시군에서도 도입하였으며, 방글라데시에 수입된 헬멧은 인도에게도 수출되어 약간의 개량을 통해 카길 전쟁등에 사용되었다. 현재는 인도군의 신형 방탄모와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6B47 헬멧 등으로 대체되었지만, 아직까지 다수 사용 중 이다.


3.4. 일본[편집]


파일:아사마.jpg
원래 일본군은 독자적인 90식 철모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패전 이후 설립된 자위대주일미군에게 공여 받은 M1 철모를 사용하였다.

일본 경시청 소속 기동대도 마찬가지로 주일 미군에게 M1 철모를 받아 사용했는데, 위 사진이 아사마 산장 사건 당시의 경시청 소속 기동대다.[9]


4. 매체에서[편집]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acific_poster_ws.jpg


파일:external/www.imfdb.org/SPR_302.jpg

2차 대전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당시의 자유 진영을 묘사할 때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200px-MPmodel.jpg
PASGT 헬멧으로 교체된 90년대, 2000년대 초에도 미군 군사경찰은 여전히 외피를 제거한 M1 철모를 사용했기에 미 헌병을 등장시킬 때도 나온다. 위 예시는 2000년대 초의 미 해병대가 주인공인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의 헌병.

현대 한국군의 훈련병예비군을 묘사할 때도 꼭 등장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 M1 철모에 새겨진 '예비군'이란 문구를 기상천외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클리셰.[10]

[1] 헬멧에 그려진 엠블럼의 사단은 제82공수사단이다.[2] 외피와 내피를 제작하는 부서나 공장이 다른 경우가 많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철모 부위는 미군 군수부(the Ordnance Department )가 생산과 보급을 관리하고, 반면 내피는 미군 병참부서(the Quartermaster Department)에서 생산과 보급을 관리하는 구조였다.[3] 철모 부위의 무게가 약 1kg, 합성수지 부분이 350g 정도이므로 철모를 빼고 하이바만 착용하면 무게가 1/4 수준까지 줄어든다.[4] 영미권과 구 동맹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도입했다. 지금도 소방관 헬멧과 공사장 안전모의 원형으로, 계속 쓰이고 있는 중이다.[5] 때문에 웃지 못할 일화도 있다. 필립 르클레르 장군이 포로로 잡은 샤를마뉴 사단 부대원에게 "왜 독일놈들 군복을 입고 있냐?"라며 크게 질책하자, 포로는 장군의 옷과 자유 프랑스군의 M1 철모를 보고는 "그럼 댁들은 왜 미군 군복을 입고 있소?"라 반박하는 일이 있었다.[6] 다만 국경수비대의 경우, 독일 재통일 직전까지 슈탈헬름을 사용했기도 했다.[7] 오히려 북한군의 철모 보급률이 한국군보다 훨씬 높았다.[8] 현재는 PASGT 헬멧으로 전면 대체되었다.[9] 90식 철모를 쓴 인원은 나가노현 경찰 타격대다.[10] 현실 예비군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으나, 요즘은 예비군 방탄모에도 위장천을 적용하는 바람에 보기 어려워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1;"
, 1.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1;"
, 1.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