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차량)/현황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TX(차량)



1. 개요
2. 현황


1. 개요[편집]


KTX(차량)의 현황에 대한 문서다.


2. 현황[편집]



  • 여담으로, KTX-1의 전조등이 LED라고 착각한 경우가 많은데, 현재 운행 중인 KTX-1 차량은 전 편성이 HID 전조등을 사용한다. 전조등의 색깔이 백색이라 LED로 착각하겠지만, 백색 HID를 사용하니 착오 없도록 하자. 9, 11, 22, 37, 41, 46호기가 LED 전조등을 사용한단 것은 옳지 않은 정보며, LED 전조등을 사용한단 근거와 개조를 했다는 자료가 없다.#,# 해당 영상에서 9호기,22호기의 전조등을 자세히 보면 HID 전조등임을 알 수 있다. LED 전조등은 저것과 형태부터가 다르다.[1]

차호인버터 소자전조등소속제작회사제작년월일도도입 목적비고
001GTOHID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호남철도차량정비단알스톰1997.10.01KTX 운행분
002GTOHID1998.01.19
003GTOHID1998.02.10대구역 열차 추돌사고로 피해를 입었으나, 한국 기술진들이 복구를 하여 다시 운행에 투입되었다.
004GTOHID1998.02.24
005HID1998.03.11
006HID1998.04.01
007HID1999.01.21
008HID1999.02.02
009HID1999.02.16
010HID1999.03.01
011HID2000.01.20
012HID2000.02.03
013HID주식회사 로템2000.02.14
014HID2000.03.06
015HID2000.03.17
016HID2000.04.02
017HID2001.01.10
018HID2001.01.25
019HID2001.02.03
020HID2001.02.14
021HID2002.01.07
022HID2002.01.16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랩핑 (2022년)
023HID2002.01.24
024HID2002.02.02
025HID2002.02.112007년 부산역 KTX 추돌사고 후 복구했다.
026HID2002.02.20
027HID2002.03.02
028HID2002.03.12방탄소년단 정국 랩핑(2020년)[2]
029HID2002.03.30
030HID2002.04.07
031HID2002.04.18
032HID2002.04.28
033HID2003.01.05대구역 열차 추돌사고로 피해를 입었으나, 한국 기술진들이 복구를 하여 다시 운행에 투입됐다.
034HID2003.01.12
035HID2003.01.19
036HID2003.02.04구 47호기, 과거 대통령 특별 동차로 운행했다. 이 때문에 1호차와 18호차의 문은 열리지 않는다.
037HID2003.02.12
038HID2003.02.202007년 부산역 KTX 추돌 사고 후 복구했다.
039HID2003.03.01
040HID2003.03.13
041HID2003.03.21
042HID2003.04.01
043HID2003.04.11
044HID2003.04.21
045HID2003.05.01
046HID2003.05.1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22 19:11:04에 나무위키 KTX(차량)/현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2:04:19에 나무위키 KTX(차량)/현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일:KTX 전조등 비교.jpg HID 전조등을 사용한 KTX,KTX 산천(110000호대)과 LED 전조등을 사용한 KTX 산천(140000호대),KTX 이음의 전조등 사진을 확인해보자. 자세히 확인해보면 다르다.[2] 2020년 9월 1일, 방탄소년단정국의 생일로 28호기 열차 전체에(정확히는 차량 외부에만 스티커로 랩핑했고 내부엔 아무것도 적용되지 않았다.) 생일 축하 기념 랩핑이 적용됐다.# 랩핑이 적용된 28호기는 정국의 고향이 부산인 점을 고려해 서울-부산 간 노선에 9월 한 달간 투입된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9월 2일 기준으로 서울-포항, 용산-광주송정 구간에 투입된 적이 있다. 즉 한마디로 서울-부산 노선을 포함하여 이 열차의 운행노선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단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