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LoLLy Night

덤프버전 :

||
파일:lolly night_new.png
방송 시간일요일[1]
방송 기간2022년 1월 16일 ~
출연김의중, 허승훈
1. 개요
2. 출연진
3. 방영 목록
4. 비판 및 논란
4.1. 작가진에 관한 비판
4.2. 9화에 대한 논란
5. 여담



1. 개요[편집]


2021 LCK 서머까지 진행된 Sunday Night LCK를 계승하는 프로그램으로 매주 일요일 경기 종료 후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토크쇼 프로그램이다.


2. 출연진[편집]




3. 방영 목록[편집]


회차날짜제목게스트영상비고
12022.1.16룰러의 먹방쇼파일:Gen.G 로고 심플.svg Peanut, Rul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022.1.23우리 프로그램.. 정상 영업합니다파일:DRX 로고(2020~2022).svg Pyosik, Def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022.1.30한복 아이번과 데이지 프레스티지파일:Hanwhalogo_std.png OnFleek, Sam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022.2.13코노방구미와 고란노 LCK노 데쿄데 오쿠리시마스파일:kt 롤스터 심볼.svg Rascal, Ar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022.2.20큰 거 온다 - toilet issue -파일:T1 LoL 로고.svg Gumayusi, Ker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2022.2.27건반 위의 고가락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Dread, Ghos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2022.3.6"현재는 체통을 지키는 중.."이라 해명파일:Liiv SANDBOX 로고.svg Dove, Cro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2022.3.20이제는 말할 수 있다. 칸뿡이의 생화학 공격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ShowMak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92022.6.19돌아온 너구리파일:DWG KIA 엠블럼.svg Nuguri, deokdam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2022.6.26마스터 오른과 세리머니 장인파일:DRX 로고(2020~2022).svg Kingen, Pyosik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2022.7.3리코더 부는 커쵸가 밝히는 라스칼의 비밀파일:kt 롤스터 심볼.svg Cuzz, Aimi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2022.7.10오트와 우트파일:T1 LoL 로고.svg Zeus, On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2022.7.17잼민쵸비, 깐 땅콩 폭로전파일:Gen.G 로고 심플.svg Ruler, Lehend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2022.7.24작골듀오와 단빠샤트리오파일:Hanwhalogo_std.png DuDu, Kari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2022.7.31오늘만 사는 엄티파일:Fredit_BRION.png UmTi, La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2022.8.7리브샌박의 현실 계급 시스템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roco, Cloz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2022.8.14사회생활 하는 법: 낙엽이 애교 부릴 때 하는 말?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Canna, Ghos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2023.1.22[단독] 기인, 리헨즈 롤리나잇 출연... 애기쓰 불화설 해명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iin, Lehend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2023.1.29동물특공Dㅐ파일:DRX 로고.svg Rascal, Cro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23.2.5허리포터와 알파카의 Doll파일:Dplus KIA 로고.svg ShowMaker, Def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2023.2.12두 개의 태양 먹방파일:T1 LoL 로고.svg Faker, Gumayusi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2023.2.20여러분의 낭만이 터지고 있습니다!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lozer, Envy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2023.2.27강한 피지컬에 강한 롤이 깃든다파일:Hanwhalogo_std.png Kingen, Vip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2023.3.5진진자라 슈퍼스타파일:Gen.G 로고 심플.svg Doran, Chov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2023.3.12광견들의 폭로전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YoungJae, Taeyo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2023.3.19도내 S급 바둑소년의 알까기 실력은?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Sylvie, Pet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2023.6.11왕호밖에 모르는 바보파일:Gen.G 로고 심플.svg Peyz, Deligh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2023.6.18재밌어져라~ 모에모에 뀽!파일:Dplus KIA 로고.svg Canna, Cany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2023.6.25멋Gym이 폭발한다!파일:Hanwhalogo_std.png Clid, Ze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2023.7.2우린 그걸 '지각'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파일:T1 LoL 로고.svg Zeus, Ker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2023.7.9킹두! 황두! 갓두! 그리고 대두!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DuDu, BuLLDo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2023.7.16커즈메의 문단속파일:kt 롤스터 심볼.svg Cuzz, Bd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2023.7.23광고 하고 싶습니다. 광고 문의는 LCK로~파일:Liiv SANDBOX 로고.svg Willer, Tedd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2023.7.30든리와 지우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DnDn, Jiwo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52023.8.6꼰대, MZ, 섭섭이 그리고 박루한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 Morgan, Hena
파일:DRX 로고.svg Paduck, Bery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비판 및 논란[편집]



4.1. 작가진에 관한 비판[편집]


성승헌 캐스터가 일요일 밤마다 진행하는 Sunday Night LCK가 SNL KOREA의 방영으로 2022년에는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첫 방영된 2019년과 2020년의 SNL은 그래도 재밌있다는 반응이 많았었지만, 2021년부터 랭킹토크 주제 선정 미스와 작가진에 의한 논란으로 여러 불만이 오가기도 했다.

