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G/T시리즈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ORG

파일:Korg Logo.png
KORG 신디사이저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플래그십 시리즈
파일:Ps3200L.jpg파일:PSlogo.jpg
1977 – 1981
파일:KorgPolysixlogo.jpg파일:Polylogo.jpg
1981 – 1984
파일:DW8000L.jpg파일:DWlogo.jpg
1984 – 1987
파일:M1L.jpg파일:M1Logo.jpg
1988 – 1995
파일:T3L.jpg파일:Tlogo.jpg
1989 – 1991
파일:WavestationL.jpg파일:WavestationLogo.jpg
1990 – 1994
파일:K01Wfdlogo.jpg파일:01Wlogo.jpg
1991 – 1995
파일:TrinityV3Logo.jpg파일:Trinitylogo.jpg
1995 – 1999
파일:TritonexeLogo.jpg파일:TritonLogo.jpg
1999 – 2007
파일:KoasysLogo.jpg파일:OasysLogo.jpg
2005 – 2011
파일:Kronosxlogo.jpg파일:Kronoslogo.jpg
2011 – 현재


파생형/아날로그 모델링 시리즈
파일:MS20Logo.jpg파일:MSlogo.jpg
1978 – 현재
파일:X5D.jpg파일:Xlogo.jpg
1993 – 1996
파일:N264Logo.jpg파일:Nlogo.jpg
1996 – 1999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시리즈
파일:korg collection logo.jpg
2004 – 현재





1. 개요
2. 모델 목록
2.1. T1
2.2. T2
2.3. T3
2.4. T2 EX
2.5. T3 EX
3. 사용 뮤지션


1. 개요[편집]


1989년에 발매된 KORG의 2세대 워크스테이션 신디사이저 시리즈.

전 모델인 KORG M1의 단점을 보완한 시리즈로, M1과 동일한 ai(advanced integrated) 방식을 사용하지만, M1에서 없었던 플로피 디스크와 일부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 되었고, 사운드도 늘어났다. 그외 디스플레이도 대형화 되었다.

2. 모델 목록[편집]



2.1. T1[편집]


파일:KORG T1.jpg
88건반.[1] 웨이티드 건반 탑재. RAM보드 기본 탑재.[2] 판매 가격 500,000엔.

2.2. T2[편집]


파일:KORG T2.jpg
76건반. 판매 가격 350,000엔.

2.3. T3[편집]


파일:KORG T3.jpg
61건반. 판매 가격 320,000엔.
사운드가 듣고 싶으면 이 사이트 참조.

2.4. T2 EX[편집]


1990년 발매. T2에 옵션이었던 RAM보드를 기본으로 탑재시킨 버전.

2.5. T3 EX[편집]


1990년 발매. 설명은 T2와 같다.

3. 사용 뮤지션[편집]


※ ㄱ-ㅎ/A-Z 순서로 작성
  • 릭 웨이크먼(예스(밴드)) - T1[3]
  • 신해철 - T3
  • 정석원 - T2, T3
  • 코바야시 타케시 - T2[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2:21:18에 나무위키 KORG/T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마도) 코르그 최초의 88건반 신디사이저다.[2] T2, T3는 옵션[3] 1:40 참조[4] 3분 13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