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O(일렉트로니카 뮤지션)

덤프버전 : (♥ 0)

파일:LFO_Mark Bell & Gez Varley_1990s.jpg
파일:Mark Bell.jpg
1990년대 전성기 시절
마크 벨 (좌) & 게라드 밸리 (우)
솔로 활동 시기의 마크 벨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결성1988년 웨스트요크셔리즈
데뷔싱글 'LFO' (1990년)
앨범 'Frequencies' (1991년 7월 22일)
멤버마크 벨,(Mark Bell),
[ 전 멤버 펼치기 • 접기 ]
게라드 밸리,(Gerrard Varley),
직업DJ | 프로듀서
장르일렉트로니카 | 테크노 | IDM
활동 기간1988년 ~ 1996년[1] | 2003년 ~ 2014년[2]
레이블Warp Records
1. 개요
2. 멤버
2.1. 마크 벨 (Mark Bell)
3. 디스코그래피
3.1.1. Frequencies
3.1.2. Advance
3.1.3. Sheath
3.2.1. What Is House?
4. 여담



1. 개요[편집]


영국일렉트로니카 듀오.

1988년에 결성되어 앨범을 3장 밖에 내지 않았지만, 그것만으로도 업계에서 상당히 대우받는 듀오이다. 뿅뿅거리는 전자음이 특징인 Bleep 테크노로 레이브, 나아가 IDM 씬을 견인했던 뮤지션으로 평가받는다. 에이펙스 트윈, 오테커와 함께 워프 레코즈의 1990년대 초중반 간판스타기도 했다.

2. 멤버[편집]



2.1. 마크 벨 (Mark Bell)[편집]


파일:LFO_Mark Bell_2014.jpg
출생1971년 2월 22일
사망2014년 10월 8일 (향년 43세)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직업DJ | 프로듀서
장르일렉트로니카 | 테크노 | IDM
활동 기간1988년 ~ 2014년
레이블Warp Records

3. 디스코그래피[편집]



3.1. 정규 앨범[편집]



3.1.1. Frequencies[편집]


Frequencies
파일:Frequencies_1991.jpg
발매일1991년 7월 22일
녹음 기간1990년 ~ 1991년
장르테크노 | 애시드 하우스 | IDM
러닝타임54:42
트랙14
프로듀서마크 벨 | 게라드 밸리
레이블Warp Records
카탈로그 넘버WARP 3
듀오 시절 LFO의 데뷔 앨범. 당시 영국에서 유행하던 레이브에 영향을 받아 테크노, 그 중에서 블립(Bleep) 테크노를 구사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다. 마크 벨에 따르면, 대부분의 수록곡들은 게라드 벨리 혼자서 만들었다고 하며,[3] 워프 레코즈와 계약했던 1990년 당시 19세의 벨과 밸리는 녹음을 포함한 음악작업을 빡빡한 일정 속에서 해야했다고 한다. 결과는 상업성과 음악성 둘 다 잡아내는 것에 성공했으며, 후에 스퀘어푸셔가 활동 초창기 시절 앨범을 만들 때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음악적 평가가 아주 좋은 앨범이며, 언컷과 올뮤직에서 별 5개 만점을, NME에서 10점 만점의 8점을 받아내는 등 많은 호평을 받았다.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제목러닝타임
1Intro2:24
2LFO (Leeds Warehouse Mix)3:26
3Simon From Sydney5:05
4Nurture4:40
5Freeze3:56
6We Are Back4:45
7Tan Ta Ra4:29
8You Have To Understand4:04
9El Ef Oh!3:49
10Love Is The Message3:45
11Mentok 14:17
12Think A Moment3:27
13Groovy Distortion3:28
14Track 142:57


3.1.2. Advance[편집]



3.1.3. Sheath[편집]



3.2. EP[편집]



3.2.1. What Is House?[편집]



4. 여담[편집]


그룹명은 신디사이저의 Low-frequency Oscillation 기능에서 따왔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23:00:58에 나무위키 LFO(일렉트로니카 뮤지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게라드 밸리의 탈퇴로 인한 활동 중단.[2] 마크 벨의 솔로 활동 기간. 이후 사망.[3] 작업을 하면서 '워프 레코즈의 함정에 걸렸다.' 고 표현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