그러다 2022년 2월 20일에 방영된 구마유시, 케리아 편에서 롤리나잇 작가진들의 수준낮은 질문들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경기와 관련된 내용보단 귀엽다, 잘생겼다라는 등 선수들의 외모와 같은 개인적인 사심과 관련된 질문이 많았던 점이 남초 여초를 떠나 공통적으로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받았다. #

그리고 선수들에게 팬이 그린 치어풀을 읽은 컨텐츠 도중 "우리 집으로 가자"라는 남녀성별이 바뀌었으면 충분히 문제가 될 발언을 적은 치어풀을 적당히 거르지 않고 선수들에게 언급하라고 한점도 비판을 받았다.[3] 또한 그동안 부모님, 팀 동료와 같은 선수와 친분이 있던 사람들과 전화연결을 했었는데 갑자기 선수와 친분이 없는 케리아 팬과의 전화 연결을 한것이 굉장히 뜬금 없었다는 반응이 많다. 팬과 통화한다는 취지 자체는 좋았으나 통화에 연결된 팬의 발언들이 쇼에서 다루고자 하던 전반적인 큰 틀에서 벗어나, 오직 케리아 개인에 대한 내용들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다른 선수들이나 같이 출연한 구마유시 선수에 대한 존중이 부족했다는 평가가 많다. 구마유시에게 케리아의 보조를 맞추고 심기를 맞추라는 표현을 비롯해서 일관적으로 케리아에 대한 이야기만 한 팬의 발언과 관련해서는 여러 커뮤니티에서 무례했다고 많은 비판을 받고있다.# 다행히도 구마유시가 저 나가있을까요?, 요즘 원딜 숟가락소리 들어서 괜찮아요하면서 웃어넘겨서 망정이지, 이러한 발언은 구마유시 뿐만 아니라 구마유시 팬들에게도 무례한 발언이다.

해당 편의 전화 연결은 3연패 이후 1승을 챙긴 기념으로 부모님의 전화 연결로 감동을 준 DRX편과, 라스칼 아리아의 흑역사와 커즈+라이프의 전화 폭로전으로 빅웃음을 준 KT편의 전화연결로 이번엔 어떤 전화로 감동과 웃음을 줄까 하는 팬들의 기대를 모았기에 더욱 까였다.[4] 직관을 갔던 팬들 사이에서 롤리나잇에서 치어풀을 제작한 팬들을 대상으로 한 전화연결을 실시한다는 말을 못 들었단 말까지 나오고 있어, 작가가 사심으로 친구에게 연결시켜준 게 아니냐는 유착 문제까지 제기될 정도였다.

과거 OGN 시절의 라이브 토크쇼인 위클리 LCK 토크쇼, 아예 중계를 해설진의 라이브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했던 SPOTV GAMES의 SSL 챌린지와 비교하면 비슷한 포맷임에도 노하우가 많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4.2. 9화에 대한 논란[편집]


2022 LCK Summer 첫 방송이었던 9화의 경우 누가 봐도 준비가 안된 것이 보일 정도로 엉망이었다. 이러한 비판은 스프링때도 동일했지만 적어도 김동준, 성승헌 두 명의 관록으로 어찌어찌 커버할 수 있었던 그때와는 달리 제대로 된 사회자가 없이 선수들이 방송을 자체 진행하다시피 했으며, 키워드 질문이란 명분으로 선수들이 상처를 받을 수 있는 부정적인 단어[5]들을 그대로 보여주거나 악성 채팅의 비중이 상당한 공방 채팅을 필터링도 없이 그대로 읽게 하는 등 수준 이하의 구성을 보였다. 방송 종료 후 채팅창과 각종 커뮤니티의 반응은 당연히 최악이었고 LCK와 제작진을 성토하는 분위기가 나왔다.

결국 10화부터 다시 본래의 포맷으로 전환되었으며 진행자는 김의중 캐스터와 정민성 분석 위원이 참여한다.

5. 여담[편집]


파일:lolly night_2022.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8
, 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8 (이전 역사)
문서의 r83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23:06:35에 나무위키 LoLLy Nigh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요일 LCK 2경기 종료 직후 방송되어 시간이 유동적이다.[2] 원래 프레딧 브리온이 13일에 출연 예정이었지만 김동준 해설과 프레딧 브리온 선수단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해당 날짜는 결방되었다.[3] 그나마 성승헌 캐스터가 재치를 발휘해 핵가족을 언급하며 '이거 핵붕이가 쓴거 아니냐'로 넘어가려했으나, 같은 문구를 적은 치어풀이 또 나오면서 커버를 칠수가 없게되었다.[4] 실제로 많은 시청자들은 케리아의 제우스 조련이야기와, 벵기vs모멘트 누가 더 좋냐는 발언에 모멘트가 더 좋다고 한 것, 페이커의 감봉드립 등을 선수들이 직접 밝히다보니 제우스, 벵기, 페이커 등에게 전화를 해 저번주처럼 다채로운 진행을 하지 않을까 기대를 하고 있었다.[5] 덕담에게는 버스, 너구리에게는 주목받는 경쟁 상대인 제우스에 대한 언급을 시작으로 아예 더 나아가서 돈미새같은 키워드가 올라왔다. 돈미새의 뜻을 차치하더라도 단어 자체가 돈에 미친 새끼라는 원색적 욕설의 줄임말임을 생각하면 얼마나 생각 없는 선정이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6] 광동 프릭스는 2022 시즌 내내 출연하지 못했고, 브리온은 2023 스프링 때 출연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