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IA 타이거즈/2007년

덤프버전 : (♥ 0)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IA 타이거즈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svgKIA 타이거즈
역대 시즌
(해태 타이거즈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
4위1위
[[1983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5위3위1위
[[1983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1위
[[1987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1위
[[1988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1위
[[1989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3위1위
[[1991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
3위1위
[[1993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4위4위1위
[[1996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1위
[[1997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5위7위6위5위
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
3위3위4위8위4위8위6위1위
[[2009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5위4위
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
5위8위8위7위5위1위
[[2017년 한국시리즈|
{{{#white,#191919 }}}
]]
5위7위6위9위
2022202320242025202620272028202920302031
5위6위
: 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 2003 시즌 문서 이후부터 문서 존재





KIA 타이거즈 2007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4월5월6월7월8월9~10월

KIA 타이거즈 2007 시즌 성적
순위승률1위와의 승차
8 / 8511740.40824.0

1. 개요
8. 총평




1. 개요[편집]


KIA 타이거즈의 2007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4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IA 타이거즈/2007년/4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5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IA 타이거즈/2007년/5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6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IA 타이거즈/2007년/6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7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IA 타이거즈/2007년/7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8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IA 타이거즈/2007년/8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9~10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IA 타이거즈/2007년/9~10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총평[편집]


역사상 2번째 꼴찌를 기록한 시즌으로, 타이거즈 역사에 제대로 먹칠한 시즌이었다. 이 시기 막장이었던 LG롯데와 묶이면서 엘롯기라는 용어가 탄생하기도 했다.

타선에서는 광주광역시 출신의 믿었던 메이저리거 최희섭해외파 특별 드래프트로 복귀를 하고, 05, 06시즌 성장한 이용규, 타이거즈의 프랜차이즈 스타 장성호, 영원한 유망주 김주형과 함께 투수진에서는 어떤 괴물의 등장으로 신인왕을 놓친 10억팔 한기주와 전 시즌 마무리투수로 재미를 본 윤석민, 부상에서 복귀하는듯한 신용운, 신인 양현종으로 나름 중위권의 성적은 기대했던 시즌.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선은 말 그대로 망했다. 송산이 4번 치던 시절 하나로 설명 끝. 장성호는 10년 연속 3할이라는 대기록이 끊겼고, 믿었던 메이저리거는 데뷔 시즌부터 산악인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1] 이용규는 몸쪽에 약점을 드러내면서 3할에 실패하였고, 이종범, 김주형의 계속되는 부진과 함께 물방개파크가 망친 홍세완, 미국야구를 경험했다더니 선발경쟁에서 짱어에게 밀린 권윤민 등 처참한 성적을 내며 송산이 4번을 치던 KIA의 암흑기다.

마운드에서는 선발로 전향하여 3점대 방어율을 하고도 시즌 최다패를 기록한 윤석민과 임창용 이후 타이거즈에서 처음 나온 특급 마무리 한기주만이 위안거리였다.

2009년 시즌과는 정 반대로 악재가 연이어 겹친 불운의 시즌이었다. 이렇게까지 팀이 무너진 이유로는 역시 약한 타선도 타선이었지만 마운드의 붕괴가 결정적이었다. 지난해 서정환 감독이 김진우, 윤석민, 한기주, 신용운 등을 어마어마하게 굴린 게 결국 탈이 나면서 밑도 끝도 없이 추락하고 말았다. 그래서 서정환은 가을야구 경험만 있을 뿐 타이거즈의 미래를 갉아먹었다는 점에서 선동열보다 평가가 안 좋은, 기아 최악의 감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사실 선동열의 경기 운용 스타일로 볼 때 서정환이 불펜을 갉아먹지만 않았으면 최소한 저 정도로 못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10년 가까이 회자되는 이현곤타격왕 미스테리가 발생한 해. 이현곤은 이 해에 .338의 타율로 타율 1위와 안타왕에 등극한다.

결국 서정환 감독은 해임되었고, 후임으로 조범현 감독이 첫 비해태 출신 타이거즈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조범현 감독은 현장에 투입되자마자 KBO 슈퍼 한국시리즈를 치렀다. 하여튼 2007년은 미스테리한 해다.

KIA 주장 장성호의 반성문, "내가 아닌 우리를 생각하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6:13:05에 나무위키 KIA 타이거즈/2007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기수 자체를 57게임밖에 뛰지 못했다. 그래서 홈런 갯수는 7개에 그쳤지만 타율은 3할 3푼을 찍고 장타율은 5할을 넘고 출루율도 3할 8푼대라 꽤 준수했다. 즉, 나온 경기수에 대비하면 꽤 잘한 편이라서 KIA팬들은 57게임 뛰고 이정도면 풀타임은 얼마나 쩌는 거냐며 기대하는 이들도 많았다.